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및 비교

        양희문,김지홍,Yang, Hee-Moon,Kim, Ji-Hong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01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8 No.-

        강원도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산림의 구조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표본구 조사법에 의하여 군집 구조적 속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곡지역을 제외한 산복과 능선지역의 상층임관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계곡지역에서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는 가래나무, 능선지역에서만 높은 세력을 보이는 소나무 등에 의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수종구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사면방위 산림군집에서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인 우점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들에 비해 수종구성의 변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상층임관에서는 산복지역의 종다양도가 1.96으로 가장 높았으나, 중층과 하층임관에서는 계곡지역의 종다양도가 각각 2.66, 2.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선지역은 낮은 종풍부성과 균재성에 의해 모든 수관층에서 종다양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면방위에 따라서는 북동지역이 모든 수관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군집간 종다양도의 변이 역시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이 사면방위 군집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유사도는 산복과 능선지역이 가장 높게, 계독과 능선지역이 가장 낮게 산출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도 수치가 낮아 산림군집간에는 구조적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사면방위별 산림군집들은 전체 산림지역과의 유사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군집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Taking account of the structural variation on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the forest community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coefficien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or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and the four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overstory were Quercus mongolica in the mid-slope, the ridge, and all aspects areas, however,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were less similar than the stands of the aspects in species composition,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specific domonant species such as Juglans mandshurica in the valley area and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 area. 2. Among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the mid-slope area had greatest species diversity index in overstory, but the index of the valley had greater value than those of mid-slope and ridg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north-east area among the aspects had greatest the index in all canopy layers. However, The stands of the aspects showed more smaller variation than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3. The ridge area showed greate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mid-slope area, but showed lea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valley. However,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topographic positions had much smaller value than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aspects.

      • KCI등재

        天然闊葉樹林 主要 上層 林冠 樹種의 森林 形質 指數 推定

        金知洪,梁熙文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1999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5 No.-

        천연활엽수림에서 자생하는 활엽수종 고유의 생장 특성을 감안하여, 18개 주요 상층 임관 구성 수종을 대상으로 임목 형질을 평가하는 한 방편으로서 林木 形質 指數(tree form index; TFI)를 추정하였다. 선정된 6개의 형질 속성을 4개의 급수로 나누고 임목 개체의 전반적인 형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합당한 점수를 부여하였다. 18개 수종에 대하여 속성 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百分率로 환산한 후, 각 점수를 합하여 임목 형질 지수를 산출하였다. 각 쌍의 수종별 점수 차이와 18×6 行列을 바탕으로 集落分析(cluster analysis)을 시도하여 수종별로 어떠한 속성들이 공통적인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임목 형질이 가장 좋은 수종은 TFI 수치 80.8을 기록한 사시나무로 파악되었고, TFI 수치 46.3을 기록한 까치박달나무는 임목 형질이 가장 좋지 않은 수종으로 분석되었다. 70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지수를 획득한 상층 임관 수종들은 사시나무, 거제수나무, 들메나무, 느릅나무 등으로서, 통직하고 완만한 수간, 높은 枝下高, 좁은 樹冠, 가는 가지 등의 특성을 갖는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60점 미만의 낮은 지수를 얻은 수종들은 팥배나무, 산벚나무, 복장나무, 가래나무, 까치박달나무 등으로서, 굽었거나 기울어진 수간, 낮은 枝下高, 넓은 수관, 굵은 가지 등의 성격을 갖는 경향이 있었다. 집락분석 결과에 의한 分類圖에서 Euclidean 距離係數 임의의 값 10은 연구 대상 수종들을 4개의 뚜렷한 樹種群으로 분류하였고, 각 수종군에 대한 임목 형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Noticing the intrinsic growing habit variations of hardwood species which is indigenous to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eighteen tree species in overstory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evaluating tree form so as to develop the tree form index(TFI). Selected six tree form attributes were arbitrarily divided four assessment criteria and given appropriate scores. Eighteen tree species were undergone corresponding scores, converted to percentage base, and estimated TFI by the summation of the six scoring values.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view which attribute would have been shared among species based on dissimilarity of scores for each pair of species in 18×6 data matrix. The result showed that Populus davidiana had the highest TFI value of 80.8 and Carpinus cordata had the lowest TFI value of 46.3. The species which received more than 70 of TFI are Populus davidiana, Betula costata, Fraxinus mandshuric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haracterized by the advantage of straight and longer bole, the narrower crown, and the thinner branch. On the contrary, such species as Sorbus alnifolia, Prunus sargentii, Acer mandshuricum, Juglans mandshurica, and Carpinus cordata received less than 60 of TFI, characterized by the disadvantage of the crooked or forked stem, the wider or deeper crown, and the thicker branch. In the dendrogram produced by cluster analysis, arbitrary value of Euclidean distance 10 divided eighteen species into four distinctive groups, an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 천연활엽수림의 우세종 및 우점 가능 수종 평가에 의한 경영대상 수종 선정방안

        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강원도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수종구성과 천이경향 분석에 의해, 적지적수 개념에 입각하여 현재 산림에서 우세한 세력을 보이는 우세종과 미래에 산림을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는 우점 가능 수종을 평가하고, 산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활엽수 용재 생산 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경영대상 수종을 선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1. 우세종의 평가를 위해 고안된 '최대우점수준(MLD)'과 '최대 가능한 우세종의 수(MND)'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 산림의 상층임관 수종구성을 대상으로 우세종을 평가한 결과, 전체 산림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가래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등 5개 수종이, 계곡지역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신갈나무 등 3개 수종이, 산복지역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 가래나무 등 4개 수종이, 그리고 능선지역은 신갈나무와 소나무 등 2개 수종이 우세종으로 평가되었다.<br/> 2. 추이행렬 모델에 따라 미래에 세력이 크게 증가하거나 현재의 우세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종을 파악한 결과, 전체 산림지역은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 등이 우점 가능 수종으로 평가되었으며, 계곡지역에서는 가래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찰피나무, 층층나무가, 산복지역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가 그리고 능선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 가능 수종으로 평가되었다.<br/> <br/> 이 연구에서 제시한 천연활엽수림의 경영대상 수종 선정 방안을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찰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개개목의 형질 평가와 수종의 가치평가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어 이들 방법과 병행되는 보다 발전적인 방안이 모색된다면 복잡한 수종구성을 갖는 천연활엽수림의 생태적인 산림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br/> Based on the estimation of dominant species and potential dominant species using species composition and successional tendenc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is study suggested desirable species to achiev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 in order to maintain forest stability and enhance hardwood timber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br/> 1. Evaluating the suggested indicators for dominant species; ‘the minimum level of dominance(MLD)’ and ‘the maximum numbers of dominance(MND)’,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Juglan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and Cornus controversa were selected for dominant species of the whole forest area in the study forest. Taking account of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pattern by topographic positions, we selected J. mandshurica, C. controversa, and Q. mongolica in the valley area, Q. mongolica, Q. serrata, Tilia mandshurica, and J. mandshurica in the mid-slope area, and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in the ridge area.<br/> 2. Predicting the future species composition by transition matrix model, Acer mono, Fraxinus rhynchophylla, Q. mongolic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were evaluated as potential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forest. J. mandshurica, A. mono, F. rhynchophylla, T. mandshurica, and C. controversa in the valley area, A. mono, F. rhynchophylla, Q. mongolic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in the mid-slope area, and F.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were evaluated.<br/> The suggested indicators for selecting desirable species, with the indicators for evaluating tree quality and species valuation, would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 for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Many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indicators to select desirabl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