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식 의심 환자에서 기관지 확장제 반응 및 만니톨 기도과민성과 호기산화질소의 연관성

        오상유 ( Sang-yu Oh ),이민형 ( Min-hyung Lee ),오다은 ( Da-eun Oh ),최길순 ( Gil-soon Choi ),김석현 ( Seok-hyeon Kim ),박영찬 ( Young-chan Park ),김희규 ( Hee-kyoo Kim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5

        목적: 호기산화질소(FeNO)는 천식에서 기도 염증의 비침습적 지표로서 활용되어 왔다. 또한, 호기산화질소(FeNO) 측정은 천식 평가에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천식 의심 환자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BDR) 및 만니톨 기도 과민성(AHR) 여부에 따른 FeNO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FeNO를 측정한 기관지 천식 의심 환자들(≥ 13세)중 BDR 및 AHR 검사를 시행한 대상자들 두 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에서의 나이, 폐활량, 호산구, 혈청 총 IgE, 아토피 상태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각 FEV1 및 FEF25-75%을 기준으로 하여 각 검사 결과에 따라 FeNO 값을 비교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검사 양성을 예측하기 위한 ROC 곡선을 구하였다. 결과: BDR 검사군 124명, 만니톨 AHR 검사군 145명으로 총 259명의 환자들을 분석하였고 양 군의 평균 나이는 각각 52.8세와 35.3세였다. 환자의 BDR 여부, AHR 여부, 아토피여부, 혈액 호산구 분율(4% 기준)과 총 IgE 값(300 IU/mL 기준)에 따른 FeNO 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BDR 및 AHR 검사에서 FEV1의 기관지 확장제 사용 후 최종 증가 정도 및 PD15 값과 FeNO와의 상관관계가 FEF25-75%의 최종 증가 정도 및 PD15 값보다 더 높았다. BDR 및 AHR 양성을 예측하기 위한 위한 최적의 FeNO 결정값은 각각 38.5와 29.5ppb였다. 결론: 천식 의심 환자에 있어 FeNO는 BDR 및 AHR과 연관이 있었으며 양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보조적인 진단역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Exhaled nitric oxide (NO)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as a marker of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and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is recognized as a useful tool for its evalu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eNO levels and bronchodilator response (BDR), and between FeNO and mannitol-indu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n patients with suspected asthma. Methods: Clinical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aged ≥ 13 years with suspected bronchial asthma and measured levels of FeNO. These levels were compared with patient values f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FEV1) and forced expiratory flow at 25 and 75% of the pulmonary volume (FEF<sub>25-75%</sub>) in bronchodilator response tests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during bronchial provocation with mannitol. Correlations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between FeNO levels and each test were assessed. Results: A total of 259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an ages of the two test groups were 41.1 and 47.8 years, respectively. FeNO level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bronchodilator response (%) and with the mannitol dose producing a 15% fall in FEV1 (PD15). On the other hand, FeNO levels were only weakly correlated with FEF<sub>25-75%.</sub> The optimal cut-off values for FeNO to predict a positive BDR and AHR were 38.5 and 29.5 parts per billion,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FEV1 and FEF<sub>25-75%</sub> airway responses correlate with FeNO levels in patients with suspected bronchial asthma. FeNO levels may help to predict positive responses to BDR and AHR. (Korean J Med 2017;92:458-466)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에 정착한 시설장애인의 탈시설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른 구조화와 검증 -

        박광옥(Park, Kwang Ok),오욱찬(Oh, Uk Chan),김성희(Kim, Seong Hee),오다은(Oh, Da 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1

        이 연구는 Robert K. Yin(2011)의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라 총 11개의 탈시설 영향 요인의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고, 지역사회에 정착한 탈시설 장애인 총 25명의 사례를 기반으로 탈시설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미시, 중시, 거시, 시간체계에서 총 24개의 촉진 요인, 총 15개의 지연 요인이 검증되었으며, 미시체계에서 ‘가족 형성 및 재구성’, ‘시설 입소 상황’ 등 2개의 촉진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에는 개인과 시설 단위의 미시 체계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탈시설을 촉진할 수 있는 중간, 거시 체계 차원의 긍정적 지원과 개입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을 촉진하기 위해 미시 체계의 수준을 넘어선 다양한 환경 체계의 지원과 교류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장애인 탈시설 지원을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case study method of Robert K. Yin(2011) to present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11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in accordance with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verified the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25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left residenti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 facilitators and 15 inhibitors were verified in micro, intermediate, macro, and temporal systems, and two new facilitators were derived in micro-systems: ‘family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and ‘facility entry situation.’ This showed that micro-system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facility level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positive support and intervention at the intermediate and macro-system levels to promote the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move out of the residential facility in the future, several policy measures and practical suggestions, including the need for support for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beyond the micro-system level, were presented.

      • 녹색 보호주의와 국제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한 한국 무역의 발전 방안 연구

        곽동철(Dong-Chul Kwak),강민지(Min-Ji Kang),박영서(Yeong-Seo Park),오다은(Da-Eun Oh) 한국글로벌무역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usiness and Trade Vol.2021 No.1

        This paper analyzes ways to develop Korean trade in response to rapidly changing green protectionism an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identify regulations in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under green protectionism, analyze the impact of these regulations on Korea, and the direction and measures of Korea’s development in the green protectionist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used the data of prior research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Korea’s institutional shortcoming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regulations, and institutions of advanced countries. Finding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o promote t rade, we should make efforts such as i ntroducing a preemptive system in line with green protectionism, possessing related technologies in line with regulations of major countries, and preparing them in advance. If it responds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can solve the fact that exports are biased against only a few countries and respond to green protectionism. Of course, support at the Government level will be essential to this. Research Implications – Measures should be taken to cope with environmental regulatory levels in countries subject to export. Measures include having related technologies, improving its own environmental level, and revising existing regulations. In addition, Korea also needs to establish its own domestic teco-friendly trade regulation system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green protectionism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