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고천문 유적의 지역적 분포와 특성에 대하여 -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 유적을 중심으로 -

        양홍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2

        한국과 중국에는 오랜 천문 역사와 함께 많은 유물과 유적이 남아 있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체계적인 천문 기록이 남아 전해지고 있는데 이들 기록을 살펴보면 천문역법과 28수 별자리체계 그리고 성도 등 전통천문학 전반에 걸쳐 중국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국의 고대 천문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탓에 역사시 대 이전의 두 나라의 천문학 특징과 상호 교류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청동기 시대 고인돌 덮개 돌에 새겨진 별자리와 고구려 고분 벽화의 별자리 배치 체계 그리고 삼국사기에 기록된 독자적 천문 기록의 사실 검증에 대한 몇몇 연구를 통해서 역사시대로부터 이어진 우리의 고유한 천문 지식과 문화에 대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중국은 고고천문학 연구를 통해 중국 여러 지역에서 발굴된 역사시대 이전의 천문 유물과 유적에 대해 그 내용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국의 고고천문 자료들은 역사시대 이전 고대의 문화 지역 인 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 앙소문화(仰韶文化),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 그리고 홍산문화(紅山文化)와 하가 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화지역에서 발견된 고고 천문 자료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한반도와 인접한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천문 유적을 중심으로 중국 다른 지역의 고고천문 유적과 비교하였다. 하모도문화에서 발견된 고고천문 유물의 특징은 뼈나 도자기에 태양을 상징하는 그림을 그린 것으로 당시 사 람들이 태양을 중시하거나 신성시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중원 내륙에 위치한 앙소문화에서는 무덤에 북두 칠성과 사신체계를 표현한 천상도와 도기에 그려진 별이 발견되어 원시적인 별자리 체계가 형성되고 있는 모 습을 볼 수 있다. 산동반도에서 발견된 대문구문화의 대표적인 고고천문 유물은 도자기에 그려진 태양그림이 다. 산 위에 화염과 함께 그려진 태양그림은 단순히 상징적인 도안을 넘어 일출몰 전후에 산 위에 있는 태양을 관찰한 모습을 보여준다. 대문구문화에서는 태양 그림 외에도 태양조 토템을 상징한 그림이 도자기에서 발견 되었는데 모두 태양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에서 발견된 고고천문 유적은 우 하량(牛河梁)과 동산취(東山嘴) 그리고 성자산(城子山)으로 이들 유적은 진남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천 문 방위 측정에 사용된 곳으로 보이는 입간측영의 장소도 함께 발견되었다. 또한 유적의 모양이 고대의 우주 구조론인 천원지방(天圓地方)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고대 제천의식의 장소로 이해되고 있다. 하모도문화 대문구문화 그리고 앙소문화 지역의 고고천문 유적은 도자기나 무덤 등 개별적인 유물에 천문 기 록이 남아 있는 반면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특징은 개별적인 유물이나 무덤이 아닌 집단의 대표적인 장소에 천문학적 요소가 남아 있다.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이러한 고고천문 유적의 특징은 과거 이들 지역에서 천문이 지배 계급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활용되고 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제천 의식의 장소 가 모두 진남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당시 천문관측을 통해 방향을 측정하였음을 말해주며 남아 있는 입간측영의 장소는 당시의 천문관측 사실을 뒷받침 해준다. 중국 고고천문 유물이 발견된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태양과 관련된 유적이 발견된 하모도문화와 대 문구문화 지역은 모두 중국 동쪽의 해안 근처에 위치하며 원시 별자리 자료가 남아 있는 앙소문화는 중국 내 륙 중심에 위치한다. 개별적인 천문 유물이 남아 있는 이들 세 지역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반 면, 제천의식과 관련된 제단 유적이 남아 있는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 유적지는 이들 세 지역과 멀리 떨 어진 중국 동북부 지역인 한반도 인접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역사시대 이전의 고대문화는 지리나 기후 등 여러 지역적 환경요소에 따라 그 특징적인 모습이 나타난다. 이 러한 사실은 중국 고고천문 유물의 지역적 분포 특성에서도 잘 나타난다. 고대로부터 천문학이 주변 문화와 교류하면서 발전해 왔다면 인접한 문화 지역의 천문학적 특징을 통해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 한반 도의 고고천문 유적을 찾아 한반도와 인접한 지역의 특성과 비교한다면 천문학 뿐 아니라 우리 고대 문화의 특징과 역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남한과 북한의 천문용어 비교 분석

        양홍진,최고은,임인성,최현규,노경란,최효정 한국천문학회 2019 天文學論叢 Vol.34 No.3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terms currently used by astronomers in the two Koreas to promote inter-Korean astronomy cooperation. We analyzed a total of 2716 pairs of terms common in both Koreas glossaries, using the astronomical terminology contained in the South Korean source, the ‘Terminology of Astronomy’, and the North Korean source, ‘Mirror 2.0’. For each pair of terms,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and meanings were compared. We categorized into 11 groups for comparison of astronomical terms. We found that most of the terms are used similarly in the two Koreas. About 47% of the total is similar in form. Although terms are different, meanings communicate about 37% of the total. As a result, similar terms used by the two Koreas correspond to about 85% of the total. However, 15% of term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they have different forms or meanings such as diffraction (회 절/에돌이), flare (플레어/요반) etc. Further research on terms that are used differently by the two Koreas, and the conversion of appropriate terms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 KCI등재

        Path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지 그룹 탐지에 대한 연구

        양홍진,이상진,윤지원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3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7 No.4

        악성코드 유포지로 악용되는 국내 서버가 증가하고 있다. 공격자는 여러 악성코드 유포지를 미리 확보하고 있다가 악성코드 유포지가 차단되면 다른 악성코드 유포지를 통해 동일 악성코드를 계속 유포한다. 따라서 악성코드 유포지 그룹처럼 관리되는 유포지들을 한꺼번에 신속하게 차단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Path를 이용하여 동일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있는 사이트 그룹을 탐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30개의 URL을 수집하였고, 해당 URL을 통해 악성코드를 내려받아 샘플화 하였다. 수집한 URL에서 Path를 분리한 후, 국내 IP와 조합하여 동일 악성코드가 탐지되는 웹 서버가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각각 1개 이상의 다른 악성코드 유포지가 탐지되었고, 해시값이 다른 악성코드 1개도 탐지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악성코드 유포지 그룹 탐지 방안은 선제 대응 조치가 가능하여 추가 피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number of domestic servers used as distribution sites for malicious code is increasing. The attacker has several malicious code distribution sites in advance, and when one malicious code distribution site is blocked, the same malicious code continues to be distributed through other malicious code distribution sites.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quickly block distribution sites that are managed like a malicious code distribution site group.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a group of sites distributing the same malicious code using Path. Thirty URLs distributing malicious codes were collected, and malicious codes were downloaded through the URL and sampled. After separating Path from the collected URL, it was combined with domestic IP to test whether there was a web server in which the same malicious code was detected. As a result, more than one different malicious code distribution site was detected, and one malicious code with different hash values was also detected. Therefore, the method for detecting malicious code distribution groups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help prevent additional damage by enabling preemptive response measures.

      • KCI등재

        태백산 개천절 제의 깃발에 그려진 별자리 연구

        양홍진,Yang, H.J. 한국천문학회 2010 天文學論叢 Vol.25 No.4

        Gaecheonjeol is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when people hold a harvest ceremony. Nowadays, two representative harvest ceremonies of Korea are performed at Mt. Mari (摩利山) and Mt. Taebaek (太白山) on Gaecheonjeol (October 3rd). We study 28 flags with constellations appearing in the ceremony of Mt. Taebaek. These flags are lying in the outer of the circular stone wall during the ceremony. They represent an oriental heavenly star chart. We examine the shape, the connecting-pattern, the name, and the number of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and find several errors, such as, a wrong position, a typo of name, an irregular size, an omission, and so forth. Traditionally, the 28 oriental constellations are usu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has its own colour for each direction: Blue (E), Black (N), White (W), and Red (S). For the constellation flags in Mt. Taebaek, the colour of the flags is painted based on geographical directions, but the constellations are arranged followed by the direction of the celestial sphere. Thus, constellation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are counterchanged. Finally, we suggest some possible criteria for constellation map of the flags in this paper.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and CheonMunRyuCho (天文類抄) can be essential references for correcting constellations drawn in the flags of Mt. Taebae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