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인보(鄭寅普)의 고문(古文) 문장론(文章論)

        여희정 ( Yeo Hee-jeo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8 No.-

        정인보(鄭寅普, 1893~1950)는 근대 한학(漢學)의 대가로서 한글글쓰기와 한문글쓰기를 병행했던 인물이다. 본고는 정인보의 문학관의 전모를 살피기 위한 일환으로 그의 한문산문을 대상으로 고문(古文) 문장론을 고찰한 것이다. 정인보는 문(文)은 자신이 절실하게 느낀 바 `진(眞)`을 다하는 것일 뿐이며, 진(眞)의 표현 자체가 도(道)라는 도본표리(道本表離)를 주장하며 저마다의 개성의 표출인 문(文)을 긍정하면서도 윤리적인 문관(文觀)을 제시했다. 이러한 문관을 바탕으로 고문의 법도에 매이기보다는 한결같이 자신의 `의(意)`를 밀고가는 `일주어의(一主於意)`의 창작 태도를 강조했다. 그가 강조한 `층변심입(層變深入)`의 전개 또한 `의`를 심화시키기 위한 표현 방법이었다. 한편 그는 `의`를 추동시키고 끝까지 밀고 가는 힘이 작자의 `기(氣)`에 있다고 보며 `의`보다 `기(氣)`를 우선시했다. 특히 `치빙(馳騁)`의 기세(氣勢)를 강조한 것은 옛 것에 안주하기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절실히 느끼고 과감하게 시대에 대응하는 것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가 동성파(桐城派)를 추종하는 현실을 비판하며 장태염(章太炎)을 높게 평가한 것도 장태염이 옛 것을 바탕으로 현재를 일깨울 수 있는 새로운 학문적 업적을 생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옛 것에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돌아보며 현재를 일깨운다는 `추고성금(追古醒今)`은 그의 학문과 글쓰기를 관통하는 근본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바로 이러한 정신으로 자기혁신을 통해 현실에 창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문의 계승을 희망했던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Jeong In Bo`s (鄭寅普, 1893-1950) literary theory for ancient prose (古文). Jeong In Bo insisted that literature (文) should be something that purely expressed one`s own truthfulness (眞), and he emphasized that authors should express their own thoughts (意) without regard to external norms while writing. He also presented a method to intensify one`s own thought (意) by changing and deepening it in layers (層變深入). Meanwhile, he placed the emphasis on inner force (氣) rather than thought, as he considered that one could only express one`s thought completely with inner force. In particular, he emphasized using one`s inner force daringly, since he favored responding to the times over resting on the past. Therefore, he criticized the traditional intellectuals who simply followed Tong Cheng Pai (桐城派), whereas he highly valued Zhang Tai Yan (章太炎) who produced scholastic achievements in response the present based on traditional learning. In short, pursuing the ancient and awakening the modern (追古醒今) was the essential goal underlying his learning and writing. With this ambition, he hoped to succeed in ancient prose and to innovate within the genre.

      • KCI등재

        금창흡(金昌翕)매화시의 특징:「松栢堂詠梅」를 중심으로

        여희정 ( Hee Jeong Yeo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매화는 문인들이 오래도록 애호해왔던 시적 제재인데, 특히 18세기에 이르면 창작방식이 다양해지고 전통적인 상징이 해체되는 조짐을 보여준다. 본고는 이 시기의 매화시 창작에 김창흡의 매화시가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주목하고, 「松栢堂詠梅」 의 구성과 형상화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松栢堂詠梅」의 전체적인 구조는 5언 율시 2수를 다시 7언 율시 14수로 의미를 확장시켜 나간 형태이다. 7언 율시 14수는 도입-중간-결말로 구성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독립적인 시편들이 병렬로 이어지는 가운데 몇 가지 주제나 이미지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구성은 대상에 대한 다양한 詩情을 자유롭게 담아내면서도 하나의 주제로 응집되는 효과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형상화면에서 김창흡 매화시의 주요 특징은 첫째, 존재의 본질을 응시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매화에 내재하는 太極을 체인하고 이를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매화 인식에는 邵雍의 영향이 감지되는바, 관련 용어들을 시어로 차용하여 근원적인 의미를 담지하면서도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매화묘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는 대상의 외면이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그릴 것을 주장하는 창작론으로 연결된다. 둘째, 「松栢堂詠梅」는 새벽 배경이 주요하게 반복됨으로써 매화와 화자의 맑음과 새로움의 의미를 강화하고, 淸新한 미감을 자아내고 있다. 매화시의 史的전개 과정에서 볼 때 김창흡의 매화시는 매화에 대한 보다 더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을 모색한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대상의 본질을 직시하고 정신을 담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한편 대상의 본질에 대한 주체의 체험이 강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태도는 사물에 대한 통찰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主知的이면서도 대상과 합일되는 주체의 체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主情的이다. 바로 이러한 점이 李秉淵?李鳳煥등과 같은 18세기 후대 문인들의 매화시 창작에 영향을 미쳤으며, 당대 시단에 제기된 眞의 문제와도 연관된다고 본다. The apricot flower has been the literary persons' favorite poetical materials for a long time, and particularly in the 18th century, writing styles became diverse and there were signs of the traditional symbols being dissolv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nfluence that KimChang-heup'apricot flower verses exerted on the writing of the apricot flower poetry at that time to a certain extent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poetic imagery of ''Songbaekdangyeongmae.'' The overall structure of ''Songbaekdangyeongmae'' is the form expanding from 2 verses of 5 lines to 14 verses of 7 lines. The 14 verses of 7 lines are composed of introduction, the middle, and conclusion, and in the middle part, independent vers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several themes and images appear repeatedly. It can be said that such a composition has the effect of expressing diverse poetic sentiments toward the objects freely while concentrating into a single theme. In terms of poetic imagery,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im Chang-heup's apricot flower poetry are as follows. First, it gazes at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concretely embodies it. In other words, it recognizes taegeuk inherent to the apricot flower and attempts to embody it. In such perception of the apricot flower, the influence of 邵雍is perceived and it can be seen that, while containing fundamental meanings by converting relative terms into poetic words, the concrete and sensuous description of the apricot flower is being made. Furthermore, it is connected to discourse on writing that demands the description of the essence, rather than the exterior, of the object. Second, ''Songbaekdangyeongmae'' strengthens the meanings of lucidity and newness of the apricot flower and the poet by repeating the backdrop of dawn, and gives fresh aesthetic sentiments to the verse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pricot flower verses,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Kim Chang-heup's apricot flower verses are the exploration of fundamental and essential approach to the apricot flower. The attempt to look directly in the essence of the object and express the spirit concretely was made while the principal entity's experience of the essence of the object was emphasized. Such a writing attitude is intellectual-oriented in that it emphasizes the insight into the objects, and is emotional-oriented in that the main entity's experience of being united with the objects is emphasized. It is such aspects that exerted influence on the 18th century literary persons such as LeeByeong-yeon and LeeBong-hwan in the posterity, and is related to the matter of the ''truth[眞]'' that exerted influence on the poetical circles at that time.

      • 두보 "기주(夔州)이후"시의 조선적 수용

        여희정 ( Hee Jeong Yeo ) 시학과 언어학회 2013 시학과 언어학 Vol.24 No.-

        Joseon intellectuals recognized Dufu`s peoms of the post Kuizhou era separately among his peoms and metioned them in various method. The discourses on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had started to show up in earnest since the mid-Joseon perio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aspects. First, there had been skeptical discourses in the16th and 17th centuries. In these discourses,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were recognized as works that were unworthy of learning or achieved lower level than his poems of previous Kuizhou. This recognition was related to Zhuzixue(朱子學) that influenced Joseon intellectuals and revivalism in literature that had been thriving in the mid-Joseon period. Second, some scholars regarded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as the highest level works. However, they didn`t mention why these works are excellent. In these disourses, it was a self evident fact. And then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served an function of basis in poetic discourses that pursu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 among nature, poems and poets. These discourses had been repeat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with citing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It was beacuse the case of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brought cheer to unlucky poets who have tal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