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웹 드라마에서 탄막(彈幕) 사용자의 이용동기, 획득충족,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염영영 ( Yan Ying-ying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중국 웹 드라마에서 새롭게 선보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 탄막(彈幕: Danmaku) 사용자의 이용동기와 획득충족(Gratification Obtained)이 무엇이며, 탄막 이용동기가 탄막의 이용행위(읽기/올리기)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행위가 획득충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국에 거주하고 웹 드라마를 보면서 탄막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총 32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웹 드라마 탄막 이용동기는 ‘시간 보내기’, ‘오락추구’, ‘정보추구’, ‘공동시청’, ‘사회교류’, ‘팬덤’등 총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 드라마 탄막 이용 후 얻는 획득충족은 ‘사회교류’, ‘ 공동시청 ’, '팬덤', ‘오락추구’, ‘시간보내기’등 총5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 드라마 탄막 이용동기가 탄막 이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탄막 이용기간은 이용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탄막 이용동기 요인 중 ‘공동시청’ 요인은 탄막 ‘읽기’, ‘오락추구’ 요인은 탄막 ‘올리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웹 드라마의 탄막 이용기간이 오래될수록 이용자는 더 적극적으로 이용행위에 참여하며 ‘공동시청’이 높을수록 웹 드라마를 보면서 탄막을 더 많이 읽고 탄막을 더 적극적으로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웹 드라마의 탄막 이용행위가 이용 후 획득충족에 미치는 영향 결과 이용기간은 ‘공동시청’, ‘팬덤추구‘, ’오락추구‘, ’시간보내기‘ 충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2단계에서 1단계에 투입한 요인과 탄막 ’읽기‘와 탄막 ’올리기‘를 투입한 결과 탄막 이용기간은 ‘오락추구’ 충족요인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탄막 ‘읽기’와 탄막 ‘올리기’는 모든 획득충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웹 드라마에서 탄막을 이용하는 시청자의 이용 태도가 어떠한지를 분석함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motive of use and Gratification Obtained of user of Danmaku, the communication means newly presented in Chinese web drama as well as the influence of motive of use on use behavior (reading/uploading) and Gratification Obtained. For analysis, the question papers of 325 persons living in China and experienced in using Danmaku while watching web drama was analyzed.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motive of use for Danmaku in web drama has 6 factors, e.g., ‘killing time’, ‘pursuit of amusement’, ‘pursuit of information’, ‘common viewing’, ‘social association’, ‘fandom.’ Second, Gratification Obtained acquired after using web drama Danmaku is found to have 5 factors, e.g., ‘social association’, ‘common viewing’, 'fandom', ‘pursuit of amusement’, ‘killing time’. Third, the analysis of influence that motive of use for Danmaku in web drama on the act of using Danmaku shows that the term of using Danmaku has active influence on use behavior. Further, the factor of ‘common viewing’ out of the motives of use for Danmaku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reading’ Danmaku and ‘pursuit of amuse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uploading’ Danmaku. Viewing such result, when the term of using Danmaku in web drama is longer, users participate in the act of use more actively and when ‘common viewing’ is more prevalent, users read Danmaku more and upload Danmaku more actively as they view web drama. Fourth, according to the influence that the act of using Danmaku in web drama has on Gratification Obtained after use, term of us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gratification factors such as ‘common viewing’, ‘pursuit of fandom’ ‘pursuit of amusement’ ‘killing time’. Inputting factors input in the 1st stage and ‘reading‘ Danmaku & ’uploading’ Danmaku in the 2nd stage, the term of using Danmaku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gratification factor of ‘pursuit of amusement’ only. Further, both ‘reading’ Danmaku and ‘uploading’ Danmaku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actors of gratification obtain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ow viewers’ using attitude is when they use Danmaku in Chinese web drama.

      • KCI등재

        카메라의 달리숏과 줌숏 움직임 차이에 따른 감성선호도 분석

        염영영 ( Ying-ying Yan ),김종무 ( Jong-moo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시네마토그래프(Cinematographe)는 스틸(Still) 카메라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복제하고 이를 대중에게 보여주는데 성공하였다. 초기 영화는 기술적 한계로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하고 롱숏(Long Shot)의 단조로운 숏으로 촬영하였으나 카메라 기술의 발달과 카메라가 흔들리지 않고 촬영이 가능한 장비인 달리(Dolly), 트랙(truck), 지미짚(Jimmy-Jib) 그리고 스테디캠(Steadicam)의 등장으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가 같이 움직이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무빙숏으로 달리숏(Dolly Shot)과 줌숏(Zoom Shot)이 있다. 달리숏과 줌숏이 시각적으로 유사한 영상을 담아내지만, 렌즈의 초점길이 변화와 화각크기에 따른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와 원근감의 차이가 뚜렷하게 존재하는데, 이러한 차이에 대한 감상자의 감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에 본 연구는 달리숏과 줌숏의 차이에 따른 감성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달리숏과 줌숏으로 촬영된 2종류의 영상을 제작하고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추출한 총 4쌍의 어휘를 104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달리숏과 줌숏차이에 따른 편안한/불편한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편안한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달리숏과 줌숏 차이에 따른 자연스러운/어색한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자연스러운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달리숏과 줌숏차이에 따른 지루한/흥미로운 감성선 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흥미로운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달리숏과 줌숏 차이에 따른 입체적인/평면적인 감성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줌숏보다 달리숏에서 더욱 입체적인 감성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달리숏이 줌숏에 비해 편안한, 자연스러운, 흥미로운 그리고 입체적인 감성선호도를 보인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무빙숏을 사용하는 촬영에서 감상자의 감성 선호도를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Cinematographe successfully reproduced mechanically the movement which could not be embodied by Still camera and showed it to the public. Although the movie was filmed with monotonous shot of Long Shot, fixing camera on the tripod due to technical limit at the beginning, more natural image could be delivered to viewers as camera moves with subjec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 appearance of Dolly, track, Jimmy-Jib & Steadicam, the equipment with which photography can be realized without agitating camera. The representative moving shot is Dolly Shot and Zoom Shot. Although Dolly Shot and Zoom Shot make visually similar video, the difference of Depth of Field & perspective caused by change in the length of lens focus & the size of lens view angle. Since the appreciators`` evaluation of this sensibility on such difference is less studie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Dolly Shot & Zoom Shot. To this end, 2 kinds of image filmed with Dolly Shot & Zoom Shot were produced and 4 pairs of vocabulary extracted by discussing with expert became subject of question papers submitted to 104 o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comfortable/inconvenient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comfortable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natural/clumsy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natural emotion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boring/interesting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interesting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Four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verified in the cubic/plane sensibility pre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Dolly Shot and Zoom Shot. Much more cubic sensibili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Dolly Shot rather than Zoom Sho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Dolly Shot showed comfortable, natural, interesting and cubic sensibility preference compared to Zoom Shot. We wish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appreciators`` sensibility preference in the photography where moving shot is in use.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위챗(WeChat) 모멘트를 통한 정보공유 의도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이론, 합리적인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왕예 ( Wang Rui ),염영영 ( Yan Ying Ying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 사용자들의 정보공유 동기를 알아보고 정보공유 동기가 정보공유 태도,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주관적 규범이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위챗 모멘트를 이용하는 대학생 62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위챗 모멘트 정보공유 동기는 ‘정보추구’, ‘사회적 영향’, ‘자아표출’, ‘관계유지 강화’로 나타났다. 둘째, 위챗 모멘트 정보공유 동기 요인 중 정보추구 요인을 제외한 사회적 영향, 자아표출, 관계유지 강화 동기 요인은 정보공유 태도와 정보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챗 모멘트 정보공유 태도와 주관적 규범 모두 정보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위챗 모멘트 이용자들의 정보공유 행동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정보공유 행동을 촉진하거나 감소시키는 요인을 이해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es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sing WeChat Moment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sharing motives on information-sharing attitudes and intentions,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norms on information-sharing intentions.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27 university students who use WeChat Moment,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 software.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motives for information sharing on WeChat Moment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seeking, social influence, self-expression,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Second, among the motives for information sharing on WeChat Moment, social influence, self-expression,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motives, excluding the information-seeking motive, significantly influenced information-sharing attitudes and intentions. Third, both information-sharing attitudes and subjective norms on WeChat Mo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information-sharing intentions. These finding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sharing behavior of WeChat Moment users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promote or inhibit information-sharing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