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병원 종사자의 업무에 따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여대중(Dai Jung Yeo),이준형(Jun Hyung Lee),양윤준(Yun Jun Yang),윤영숙(Yeong Sook Yoon),이언숙(Eon Suk Lee),김정일(Jung Il Kim),김성은(Seong Eun Kim),김동준(Dong J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5 스트레스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업무장소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201명의 병원종사자이고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직무스트레스의 가장 주된 요인은 감정노동의 세부항목인 감정노동빈도와 감정표현주의정도이었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의 평균은 중환자/수술실, 일반병동, 건강검진센터, 외래 순이었다. 검진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외래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보다 높고 중환자/수술실 종사자보다 낮았다. 검진센터 종사자는 외래종사자보다 전문지식 부족과 대인관계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검진센터 종사자는 중환자/수술실 종사자보다 업무량 과중, 전문직 갈등, 밤근무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검진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이 다른 부서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의 요인과는 다르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 경감 방안을 생각할 때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nd analyze job stress according to work place in hospital employees. Participants were 201 hospital employee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1.0.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The strongest predictor of job stress was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and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And the average job stress was highest in operating room/intensive care units, followed by general wards, health promotion center, outpatient depar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and outpatient department employees in lack of skill, interpersonal environmental strain and the average job stress. The job stress of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outpatient department employees. And it was lower than the intensive care unit/operating room employees.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have a higher job stress than outpatient department employees due to lack of skill and interpersonal environmental strain.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have a lower job stress than operating room/intensive care units employees due to role overload, role conflict, night work. Job stress factor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differ from those of other hospital department. And different approach is necessary to relieve job stress in health promotion center employees.

      • KCI등재

        병원종사자에서 직무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연관성

        김동준(Dong Jun Kim),이언숙(Eon Sook Lee),양윤준(Yun-Jun Yang),윤영숙(Yeong Sook Yoon),이준형(Jun-Hyung Lee),여대중(Dai Jung Yeo),김정일(Jung Il Kim),김성은(Seong Eun Kim),송은경(Eun Gyoung Song),이지연(Ji Yeon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2

        직무스트레스는 심혈관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건강행태가 이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 음주, 운동, 수면 등 건강행태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5년 일개 대학병원의 전 직원 98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에 충실하게 응답한 687명의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습관을 분석하였다. 설문 내용은 나이, 성별, 결혼, 직업, 직위, 교대근무여부, 정규직여부를 조사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KOS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스트레스를 얼마나 느끼는지 스트레스 인지를 평가했으며 건강 행태로 흡연, 음주, 운동, 불충분한 수면을 조사하였다. 현재 흡연, 문제 음주, 비 운동, 불충분한 수면을 종속 변수로 두고 KOSS 점수와 하위척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KOSS 총점은 남자 50.8점, 여성은 56.2점으로 높은 스트레스 범위에 있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KOSS 하위 요인 중 직무요구도가 높을수록 불충분한 수면이 많았다(OR 1.04, 95% 1.01∼1.08 in men, OR 1.02, 95% 1.00∼1.04 in women). 남성의 총 KOSS 점수는 불충분한 수면과 연관성을 보였다. 여성은 직무자율성이 결여될수록 운동을 하지 않았다. 교대근무자에서 문제 음주가 많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불충분한 수면이 많았다(OR 6.7, 95% CI 2.2∼22.5 in men, OR 2.2, 95% CI 1.4∼3.5 in women). 병원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음주, 운동 및 불충분한 수면 등 생활습관과의 연관성을 보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ssociation of job characteristics or occupational stress with health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s. Total 687 employee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and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s demographic factors (age, marriage) an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job type, job position, shift work, type of employment. Perceived stress and occupational stress assessed by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were also measured. Outcome variables was bad health behavior such as current smoking, problem drinking, no exercise and insufficient sleep.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in male and female because of different health behaviors by sex. In male, there was association between insufficient sleep and occupational stress, total score and subscales like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In female, it was observed an association between insufficient sleep and job demand. Irregular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insufficient job control, job insecurity in female. Problem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shift worker. Insufficient sleep was related with stress perception. In conclusion, there are an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s.

      • KCI등재

        정규직여부가 건강행태,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성은(Seong Eun Kim),윤영숙(Yeong Sook Yoon),양윤준(Yun Jun Yang),이언숙(Eon Sook Lee),이준형(Jun Hyung Lee),김동준(Dong Jun Kim),김정일(Jung Il Kim),여대중(Dai Jung Yeo),이지연(Ji Yeon Lee),송은경(Eun Gyoung So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의 급증은 심각한 사회 문제의 하나로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과 고용 불안정성 등이 근로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정규직에서의 낮은 건강 수준은 흡연, 음주, 운동, 스트레스와 우울, 삶의 질 저하와 같은 건강 위험 요인들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고용 형태와 근로 형태가 임금 근로자의 건강 행태,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846명의 성인(20세∼60세)을 대상으로 정규직 여부, 근로형태, 근로시간이 운동, 흡연, 음주, 건강 검진 시행 등의 건강행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 등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건강 검진과 암 검진을 받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고 삶의 질(EQ-5D) 항목 중 일상활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 또한 건강 검진 미수검이 높았고,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더 많이 느꼈으며 EQ-5D 중 운동능력, 일상활동, 불안/우울 항목에서 더 많은 문제가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남성 비정규직이 건강 검진과 암 검진을 받지 않을 교차비는 각각 3.88 (95% 신뢰구간, 2.58∼5.85), 1.77 (1.19∼2.65)로 정규직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여성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나쁜 건강 행태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 야간 근로자의 현재 흡연의 교차비는 주간근로자와 비교하여 2.85배(1.51∼5.35) 더 높았다. 비정규직 여성에서 우울감을 느낄 교차비는 정규직 여성과 비교하여 1.8배(1.06∼3.05) 높았으며 삶의 질 항목 중 일상생활에 문제가 있거나 불안/우울감을 더 많이 느낄 교차비도 각각 5.12 (95% CI: 1.06∼24.8), 2.08 (1.07∼4.04)로 비정규직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변랑 분석에서 정규직/비정규직 여부는 남녀 모두 스트레스와 관성을 보여주지 못하였지만(p>0.058) 주당 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인 경우 40시간 미만과 비교하여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낄 교차비가 남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남자 1.54: 1.04∼2.28, 여자 1.66: 1.19∼2.32).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비정규직이 정규직과 비교하여 건강행태, 정신건강, 삶의 질이 나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건강행태,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health status of non-regular worker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employment and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QOL). We analyzed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1846 adults (aged 20∼60 years) were includ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ployment type, work type, and work hours on health behaviors (medical exam, cancer screening, smoking, alcohol intake, exercise), mental health (stress, depressed mood), and QOL (EuroQol-5D (EQ-5D)). We observed that male non-regular workers were likely to take less medical check-up and cancer screening and to have more problems with usual activity domain of EQ-5D. Female non-regular workers also took less medical check-up, felt more stress and depression, and had significantly more problems with mobility, usual activity, and anxiety/depression domain of EQ-5D.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ratios(ORs) for not having medical check-up and cancer screening in male non-regular workers were 3.88 (95% confidence interval [CI], 2.58∼5.85) and 1.77 (1.19∼2.65), respectively. Female non-regular workers have significantly higher OR for having depressive mood (1.80, 1.06∼3.05) and having problems with usual activity (5.12, 1.06∼24.8), and anxiety/depression (2.08, 1.07∼4.04) domain of EQ-5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or health behavior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but female night shift workers have significantly higher OR for current smoking (2.85, 1.51∼5.35) compared with day workers. This study showed that non-regular employment was associated with worse health behavior, mental health, and Q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