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원전 2세기대 서북한 고고 자료와 위만조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본고는 위만조선의 재인식과 위만조선 고고학의 성립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위만조선 고고자료의 공백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위만조선은 조선 후기 正統論的 역사 체계 하에서는 왕위를 찬탈한 僭國이자 簒賊의 존재였다. 하지만 개화기에 들어 근대 국민국가와 연계된 민족이라는 실체가 서서히 자각되면서 위만조선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林泰輔의 『朝鮮史』에서 비롯된 식민사학의 세례 이후, 1907년 白鳥庫吉은 위만조선을 식민지로 파악하였는데, 당시 무차별적으로 도입된 ‘식민지’ 개념은 이후 식민사학의 근간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 위만조선 고고학은 그 자체 내지 고조선 문화의 견지에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낙랑군 사회의 토대이자 출발점으로 이해된 것이었다. 당시 非漢式 문화인 세형동검문화를 漢系 문화로 해석하면서 위만조선의 고고학 문화로 오인하였는데, 이러한 인식은 이원적 종족구조론의 주된 근거가 되었다. 이원적 종족지배 구조를 갖춘 위만조선에 부합하는 고고학적 실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자칫 위만조선의 고고학적 공백에 일조를 하는 측면이 있었다. 이보다는 위만조선의 전반적인 고고학적 양상을 복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대동강 이북과 이남 지역에 걸쳐 위만조선 유적이 분포하였다는 점, 화분형토기를 통해 위만조선과 낙랑군 간 토기문화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점, 금동개궁모가 위만조선 시기에 이미 위신재로 수입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gap phenomenon observed in the archaeological data and chronological system in Wiman Joseon by reviewing the re-examination on Wiman Josoen in late Joseon dynasty and early 20<SUP>th</SUP> century and a archaeological research on Wiman Jose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iman Jose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legitimism-based historical view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many traditional scholars regarded Wiman Joseon as the dynasty usurping the throne. But in late 19<SUP>th</SUP> century and early 20<SUP>th</SUP> centur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Wiman Joseon was gradually changed being accepted the concept of the modern nation by some intellectuals. In the first half of 20<SUP>th</SUP> century, Japanese scholars interpreted Wiman Josen as the Han China’s colony, proved by archaeological data. They misunderstood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s the Han Chinese culture and connected it to Wiman Joseon. Such opinion was evidenced by dualistic ethnic governance structure in Wiman Joseon and Lelang commandery. It may be involved in the archeological gap in Wiman Joseon to find the archaeological entity that meets the dualistic ethnic governance structure.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overall archaeological aspects of Wiman Joseon need to be reconstructed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문화유산과 박물관, 그리고 역사교육 : 慶州博物館學校를 중심으로

        吳永贊(OH Youngchan) 호서사학회 2009 역사와 담론 Vol.0 No.53

        This article aimed to study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and the primary cause of the success in the long term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Gyeongju Museum School. The Gyeongju Museum School was established in 1954 by Mr. Hongsup Chin who was the director of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Mr. Gyeongyeol Yoon who was an nonprofessional historian. Although the cultural heritage combined with the museum in Gyeongju by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relics of Gyeongju and Gyeongju Museum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it related with the making of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a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t attractions and the collection of the antiques. After liberation in 1945, Korean h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ioneers were Mr. Hongsup Chin and Mr. Gyeongyeol Yoon. As they were inflowed from the external territory and the younger generation, many native people in Gyeongju was stubborn and did not sympathize with their opinion. They noticed the new generation,the children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in Gyeongju and established the Gyeongju Museum School and educated the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Mr. Yoon had been much influenced by Mr. Jeonghwan Bang who was the most famous children movement leader in 1920s. They made an attempt the various educational method to explain efficiently the relics, for example the lecture in classroom, the making an on-the-spot survey, and the orally narrated fairy tale which was influenced by Mr. Bang. Gyeongju Museum School took leave from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in 1959 because of the discord in museum, but rejoined together in 1975. Now it was successfully managed together by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the Society of Silla Culture in Gyeongju. The first main factor on which it was continued for 50 years is the making much of the field of the relics, they always emphasized on the relics and teach the meaning and significant of the relics in everyday life. And the teachers developed the education methods and considered the incentive to attract the concerns of the children. Lastly we cannot forget the passion and the endeavor which the pioneers, Mr. Chin and Yoon and many teachers related with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devoted.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children grew up and have been on the cutting edge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in Gyeongju.

      • KCI우수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

        오영찬(Oh, Youngchan)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6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collection at the Museum of Joseon Governor-General in 1915-1916. The early collec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is artifacts from the outside institution such as Japanese Military Command at Joseon. The second is what has been stored along with the works having been performed by some sections in Joseon Governor-General. The third is the outputs of the academic research projects of relics by some sections which were given to the museum. The fourth is the donated collections from powerful individuals. The early collection was not only the by-products of the colonial ruling system but the outputs of the academic research projects for the colony, which illustrated its character as the colonial museum. Another accession path of the early collection was donations. The major donors were the Governor Terauchi Masatake and Kuhara Husanoske who were at or near the peak of the colonial power in the colony. The museum seems to have initially collected its collection by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criteria of the Tokyo imperial Museum which was based on the one of ‘past and old antiques’ in early modern Japan. The museum acquired large collections in a short time when opened, which led to the problem of poo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them. Since August 1916, the Museum has systematically acquired its collection through excavation and discovery as well as donation, purchase.

      • KCI등재

        樂浪 金銀製?具의 제작과 성격

        오영찬(Oh, Youngchan)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2 No.-

        본고는 平壞 石岩里 9호분에서 출토된 金製?具를 비롯한 樂浪古墳에서 출토된 금은제교구의 성격과 의미를 여타 지역에서 출토 및 수집된 금은제교구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금제교구 중 대표적인 유물인 평양 石岩里 9호분 출토 金製?具에 대한 미시적인 관찰을 통해 유물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金製?具는 워낙 미세한 金粒을 붙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근접한 실물 관찰이 아니면 세부 상태나 제작기법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실물 관찰을 통해 조형 구성과 제작기법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였다. 둘째, 1990년대 이후 발표된 金製?具 자료인 日本 미호뮤지엄 소장품과 大連 營城子 M9호분 出土品, 雲南 羊甫頭遺蹟 採集品과, 뉴욕 개인 소장품, 그리고 미공개 자료인 貞柏里 17호분 出土 銀製?具를 검토대상에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石岩里 9호분 출토품을 포함한 金銀?具에 대한 지견을 넓힐 수 있었다. 셋째, 中原의 工房에서 제작된 점, 邊方 지배세력에 대한 政治的 賜與品이라는 金銀製?具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재검토하고 대안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中原에서 제작되어 邊方 지배세력에게 賜與된 물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으나, 金銀製?具 문양적 특징이나, 馬蹄型과 嵌玉技法 등을 들어 제작지에 대한 보완적인 논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中原 漢 왕조에서 전형적인 中原製 物品을 사여하지 않고, 북방적 성격을 지닌 모호한 성격의 물품을 왜 政治的 目的으로 賜與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金銀製?具의 분포를 邊郡이나 郡縣制, 屬國 등 정치적 복속과 직접 연결시키기는 어렵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변방 지역에 대해 중원의 구심력과政治的 賜與라는 관점과 동시에, 변방의 원심력과 經濟的 交易이라는 또 다른 축들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동북아시아를 포괄하는 보다 거시적 시야에서 문화적 현상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향후 金銀製?具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will study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gold buckle of the Seogam-ri No.9 tomb, which was excavated from one of the ancient Nangnang tombs, in Pyeongyang of the Northeastem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irst, micro-analysis of the gold buckle led to defining the charactelistics of this paJticular relic, the gold buckle from Seogam-ri No.9. Since this gold buckle was decorated with such fine gold granules, it is difficult to study its conditions or techniques in detail, without a close observation of the actual aJtifact. Thus, an up-close study of the actual artifact led to grasping an understanding of its moulding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Second, this study’s scope includes the several gold buckles disclosed after the 1990s. This will be inclusive of the following: the buckle in the Miho Museum collection in Japan, the buckle from Dalian Yingchengzi tomb No. M9 in Laioning province of China, the buckle collected from Yangfudou in Yunnan province, the buckle in a private collection in New York, and the silver buckle including the one found in Jeongbang-ri No.17 tomb. Third, the one of the leading views on these buckles is that they were crafted by workshops in the Han royal court and then presented as political gifts to the ruling power of the peripheral regions. This prevailing view will be reconsidered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within this paper. Conventional research generally accepts that these artifacts were made in the Han royal court to be later presented as gifts to the ruling powers of the peripheral regions. However, when the buckle’s pattern, horseshoe shape and gem stones embedding techniques are examined, certain questions are raised about the possible need of supplementary evidence about the actual place of making. This paper first questions why the Han Dynasty would have decided to use an item of ambiguous identity associated with strong Northern flavors instead of resorting to the more typical Han Chinese item; furthermore, this paper points out the difficulty in directly linking the location of the buckles to political subjugation, such as peripheral commandery, commandery systems or vassal states. Meanwhile, sufficient attention must be given to exploring alternative premises such as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nearby areas 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trade. Ultimately, a cultural phenomenon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ore macro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the entire East Asia. In such light, this paper has been prepared with the hope of triggering further in-depth researches on these gold and silver buckles in the future.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 교육의 새로운 시도

        오영찬(Oh, Youngcha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본 연구는 세계유산의 교육적 가치를 재확인하면서 창덕궁과 경주 양동마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유산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세계유산의 등재와 보존에 기울이는 노력에 비해 세계유산을 대상으로 한 교육적 활용은 미진한 편이다. 유네스코 차원에서 세계유산교육(WHE, World Heritage Education)은 1990 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세계유산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 중 하나는 학습의 대상이 되는 현장에서 학습자가 분명한 동기와 목적의식 가지고 사고하여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이다. 현장체험학습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교육에 주목하였다.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기기 등 모바일 기기가 교수 학습 도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모바일 기기에서 상용 중인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완성형, 비현장성, 그리고 기술적인 한계 등의 제약 조건으로 인해 교육적 활용에 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교수자가 현장학습에서 사용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직접 ‘저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인 어플리케이션의 저작도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2014 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스마트융합교육연구팀 모바일 기반 세계유산 현장체험학습 연구 중 역사교육 분야의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1 차년도에는 세계문화유산 중 창덕궁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개발하였으며, 2 차년도에는 대상을 확대하여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동 연구팀에서 개발한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MoFAS, 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를 실제 현장체험학습에 적용시킨 실험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World Heritage, and introduces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as the World Heritage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Changdeokgung Palace and Gyeongju Yangdong Village that are the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Utilizing the World Heritage as the educational subject has not been active while so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list on and preserve the World Heritage. In the 1990s, for the first time UNESCO has begun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World Heritage Education(WHE).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s in WHE i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helps the learners act with a clear motivation, and get the knowledge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us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may be one of most effective methods to maximize the field experience. Recently, smart-phones or tablet devices are paid attention to as a learning tool, but most mobile applications are restricted to use for the educational purpose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and their incomplete types. Hence, developing the authoring tools that the teachers can directly make and fill out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is necessary. Finally, the case study on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World Heritage in history class is presented by the smart fusion education team in Ewha Womans University. In the first year,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for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n Changdeokgung Palace was developed. In second year,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for the mobile 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n Gyeongju Yangdong Village was developed. In addition, using the authoring tools of the MoFAS(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was applied to the field experience education.

      • KCI등재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낙랑군 유적에서 출토된 봉니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수집품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된 99건 197점, 1935년 낙랑토성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후 도쿄대학에 남겨진 15점, 그리고 1937년과 1938년 두 차례에서 걸쳐 도쿄국립박물관에서 구입한 9점이 전해진다. 낙랑 봉니는 1919년 최초 확인되었는데,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정식 발굴품이 아니라 식민사학의 불순한 의도 하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주도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한 의심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 계속적으로 확인된 봉니들도 대다수가 발견품으로 신고되어 입수되었거나 고미술상을 통해 구입된 발견품이어서 진위의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1930년대 위당 정인보는 '낙랑 봉니 위조설'을 제기하였고, 해방 이후 고조선의 재요녕성설에 입각한 북한 학계에서도 '낙랑 봉니 위조설'을 다시 주장하였으며, 1980년대 일본 학계의 반론이 이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봉니의 진위는 印文의 내용과 印式의 시대적 특징, 인문의 관명과 印制, 봉니의 형태적 특징 등을 통해 판별이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먼저 봉니의 후면과 측면에 있는 세부 흔적으로 통해 봉함 방식을 복원하고, 이를 진위 판별의 단서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1935년 낙랑토성에서 정식 발굴된 봉니들과 그 이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봉니를 상호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대부분의 낙랑 봉니는 檢위에 부착된 것이었다. 낙랑 봉니는 형태에 따라 크게 凹式檢과 箱式檢에서 나온 두 종류로 구분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검 바닥면의 홈이나 돌대의 유무를 두었으며, 마지막으로 끈을 돌리는 방식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다. 이러한 낙랑토성 출토품 봉니의 제 형식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다수의 봉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봉니와 그 이전 시점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입수한 봉니의 인문 字體를 상호 비교하여 낙랑 봉니의 진위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낙랑토성 발굴품과 1935년 이전 입수된 조선총독부박물관 구입품 사이에 동일한 군명을 공유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수집품 낙랑 봉니들이 진품임이 밝혀졌으며, 일부 진위가 의심스러운 봉니들도 확인되었다.따라서 정인보와 북한학계의 주장처럼 낙랑 봉니가 전부 위조품은 아니었으며, 藤田겮策의 주장대로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구입한 낙랑 봉니에 대해 진위를 의심할 필요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낙랑 봉니의 전체에 대한 일방적인 진위 주장을 근거로 낙랑군의 실재나 군현 지배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낙랑 봉니의 경우 개별 유물에 대한 진위 검증을 전제로 역사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앞으로 본고에서 제기한 방법론 뿐 아니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clay seals from Lelang Commandery sites has been stored in three institutions; 197 piec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ere turn over from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45, 15 pieces in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Japan that were excavated in 1935, 9 pieces in Tokyo National Museum of Japan which were purchased in 1937 and 1938. The clay seals in Lelang were first found in 1919, of which the authenticity had been suspected continuously, because these were not excavated by the archaeologists but discovered, and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hich was the one of intentions of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in view of colonial perspective. Jeong Inbo, the famous nationalist historian insisted that the clay seals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re all forgeries, which was an attempt to deny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Korea. The scholars in North Korea since 1950s followed Jeong’s opinion, which was linked with the discussion on the capital of Old Joseon, but some Japanese scholars argued back in 1980s. In this article, I try to restore the sealing method with clay seals by looking into the details of the back side and sides of the clay seals in Lelang. Then I compared the clay seal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cquir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lay seals excavated at the Lelang fortress in 1935 which have not been suspected forgeries, in terms of the details of the back and sides, the character shapes and the names of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imprinted in the clay seals. These surveys are all utilized as the clue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 KCI등재

        19세기 말 윌리엄 고우랜드의 한국 고고학 탐구

        吳永贊(Oh, Youngcha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6 No.-

        본고는 1884년 한국을 여행하면서 지석묘를 조사하고 삼국시대 토기를 수집한 윌리엄 고우랜드(William Gowland, 1842–1922)라는 인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842년 영국 더람에서 태어난 윌리엄 고우랜드는 1872년 明治政府의 초빙을 받아 化學冶金方兼造幣長官 고문으로 활약하면서, 1888년까지 16년간의 일본에 체재하면서 406기의 횡혈식 석실분을 조사하고 140기의 약측도를 남겼다. 그의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조사와 연구는 당시 수준으로서는 높이 평가할만한 것이었다. 고우랜드는 1876년 출간된 헨리 지볼트(Henry von Siebold)의 저서에서 일본 민족의 기원과 고대 문화가 한국과 직접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한 데 영향을 받아, 1884년 한국으로 조사 여행을 오게 된다. 고우랜드의 주된 관심은 일본 고대 문화와 연관된 한국의 고고학 유적과 유물에 있었는데, 경기도 포천에서‘솔모로(Tsolmorro)’라는 곳에 소재한 지석묘를 조사하고 도면과 기록을 남기고 있다. 고우랜드는 1884년 여행 전후에 다수의 한국 유물, 특히 신라 토기를 수집하였으며, 이 유물들은 1889년 자신이 수집한 일본 유물들과 함께 브리티시박물관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대 한국 문화와 일본 문화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고우랜드는 須惠器와 유사한 토기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의 한국 컬렉션 중 상당 부분은 일본 고분시대의 스에키 토기와 유사한 고분 출토 신라·가야 토기가 차지하고 있다. 그가 수집한 토기들은 주로 5~6세기 부산 인근의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로, 한국 토기의 수집 역사에서 뿐 아니라 원초적인 고고학 조사 작업이라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더욱이 한국에서 고고학 조사가 공식적으로 시작되기 이전 시기에, 외국인에 의해 수행되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William Gowland(1842~1922) and his survey on the Korean Archaeology in late 19th century. Gowland was born in Sunderland of Durham County in 1842. He studied chemistry, mining, and metallurgy at the Royal College of Chemistry and the Royal School of Mines, and in 1870 he worked as a chemist and metallurgist at Broughton Copper Works. At the age of thirty, he was invited by the Japanese Meiji government in 1872 to be the foreign technical consultant at the Imperial Japanese Mint in Osaka. His passion for East Asia, mainly Japan stemmed from his sixteen-year stay in Japan. Especially he devoted most of his interest to Japanese archaeology, especially the survey of ancient tombs. Since his first on-site survey of ancient tombs in 1876 he investigated 406 corridor-style stone burial chambers and produced 140 survey drawings of them. He was not only interested in the ancient culture of Japan, especially the tumuli, but also interested in Korea. He embarked on a special trip there in 1884 in order to research connections between the ancient cultures of Korea and Japan, especially focusing on ancient tombs. Before the trip, he had already heard information about three dolmens that were not ancient chamber stone tumuli but real dolmens of the Korean Bronze Age. He visited and produced detailed descriptions and sketches of the dolmen in Tsolmorro, Pocheon county in Gyeonggi Province. The Gowland collection at the British Museum consists of some three hundred Japanese and about fifty Korean artefacts. The Korean ceramics collected by Gow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intended by him to incite serious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cultures of Korea and Japan. His holdings mostly included funeral objects from Gaya tombs in the 5th-6th centuries, and stands as a significant monument, not only in the history of creating collections of Korean ceramics for study and appreciation, but it is remarkable because it represents a protoarchaeological survey. This is all the more remarkable when it is recognized that it was undertaken by a visiting foreigner before archaeological research began in Korea.

      • Energy Partitioning Approach를 이용한 Solder Joint의 열 피로 수명 예측

        오재응(Jaeeung Oh),강원호(Wonho Kang),이해진(Haejin Lee),영찬(Youngchan Ahn),이정윤(Jungyoun Lee),신승우(Seungwoo Shi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rmal fatigue of solder joints is critical to electronic package performance and service life. The electronic package are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thermal stresses generate at near the interface, such as solder joints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Results of thermal stress-strain occur thermal fatigue fracture at the interface of different materials. The represent study established finite element analysis to determine the stress and strain history in the solder, due to thermal cycling. The computed stress and strain histories are utilized to construct hysteresis plots at each location in the solder joint. The hysteresis plots are then partitioned into elastic strain energy, plastic work and creep work dissipation. The fatigue life of the solder joint is then estimated through an energy partitioning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