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생애와 부(賦)에 대한 고찰

        양승천 ( Yang Seung-cheo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양응정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관료이자 문인으로, 호남지방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전개한 중심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552년 식년문과에서 을과로 급제를 하였고, 1556년 문과 중시에서 내수외양책에 의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하였다. 또한 대사성을 두 번이나 지냈고, 문장에도 능하였다. 양응정이 주로 활동했던 시기는 16세기 중엽 명종과 선조 때이다. 목릉성세로 일컬어지는 이 시기는 시와 문장이 찬란한 꽃을 피웠다. 이 시기를 예비하고 주도했던 인물은 주로 호남 출신이거나, 호남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문인이었다. 이들 중에는 목릉성세 터전의 기초를 닦았던 인물도 있고, 그 시대의 주동적인 처지가 되어 이끌었던 인물도 있다. 양응정의 경우는 목릉성세 터전의 기초를 닦았던 인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양응정은 세 편의 부(賦) 작품을 남겼다. <사(射)>, <태백묘(泰伯廟)>, <대장불기재(大匠不棄材)>가 그것이다. <사>는 『예기』 <사의>를 참고하여 지은 것이고, <태백묘>는 『논어』 <태백>을, <대장불기재>는 『맹자』 <진심장 상>을 참고해 지은 것이다. 문학 작품은 작가정신과 의식의 소산이므로, 필연적으로 그가 살고 있는 시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세 편의 부는 그가 활동했던 16세기 중엽의 명종과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그의 우국충정이 아늑하게 서려 있다. <사>에서는 시대적 혼란기에 사대부와 선비들의 정신을 진작시킬 중요한 방법으로 활쏘기를 권장하여, 그들이 문무를 겸한 만방의 모범이 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 <태백묘>에서는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한 조정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역사적 사실을 인용해, 선조의 왕위 계승 문제를 합리화하고 있다. <대장불기재>에서는 임금이 인재를 발굴해 쓰려 할 때는, 혹시라도 인재를 버리는 일이 없이 잘 파악해 적재적소에 골고루 써야 한다는 것이다. 양응정은 많은 부 작품을 남기지 않고, 세 편의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의 부는 신라 최치원의 <영효> 이후로,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내려오는 우리나라 부의 문학사에서 한 단락을 차지하는데 얼마간의 도움이 되었다고 하겠다. Yang Eung-jeong, who was a bureaucrat and literary artist from the mid-Joseon era, was one of key literati active in the Honam region. He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 of the civil official division-B class in 1552. In 1556, he passed another higher level examination as the top winner by writing about ‘South-North Winning Measures’ under the theme of “the policy of governing internally well and boosting power externally.” In addition, he served as the Head of Confucian Education Department twice, and was excellent in writing essays, becoming one of the poets which dominated the so called prosperous period. It was the times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in the mid-16th century that Yang Eung-jeong was mainly active. That era, which was called the prosperous period, bloomed the activities of writing poems and essays. Figures, who helped create that era, were mainly those literati from the Honam region or closely related with Honam. Among them were the founders of the prosperous period, and opinion leaders of that time. Yang Eung-jeong is seen 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prosperous period. Yang Eung-jeong left three poetic essays, which are < Archery >, < Shrine of Taebaek >, and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 Archery > was written based on the Meaning of Archery of 『The Book of Rites』 ; < Shrine of Taebaek >was based on Taebaek of 『The Analects』 ; and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was based on Daejang of 『Mencius』. The writers should be influenced by their times since their literary works are the outputs of their spirits and understanding. The three works, which were set in the times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in the 16th century, is filled with the patriotism of Yang Eung-jeong. < Archery > recommends the archery for noblemen and scholars as a way of promoting their spirit in confusing times, and wishes that they were models every inch equipped with literary ability and martial arts. < Shrine of Taebaek >, quoting the historical facts, rationalizes the enthroning of King Seonjo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he government due to the issu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suggests to kings that they should put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not to disregard talents. Yang Eung-jeong did not leave many poetic essays. However, his works, after the essay < Yeongho > of the greatest essayist Choe Chi-won from Sill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poetic essay genre of Korea which was handed down to Goryeo and Joseon from the previous times.

      • KCI등재

        松川 梁應鼎의 生涯와 憂國衷情 詠史詩 一考

        양승천(Yang Seung-Cheon)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3 No.-

        송천 양응정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관료이자 문인으로, 호남지방에서 활발한 문학활동을 전개한 중심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552년 식년문과에서 을과로 급제를 하였고, 1556년 중시문과에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하였다. 또한 대사성을 두 번이나 지냈고, 문장에도 능하여 목릉성세를 이루었던 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한국한 시문학의 금자탑을 쌓은 정철, 백광훈, 최경창과 같은 뛰어난 제자를 길렀다. 송천 양응정은 문인이면서도 군략에 조예가 있는 병법과 전술 등에 일가견을 가지고, 국방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등 현실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문과중시에서 장원한 그의 ‘남북제승대책’에서 국방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식들에게 머지 않아 남쪽에 외환이 있으리라는 것을 말하고, 장차 있을지 모르는 나라의 위험에 대비해 병법을 가르쳤다. 부친에게 병법을 배운 아들들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즉시 의병에 가담하여, 차남 양산룡은 운량장이 되어 군량을 조달하였고 삼남 양산숙은 진주성 싸움에서 33세의 젊은 나이로 목숨을 잃었다. 송천 양응정 사상의 핵심은 충, 신, 신독 세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그의 사상은 유교에서 선비가 지키고 마땅히 행하여야 할 행동 지침들로, 그 사상의 핵심은 현실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지니고 있는 생활적인 실천철학이었다. 그가 중시에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한것도 그런 맥락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송천 양응정 문집에는 영사시들이 몇 수 있는데, 모두 중국 역사에서 주제가 되는 재료를 취재한 작품으로, 우국충정 일화를 제재로 삼은 것들이다. 따라서 그의 영사시는 신념과 가치관을 역사적 인물에 투영시켜 형상화 한 것이므로, 그의 우국충정 정신이 녹아있다 할 것이다. Songcheon Yang Eung-jeong, who was a bureaucrat and literary artist from the mid-Joseon era, was one of key literati active in the Honam region. He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 of the civil official division-B class in 1552. In 1556, he passed another higher level examination as the top winner by writing about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addition, he served as the Head of Confucian Education Department twice, and was excellent in writing essays, becoming one of the poets which dominated the so called prosperous period. He fostered excellent disciples such as Jeong Cheol, Baek Gwang-hun and Choe Gyeong-chang who laid firm groundwork for Korea"s Sino-Korean poetry genre. Yang Eung-jeong was a literary artist and yet was good at military strategy and tactics, proposing specific national defense measures. As such, he was pragmatic. He, who passed the governmental examination as the first winner, proposed the pragmatic national defense measures in his writing of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addition, he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cope with foreign invasions in the southern region that he insisted would occur. The children, who were taught about military tactics, engaged in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s civil soldiers. Second-son Yang San-ryong became the head of logistics unit to procure food, and third-son Yang San-suk engaged in Jinjuseong battle, and unfortunately, died at the young age of 33. The key thoughts of Songcheon Yang Eung-jeong come down to loyalty, sincerity and integrity. His thoughts, which Confucian scholars should keep and practice, were anchored on his excellent insights into reality and pragmatism. In that context, he wrote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the governmental examination, by which he won the top spot. The literary collection of Songcheon Yang Eung-jeong contains several historic poems, which all took the subject matter of patriotism from the Chinese history. Thus, his historic poems, which were based on the conviction and values of historic figures, embraced his patrio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