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멸구의 비래와 기상과의 관계

        엄기백,박중수,이영인,최궤문,이문호,이정운 한국응용곤충학회 198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7 No.4

        ABSTRACT Brown planthopper collection data by 151 light traps located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for 7 years from 1981 thru 1987 were analysed with each immigration wave in relation to daily weather charts when the immigration occurred, and summarized as below. 1) Most of the main immigration took place during the mid and late July, though there were some variations from year to year. 2) Number of the BPH collected at one time, and the number of the area where those immigrants where collected were increased when it occurred closer to the end of July. 3) Weather conditions when the immigration took place were divided into 4 types; (a) depression with stationary front passed over the central peninsula (A type, 12 times); (b) depression with stationary front passed over the southern sea (B type, 5 times); (c) stationary front passed over the central peninsula(C type, 7 times); (d) without depression and stationary front (D type, 2 times). 4) Whatever the types of the weather, those immigrations started to land from south-west part of the peninsula, and those numbers of immigrants were also grater at those south-western areas. 5) When common weather factors were counted from each weather chart of the days when thcse immigrations took place, presence of wind from south-west was 26 times, presence of stationary front was 24 times, and presence of depression was 17 times out of all 26 cases of immigration. 6)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immigration of the BPH into Korea is simply accompanied by the north$.$easterly flowing air currents, connected from south-east part of China through Korean peninsula. And other factors seem to be related with inducing their landing.anding. 1981년부터 '87년 7년간 전국 151개 예찰소에 유아등으로 채집한 별멸구 유살성적을 비래파별로 구분하고 일일기상도와 850mb천기도를 근거로 비래시기의 기상형채를 검토한 결과 1)벼멸구의 주비래시기는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주로 7월 중.하순이었다. 2) 비래량은 7월 하순에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비래지역도 넓어졌다. 3)벼멸구 비래가 있었던 시기의 기상은 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A type)가 12회로 가장 많았고, 전선과 저기압이 남해안과 제주도를 통과할 때(B type)가 5회, 전선만이 걸쳐 있을 때 (C type)기 7회, 전선과 저기압이 통과가없을 때 (D type)가 2회 기록되었다. 4) 어니 브래형테에서나 우리나라 서남지방부터 비래가 있었으며, 이 지역이 비래량도 많았다. 5)비래시기에 기상의 공통점은 850mb천기도상에서 비래원으로 추정되는 중국 남부지방으로부터 남서풍이 불어오고 있었으며(26회중 26회), 강우전선은 26회중 24회, 저기압은 26회중 17회였다. 6)이상의 결과로 벼멸구는 중국으로부터 남서기류를 따라 이동해 오면 이동하는 과정에서 낙하를 유발하는 조건(전선등)이 있을 때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品種間 멸구·매미충의 發生相 調査

        嚴基白,李文弘,崔鐀文 한국응용곤충학회 198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5 No.2

        경남(慶南) 진주지방(晋州地方)에서 1977년(年), 78년(年)에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인 밀양(密陽) 23호(號)와 일반계(一般系) 품종(品種)인 추청(秋晴)벼를 재배(栽培)하여 4종(種)의 멸구 매미충의 밀도(密度)를 조사하였다. 애멸구는 전체적(全體的)인 발생량(發生量)이 적었으나 추청(秋晴)벼에서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끝동매미충은 추청(秋晴)벼, 흰등멸구 벼멸구는 밀양(密陽) 23호(號)에서 각각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時期別) 분포(分布)에서 추청(秋晴)벼에서는 6, 7, 8월(月)에 끝동매미충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으며 9월(月)에는 벼멸구가 많았다. 밀양(密陽) 23호(號)에서는 7, 8월(月)에는 흰등멸구가 8월(月)하순(下旬) 부터 9월(月)에는 벼멸구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The densities of plant-and leaf hoppers were examined by direct counting the rice plant of two varieties, Milyang 23 and Chucheongbyeo, in Chinju. The densitie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SBPH), Laodelphax striatellus, and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were higher on Chuchungbyeo than on Milyang 23 throughout the season, whereas those of white backed planthopper(WBPH), Sogatella furcifera, and Brown planthopper(BPH), Nilaparvata lugens were high on Milyang 23. Seasonal densities of planthoppers were varied with rice plant growth, on Chucheong field, GLH was the predominant species from June to August and BPH was in September, but in Milyang 23 field, WBPH was more abundent from July to August and BPH was increased from late August and was the highest on September.

      • 진주지방(晉州地方)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개체군(個體群)의 연중발생경과(年中發生經過)

        엄기백,이문홍,최궨문,박중수,UHM, KI-BAIK,LEE, MOO-HONG,Choi, Kui-Moon,PARK, JOONG-SOO 한국응용곤충학회 1986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4 No.4

        끝동매미충의 월동후부터 본답말기 까지의 밀도를 조사(調査)하여 발육경과(發育經過), 우화시기(羽化時期), 암성충의 성숙율등(成熟率等)을 조사(調査)하였다. 1. 끝동매미충은 주로 4령충으로 휴반잡초(雜草)에서 월동(越冬)하며 발육(發育)이 시작되면서 휴한답(독새풀)으로 이동(移動)하였다. 2. 월동성충(越冬成蟲)의 50%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4월(月) 8일(日) '78년(年)이 3월(月) 30일(日)이었다. 3. 월동성충(越冬成蟲)의 산란(産卵)은 4월(月) 하순(下旬)부터 5(月) 상순(上旬) 사이에 가장 많이 되었다. 4. 제1세대(第1世代) 성충(成蟲) 50% 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6월(月) 11일(日) '78년(年)이 6월(月) 10일(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본답(本畓)에서는 2세대(世代)를 경과(經過)하였으며 연도간(年度間) 큰차(差)없이 안정(安定)되어 있었다. 6. 머리파리류(類)에 의한 기생율(寄生率)은 7월중순(月中旬)부터 8월중순(月中旬)사이에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population in the field at Jinju in $1977{\sim}1978$. GLH density was observed by suction catcher (D-Vac, 33cm in diameter) for overwintering population and by direct visual counting for paddy field population. GLH overwintered mainly as 4th-instar nymph in the levee and moved to the foxtail growing in the paddy with development after winter. The mean emergence date of adults,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was on April 8 in 1977 and March 30 in 1978, and that of 1st generation was on June 11 in 1977 and June 10 in 1978. Adults of overwintered generation oviposited in foxtail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GLH occurred two generations in the paddy field and the population size in the paddy field was not greatly changed in two years.

      • KCI등재

        晋州地方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個體群의 年中發生經過

        嚴基白,李文弘,崔鐀文,朴重秀 한국응용곤충학회 198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4 No.4

        끝동매미충의 월동후부터 본답말기 까지의 밀도를 조사(調査)하여 발육경과(發育經過), 우화시기(羽化時期), 암성충의 성숙율등(成熟率等)을 조사(調査)하였다. 1. 끝동매미충은 주로 4령충으로 휴반잡초(雜草)에서 월동(越冬)하며 발육(發育)이 시작되면서 휴한답(독새풀)으로 이동(移動)하였다. 2. 월동성충(越冬成蟲)의 50%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4월(月) 8일(日) '78년(年)이 3월(月) 30일(日)이었다. 3. 월동성충(越冬成蟲)의 산란(産卵)은 4월(月) 하순(下旬)부터 5(月) 상순(上旬) 사이에 가장 많이 되었다. 4. 제1세대(第1世代) 성충(成蟲) 50% 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6월(月) 11일(日) '78년(年)이 6월(月) 10일(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본답(本畓)에서는 2세대(世代)를 경과(經過)하였으며 연도간(年度間) 큰차(差)없이 안정(安定)되어 있었다. 6. 머리파리류(類)에 의한 기생율(寄生率)은 7월중순(月中旬)부터 8월중순(月中旬)사이에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population in the field at Jinju in . GLH density was observed by suction catcher (D-Vac, 33cm in diameter) for overwintering population and by direct visual counting for paddy field population. GLH overwintered mainly as 4th-instar nymph in the levee and moved to the foxtail growing in the paddy with development after winter. The mean emergence date of adults,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was on April 8 in 1977 and March 30 in 1978, and that of 1st generation was on June 11 in 1977 and June 10 in 1978. Adults of overwintered generation oviposited in foxtail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GLH occurred two generations in the paddy field and the population size in the paddy field was not greatly changed in two years.

      • KCI등재

        越冬 二化螟虫 發育의 地域間 差異

        嚴基白,李正云,趙殷濟 한국응용곤충학회 198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5 No.1

        이화명충(二化螟蟲) 발육(發育)의 지역적(地域的)인 차이(差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전국(全國) 8 개(個) 지역(地域)에서 1984년(年) 11월(月) 하순(下旬)부터 12월(月) 하순(下旬)까지 월동중(越冬中)인 이화명충(二化螟蟲) 유충(幼蟲)을 채집(採集) 하여 1985년(年) 1월(月) 15일(日), 2월(月) 15일(日) 2차(次)에 걸쳐 가온사육(加溫飼育)하였다. 1. 용화전기간은 2차(次) 가온사육(加溫館育)에서 춘성산(春城産)이 17.9일(日)로 가장 빠르고 광산산(光山産)이 27.7일(日)로 늦었으며 1, 2차(次) 모두 위도(緯度)가 높은 지역(地域)에서 발육기간(發育期間)이 빠르고 위도(緯度)와 평균(平均) 용화전기간 사이에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2. 평균(平均) 용기간은 지역간(地域間) 큰 차(差)는 없었으며 우화(羽化)까지의 기간(期間)은 용화전기간과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우화(羽化)는 위도(緯度)가 높은 지역(地域)에서 빨리, 낮은 지역(地域) 에서 늦게 되었다. 3. 우화양상(羽化樣相)은 춘성(春城), 평택산(平澤産)은 뚜렷한 peak 가 있었으나 논산(論山), 이리(裡里), 광산산(光山産)은 뚜렷한 peak가 었이 불규칙(不規則)하게 우화(羽化)하였다. Local difference in post-overwinter developmental periods was investigated by incubating the overwintered larvae collected from 8 locations at begining January 15 and February 15. Based on the 2nd incubation test, it was found that Chunseong colony had the shortest pre pupal period of 17.9 days, while Gwangsan colony had the longest 27.7 days. In general, prepupal perio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atitudes. Average pupal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lonies. Adult emergence period showed the same trend as prepupal periods. Chunseong and Pyeongtaeg colonies emerged faster than the other colonies and showed a single peak of adult emergence, while Nonsan, Iri, Gwangsan colony showed several peaks of adult emer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