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담긴 의미 탐색 : L교사의 교육 이야기

        오영범,정영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eanings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eacher L’s story. For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dialogue with teacher L, and analysis of teacher L’s blog. The researcher also wrote reflective diaries. Data was analyzed using 3steps;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Researchers deduced meanings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 1.0’ which is a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meanings contained in teacher L’s practical knowledge consist of 4 results, ① learning and caring through a double role as a teacher and a father, ② class community- making ‘learning together’ through destroying the wall, ③ 3 dimensions of educational practice: educational reconstitution, thorough planning, and human․ material resources, ④ practical knowledge development and reflection through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eacher L’s practical knowledge results were combined contextually with teacher’s value and belief, teacher’s experience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this, researchers suggested way in which to direct teacher education through practical knowledge. 이 연구는 연구자와 함께 근무하고 있는 저경력의 L교사 이야기를 통해 그의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 이다. 이를 위해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는 직접 참여관찰하 면서 관찰일지를 작성하였고, L교사와의 대화 내용 분석, L교사의 블로그 내용, 그리고 연구자의 성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질적자 료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1.0’을 활용하여 전사 및 자료입력, 코딩, 주제생 성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L교사의 교육적 실천 속 에 내재된 의미는 첫째, 교사와 아빠의 이중적 역할을 통한 배움과 돌봄, 둘째, 학생과 벽허물기로 ‘어깨동무’ 학급공동체 형성, 셋째, 교육실천의 3박자: 교육적 재구성, 철저한 계획, 인적․물적 자원, 넷째, 교사학습공동 체를 통한 지속적인 실천적 지식 향상과 성찰 등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L교사의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이론적 지식과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교 육현장의 맥락성, 교사의 가치와 신념, 교사의 경험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 진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실천적 지식 관련 연구와 현장의 교사교육의 방향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희망이의 성장 이야기: 개별화 수업 사례 연구

        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4

        Purpose: This paper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school contex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how to diagnose a student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how to implement educational prescrip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diagnosis, and how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Heemangee, interviews with his friends and teachers, students’ free writing, and the learning portfolio of Heemangee etc.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2.0, which is a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based in Korea. Findings/Results: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Heemange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follows; building rapport was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locating the focus of his flow, promot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grasp the context and to enhance communicative ability, and peer tutoring in class to create social constructionism. As a result of these prescriptions, Heemangee attained three educational growth markers; development in the area of ability to grasp learning contexts and expressing one’s self, an increase in confidence through reinforcement of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wareness and expectations about school. Value: Based on these four results, the article suggests two implications: the expansion of practical research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 creation of a useful case study for teachers or researchers interested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본 연구는 현장에 기반을 둔 개별화 수업 적용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접근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별화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 한 학습자를 어떻게 진단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종합적인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한 교육적 처방전의 투입 방법, 그리고 개별화 수업 적용을 통한 교육적 효과성 검증이라는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희망이에게 적용한 개별화 수업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참여관찰, 면담, 자유글쓰기, 학습 결과물, 문자 메시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의 관리와 분석은 한국형 질적자료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 2.0을 활용하였다. 전사, 코딩, 의미 도출로 이어지는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질적 자료 분석 과정을 거쳤다. 연구자의 반성적 성찰과 지속적인 이론 탐색의 반복적인 과정은 더욱 정선된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희망이에 대한 종합적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래포 형성, 몰입의 초점 찾기, 맥락 파악 및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환경 조성, 그리고 또래 학습을 활용한 사회적 구성주의 수업이라는 4가지 처방전을 계획하고 투입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희망이가 학습 맥락 파악 및 자기 표현력의 향상, 기본 학습 능력 강화를 통한 자신감 증가,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기대감 향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성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 및 양적 연구에 머물렀던 개별화 수업 연구를 현장 적용함으로써 실천적 연구로 확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개별화 수업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통합, 개별화 수업을 실천하고 연구하려는 교사 혹은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 도교육청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넘침과 모자람의 균형을 찾아서

        오영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도교육청에서의 장학사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한 개인이 겪은 경험의 지엽성과 특수성을 인정한다. 이로 인해, 연구자인 ‘나’는 도교육청 맥락에서 겪은 장학사 경험을 이야기하며 의미를 부여하였다. 나는 경험을 구체화하기 위해 개인 저널을 작성함으로써 연구 자료를 형성하였다.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의 해석은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인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고려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험의 순서를 반영하기 위해 진입, 적응, 갈등, 타협이라는 4개의 대표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진입에서는 ‘나를 누르는 무거운 기류’, 적응에서는 ‘관료 조직에 동화되는 나’, 갈등에서는 ‘나는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마지막으로 타협에서는 ‘균형을 통한 새로운 나의 발견’이라는 주제를 부여하였다. 나는 경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사공동체 전문성 발달의 특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오영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참여한 교사가 전문성을 신장해 가는 특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새로운 문화기술지로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여 실시간 성격의 ‘밴드’와 비실시간 성격의 ‘온라인 카페’를 집중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밴드’와 ‘온라인 카페’는 교육과정 전문가 40인 양성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저자는 참여관찰, 인터뷰, 성찰 일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인터넷 문화기술지에의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인터뷰의 패러독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참여 관찰과 오프라인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코딩, 주제 발견의 3단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공유, 연수, 연구, 성찰, 협력, 실천, 지원의 7개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주제어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비실시간 공유로 집단정체성 강화, 실천 지향적 온라인 학습 공동체, 네트워크 협력 기반의 집단지성화, 전문성을 촉진하는 성찰 공동체의 네 가지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향후 교사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중요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in the online teacher community. For this, a researcher analyzed ‘Band’, synchronic SNS tool and ‘Online cafe’, asynchronic online cafe using internet ethnography as a research method. ‘Band’ and ‘Online cafe’ were utilized as a mea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 of 40 professionals about curriculums. A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elf-reflection diaries and then analyzed the information gathered. Most importantly, a researcher combined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offline interviews to solve ‘internet paradoxes’, which is the problem of internet ethnography. Data was analyzed using 3steps;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And then, the researcher proposed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er community based on 7 key words; sharing, teacher training, research, reflection, collaboration, practice, and supp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community consists of 4 results, sharing activity integrated synchronic and asynchronic interactions, online learning community directed practices,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network collaborations, and the reflection of the teachers community to promote professionalism.

      • KCI등재

        XML기반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 개발 및 적용

        오영범,이상수,서정진,김미숙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를 개발·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ROM 타이틀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자교과서가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후에는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성, 만족도, 그리고 흥미도의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영어과 전자교과서의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성, 학습 만족감, 그리고 학습 흥미도가 높아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보다 증진될 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영어 학습 효과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n electronic English textbook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3rd grad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textbook was based on XML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electronic textbook format, and avoid the disadvantages of the CD-ROM that 3rd grade classes currently use. After electronic textbook was developed,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at based on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of student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electronic textbook and it is an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ll be improved. Also, we anticipate that the students’ learning effectiveness will be enhanced.

      • KCI등재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탐색

        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1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through a project instruction case based on a scholastic context. To facilitate this, the author first demonstrated a project instruction case according to Kilpatrick’s 4 step process: goal establish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author analyzed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blogs, and reflection diaries wer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2.0, which is a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written in Korean. Findings/Results: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learning connects the subject to the context of real life, a systemic community occurs through the constructiv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re is an increase in laten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formation of a semantic network combining fragmented knowledge occurs. Value: Based on these four results, this paper validates two core principles: first, the potential of research and practice regarding project instruction; second, the valid necessity of project instruction based on the four stage process employ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진행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Kilpatrick이 제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단계(목적 설정, 계획, 실행, 평가)에 따라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사례 속에 담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 블로그, 성찰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 이교사와 그가 담당하고 있는 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이교사가 교육 자료 수집과 수업 관련 글쓰기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www.thebluebird.kr)을 활용하여 전사, 코딩, 목록화, 의미 발견의 순서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밝혀진 의미는 교과와 삶의 맥락을 연계한 실제적 학습, 인지와 정의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유기적 학습공동체 구축, 잠재된 학습동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력 증대, 파편화된 지식을 통합하는 의미망 구축의 네 가지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최근의 배움중심수업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유용한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이 필요한 타당성을 강화해 주는 측면이 있다. 아울러, 본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사례들이 더욱 확산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과 개념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오영범,박상섭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위한 수학과 개념 학습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수학과 개념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교수체제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54개의 핵심 용어를 추출한 후,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맥락을 반영한 스토리를 수학 개념과 결합하는 설계 전략을 마련하였다. 개발된 콘텐츠의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흥미도, 집중도, 기대감이 아주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들 역시 동기유발을 위한 유용한 교수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3rd graders an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ntents developed. An ADDIE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for concept learning. After extracting 54 concepts from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ers designed strategies using concepts that were combined with context which is familiar to young students. Researchers implemented a survey and interview to students and teacher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ntents.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interest, concentration, and expectation of students toward the contents developed were very high, and teachers also mentioned that these contents could be very useful teaching materials for motivation.

      • KCI우수등재

        수업 분석을 위한 과업집중도분석의 타당도 이슈와 확보 전략

        오영범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validity issues raised in task engagement analysis, a class analysis tool, and to explor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data such as task engagement analysis results, class videos, and the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 were collected. Thes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searcher's many years of experience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he task. The validity problems of the task engagement analysis derived through this study were revealed as ambiguity in judgment about learner behavior, reliability problems due to single observer analysis, limitations in analysis due to flat observation, and lack of evidence for the causes of resul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four methods of securing validity are suggested: First, clarification of the action in parallel with class video recording. Second, securing reliability through multiple observers. Third,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other instructional analysis tools. Fourth, the collection of rich data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use of the task engagement analysis tool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observers who perform class analysis. Second, an instructional analyst or observer can derive highly valid instructional analysis results by considering the method for securing validity suggested in this study. Third, contributing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the instructor's clas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ctor's class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분석 도구의 하나인 과업집중도분석에서 제기되는 타당도 이슈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다년간 수업컨설팅 경험을 통해 수집한 과업집중도분석 결과, 수업동영상, 그리고 연구자의 성찰 일지 등과 같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과업집중도분석의 타당도 문제는 학습자 행위에 대한 판단의 모호성, 단일 관찰자 분석으로 인한 신뢰도 문제, 평면적 관찰로 인한 분석의 한계, 그리고 분석 결과에 대한 원인의 근거 부족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타당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타당도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동영상 촬영을 병행한 행위의 명료화, 다중 관찰자를 통한 신뢰도 확보, 다른 수업 분석 도구를 활용한 입체적 분석, 면담 및 설문을 통한 풍부한 정보 도출을 타당도 확보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과업집중도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 분석을 수행하는 관찰자의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수업컨설턴트 혹은 관찰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타당도 확보 방안을 고려하여 타당도 높은 수업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셋째, 교수자의 실질적인 수업 개선에 기여함으로써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이바지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서 스마트폰 : 아동들의 교육적 경험

        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echnology has become a basic component of school curriculums and their instructional designs. Accordingly, the author of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children's life culture involving the use of smartphones since elementary students spend large amounts of time using smartphones during their school life.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author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using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writings of elementary students an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21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14 parents. Findings/Results: Findings showed four differ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elementary student smartphone use. These four characteristics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student usage for entertainment,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for the acquisition of informal context learning based on real life experiences, and for the engagement of emotional response tools which constitute a social presence. Value: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methods to improve school curriculums and instructional design. First, smartphones can be utilized to strengthen edutain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Second, students can utilize smartphones to engage in social collaborative learning, as well a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Third, they can integrate formal learning into informal learning by facilitating context learning based on real life experiences. Finally, they can use smartphones as a means of affective learning by creating a social presence and performing self-reflection. 테크놀로지는 이 시대 학교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기본적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아이들의 스마트폰 생활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스마트폰에서 나타나는 생활과 여러 가지 주제들을 학교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자원으로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고민해 보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3개 초등학교의 스마트폰을 소지한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유글쓰기를 통한 내용 분석, 21명의 학생들과 14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의 일상적 맥락에서 보이는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의 특징은 유희성 강한 휴대용 놀이터, 정보 탐색과 공유를 통한 호기심 해결, 실생활 기반 비형식적 맥락 학습, 사회적 실재감을 구현하는 정서 교감체의 4가지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과 수업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인먼트 기능을 강화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며 학습동기의 유발 및 유지에 유용한 학습 보조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협력학습, 비판적 사고 능력, 그리고 문제해결 학습을 촉진함으로써 집단 지성 기반 고등사고 능력을 촉진하는데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생활 기반 맥락 학습, 실생활과 연계한 학습, 그리고 실생활을 반영한 학습을 촉진함으로써 형식적 학습과 비형식적 학습의 통합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 실재감을 강화하고 반성적 성찰 도구와 생활지도의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정의적 학습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나는 왜 달리는가?: 한 장학사의 마라톤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오영범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내가 달리는 이유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나’ 자신 의 달리기 경험을 바탕으로 자전적 내러티브 방법을 적용하였다. 나는 달리기 경험을 바 탕으로 페이스북 자료, 블로그 게시물, 개인 저널, 그리고 달리기 관련 도시 및 유튜브 영상과 같은 연구 자료를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달리는 이유에 관한 네 가지 주제 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주제는 건강 회복 및 유지를 위한 변화의 필요, 마음을 정화하고 치유하는 여과기, ‘나’에게 몰입, ‘나’를 찾아가는 시간, 성취와 도전에서 오는 희열과 성장으로 나타났다. 이 주제들을 중심으로 나의 구체적인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내가 달리기를 시작한 이유는 건강 회복을 위한 극히 개인적인 이유였지만, 그 파급 효과는 결코 개인 수준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 차원의 건강은 사람 간의 갈등 유발을 줄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안전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