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편이장비 컨설팅 효과

        양노열,정민에,유인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1

        목적 : 농촌진흥청은 농작업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통해 농작업 편이화 및 선진화를 도모하고자 2008년 부터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사업을 통해 농작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간공학적 환경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J 지역에 거주하며, 사과재배를 주업으로 하는 고연령?v(56±4.1)의 농업인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작업단계 및 기존 사용 장비를 조사하기 위해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를 인터뷰 설문으로 실시하고 농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OWAS, RULA, REBA)를 실시한 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개선된 편이 장비를 선정하여 보급하였다. 개선된 편이장비의 사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를 수행하고,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전체 장비(기존 장비,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설문을 자체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개선 전후로 실시된 인간공학적 평가를 비교하고, 기존 장비와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 결과, 사과재배는 크게 제초, 수확 및 운반, 선별의 3단계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작업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들이 발견되었다. 수동으로 사용하는 제초기, 수레,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어 빈번한 반복 작업과 중량물 취급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편이장비 사용결과, 인간공학적 평가에서 편이장비 사용 후 작업자세와 작업형태가 향상된 결과를 보였고, 장비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농업인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인간공학적 환경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현실적인 연구와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가 요구된다.

      • KCI등재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 개발

        양노열,정민예,유은영,박지혁,이재신,장기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3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수준을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AHA)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AHA의 개발을 위해 활동목록수집, 활동목록선별, 최종 활동목록선정, 척도수준 및 채점방법결정 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최초 수집된 활동은 38개였고, 3차례의 선별을 통해 26개의 활동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별과정에 참여한 대상자는 전문가 10명과 일반 노인 145명으로 이들에게 설문조사와 패널회의를 실시하여 얻은 각 활동의 적합성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활동을 선별하였다. 측정 영역은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으로 정 의하였고, 영역별 척도수준은 독립성을 3점, 어려움과 안전성에서 각 4점으로 구성하였다. 채점방법은 리커드 단순합계 척도법으로 결정하였다. 결과 : AHA는 3개의 측정 영역과 각 영역마다 선정된 26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활동목록에는 기본적일상 생활활동 14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11개, 여가활동 1개가 포함되었다. 결론 : AHA는 노인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의 수행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도구로, 향 후 재활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개선 등의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노열,박지혁,한대성,이주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4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4개 영역의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이직의도,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수준을 확인하였고, 일반적 특성별 이직의도 차이,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13.1/20점, 직무만족은 45.2/60점, 조직몰입은 17.4/30점이었다. 일 반적 특성별 이직의도의 차이는 성별과 월급여에서 유의하였고, 이직의도는 월급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의 변수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따라 유의한 영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중요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제공, 멘토링 제도 마련 등의 방안을 마련하여 작업치료사가 만족하면서 오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 survey of 33 questions in four areas wa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 total of 56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were estima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levels were 13.1 for turnover intention, 45.2 for job satisfaction, and 17.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gender and monthly payment. The turnover intention was correlated with monthly pay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regular training, an educational program, and a new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 영역에서 근로자역할인식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와 작업수행평가(Assessment of Work Performance)를 이용한 인간작업모델의 임상적용

        양노열,정해윤,차태현,홍기훈,정민예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3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5 No.1

        - 목적 : 인간작업모델에 기초하여 개발된 직업 관련 평가 중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가능한 근로자역할인식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 WRI)와 작업수행 평가도구(Assessment of Work Performance; AWP)를 소개하고 향후 직업재활 분야에서 인간작업모델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지체장애인으로 경도의 정신지체 증상이 있으며 왼쪽 손에 약간의 경직성 증상과 손가락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만 42세 남성 1명이다. 대상자의 심리사회적·환경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WRI를 사용했으며 전반적 업무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AWP를 사용하였다. - 결과 : AWP와 WRI 평가 결과 대상자는 일을 하는데 있어 신체적 측면에서는 무리 없이 업무 수행이 가능했지만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 의도가 관찰되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에게 초기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할때 신체적 측면과 함께 심리사회적·환경적 변수의 측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측정된 여러 변수들은 내담자의 잠재력을 결정한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utdy were to introduce vocation related assessments, the Worker Role Interview(WRI) and Assessment of Work Performance(AWP), which are complimentarily usable and developed on the bases of Model of Human Occupation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ileld. - Methods: On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 is a 42 years old male with mild mental retardation(MR), slight spasticity on left hand, and limited movements of fingers. Measurements included WRI which is an assessment tool designed to identify psycho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WP to evaluate an observation instrument for assessing work performance. - Results : As a results he reported the satisfaction rate about the work was low and the possibilities of changing job were found. - Conclusion : This indicates that evaluating not only physical factor is important but also psycho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 when implementing vacational rehabilitation to disabled people and these measured factors decide the client's potential.

      • KCI등재

        Comparison of the Hip Flexor Strength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Femoral Anterior Glide Type according to Manual Fixation of Femoral Head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양노열,전인철 KEMA학회 2023 근골격계과학기술학회 Vol.7 No.2

        Background Hip flexor strength is important for functional movements such as active straight leg raise (ASLR) and walking.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reported comparing hip flexor strength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femoral anterior glide type (FAGT) according to manual fixation of femoral head during ASLR. Purpose We compare the manual fixation effects of femoral head anterior glide on hip flexor strength during ASLR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FAGT. Study design A parallel-groups design. Methods A total of 30 subjects (15 with FAGT, 15 without FAGT) were participated. Each group was classified through the Kinetic Exercise based on Movement Analysis approach for FAGT. The strength of hip flexor muscles was measured during ASLR with and without femoral anterior glide fixation. The therapist’s manual provided the fixation of the femoral head during ASLR. The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was appli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vs. without FAGT: between factor) and conditions (with vs. without a manual fixation: within factor).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t α=0.05. Results In subjects with FAGT, the strength of the hip flexor was smaller during ASLR with manual fixation compared to without manual fixation (p=0.014). In subjects without FAG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ngth of the hip flexo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nual fixation (p=0.064). Conclusions The findings reported that a manual fixation of femoral head anterior glide during ASLR may contribute to the strength difference of hip flexor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FAG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AGT during ASLR in the clinical evaluation of hip flexor strength.

      • KCI등재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양노열,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3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수준을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장애가 없는 노인 36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71.2세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위해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수렴 타당도 산출을 위해AHA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Korean-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한국형 수단적 일상생활활동(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의 활동별 상관관계를 각각 알아보았고 판별 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일반 노인과 뇌졸중 노인의 수행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AHA의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91~.98,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8~.86의 분포를 보였다. K-ADL, K-IADL과 AHA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명칭이 일치하거나 유사한 활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또한 판별 타당도 검증에서는 일반 노인의 수행수준이 모든 영역에서 뇌졸중 노인보다 유의하게높았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HA는 일반 노인의 전반적인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재활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개선 등의 중재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which can assess the elderly’s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in the three areas of independence, difficulty, and safety. Methods : A total of 360 elderly people aged 55 or older without physic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HA,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nalyzed. Of them, we calculate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and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between the group of general elderly and the group of elderly after a stroke was compared.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within the range of .91 to .98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showed a range of .78 to .86.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of all sets of two activities with similar names or feat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The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that the general elderly people performed daily activities at a higher level than the elderly after suffering a stroke in all areas (p<.01). Conclusion : The AHA is a suitable instrument that can assess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of elderly people,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implementing interventions of training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ome modifications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 KCI등재

        일지역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Oswestry Disability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예비 연구

        양노열,박혜연,김진수,이주현,박수현,정민예,고상백 大韓産業醫學會 201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2 No.4

        Objectives: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is the most widely used tool validated instrument for measuring and the level of disability associated with low back disorders. We wanted to validate us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in Korean farmers with low back pain. Method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The Korean version was tested on 53 farmers (62.3±10.3 years of age) with low back-related disorders. We investigat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ODI.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in 30 farmers within a time interval of approximately 14 to 18 days.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and the Short Form 12 (SF-12), which includes 8 domains (general health, physical functioning, role-physical limitation, bodily pain, role emotional limitation, mental health, vitality, social functioning) were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correl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with the SF-12 was analyzed, as well. Result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st-retest reliability was 0.854. Reliability estimated by the internal consistency reached a Cronbach's alpha of 0.879. The correlation between 7 domains of the SF-12 except for the mental health domain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Four domains (general health, physical functioning, role-physical limitation, bodily pain) that measured physical status all showed high correlations (p<0.01), as did a domain that measured mental status (role-emotional limitation) (p<0.01).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ODI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disability in Korean farmers with low back-related disorders. The use of this instrument is recommended for future clinical trials in Korea. 목적: 현재 요통장애 수준 측정을 위해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ODI는 표준화된 신뢰성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ODI의 신뢰도 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농촌지역에서의 임상적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요통장애를 진단받고 현재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농업인 53명(62.3±10.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ODI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사용하였고,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구성타당도를 구하였다. 전체대상자 중 30명은 검사-재검사 신뢰도 산출을 위해 동일한 설문을 14~18일 후에 수행하였다. 구성타당도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SF-12의 각 영역과 한국판 ODI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결과: 한국판 ODI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는 0.879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급간내 상관계수는 0.854로 나타났다. SF-12의 8개 영역와 한국판 ODI의 피어슨 상관계수는 정신 건강 영역을 제외한 7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p<0.05), 이 중 신체적 수준은 모든 영역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신적 수준은 1개 영역에서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결 론 : 농업인의 신뢰성 있는 요통장애 수준 측정 검사도구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판 ODI는 농업인의 요통장애 측정에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검사도구이며, 향후 임상연구에서는 농업인에게 한국판 ODI의 사용을 권장한다.

      • KCI등재

        체감형 가상현실 훈련(Joystim)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양노열(N. Y. Yang),박희수(H. S. Park),윤태형(T. H. Yoon),문종훈(J. H. Mo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8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체감형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4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 시작 후,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1명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두 군은 하루 30분, 주 5회, 4주 동안 보편적인 작업치료를 총 20회기 받았다. 실험군은 체감형 가상현실 훈련을 회기 마다 30분 더 받았으며, 대조군은 보편적인 작업치료를 회기마다 30분 더 받았다. 결과측정은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Loewenstein 인지평가를 측정하였으며, 집중력과 시각기억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추적 검사와 시각기억을 측정하였다. 일상생활활동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 18명, 대조군 18명은 특정문제없이 실험을 완료하였다. 인지기능의 변화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집중력과 시각적 작업기억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이 있었다(p<.05). 일상생활활동의 변화량을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조관리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이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체감형 가상현실 훈련이 보편적인 치료보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participated in forty one patients with acute stroke.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20) or the control group(n=21). The both groups received th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during 30 min a day, 5 a week, 4 a weeks. Additionally,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on each session during 30 min/day, and control group conduct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on each session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LOTCA(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TMT(Trail Making Test), VM(Visual Memory), K-MBI(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In comparison of change score of cognitive fun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in attention and visual working memory than the control group(p<.05). As a result for change scor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greater improvement in self care than the control group(p<.05). Our findings suggest tha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may have a effects of the improvements of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n conventional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 KCI등재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성인들에게 목 돌림 수행 시 시각적 생체되먹임 적용이 목의 가쪽 굽힘 움직임 패턴과 목빗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노열 ( No Yul Yang ),오재섭 ( Jae Seop Oh ) 대한물리의학회 2014 대한물리의학회지 Vol.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differences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neck rotation angle, neck lateral bending angle and neck lateral bending onset tim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METHODS: Ten male and four female adults with condition of forward head postur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Subjects conducted to left and right maximal neck rotation under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During neck rotation, kinematic data of neck rotation, neck lateral bending movement, and electromyography activities of bilateral sternocleidomastold muscles were collected. Differences in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lateral bending angle, while lateral bending movement onset time was delayed significantly when applying visual biofeedback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ation of left and right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neck rotation angle between condition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biofeedback may be effective for axial rotation of cervical spine during neck rota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KCI등재

        가속도계를 이용한 양손 움직임 비교분석: 예비연구

        이주현,양노열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2

        목적 : 본 연구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일상생활활동 과제 수행 시 양손 움직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방법 : 원주 Y 대학교에 재학 중인 정상 성인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 과제는 Jebsen Hand Function Test 7개 하위항목으로 하였으며, 비우세손목과 우세손목에 가속도계를 교대로 착용한 후 수행하였다. 결과 : Jebsen Hand Function Test 7개의 항목별로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움직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글씨쓰기 항목에서만 유의한 결과(t =-2.394, p<.05)가 나왔으며, 비 우세손목(M=2476.2, SD=802.2) 이 우세손목(M=1456.2, SD=667.6)보다 움직임이 더 많았다. 나머지 항목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 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움직임 차이가 있는 활동에서는 가속도계가 측정도구로서의 의미가 있었으나 임상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앞으로 적용 대상자 수를 늘리고 일반 적 특성, 다양한 대상군을 고려한 가속도계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