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왈슈의 모델에 기초한 비서구 미술비평에 대한 고찰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1998 造形敎育 Vol.0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edagogical methods of art criticism for non-Western art by explo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teaching art criticism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paper several pedagogical art criticism formats are reviewed: Feldman(1973), Broudy(1988), Mittler(1980), Hamblen(1984), Lankford(1984), Anderson(1993), and Fehr(1994), Because current methods of art criticism focus more on pluralistic or multicultural approaches, external cues such as historic and contextual information is broadly emphasized and evaluated in this paper. Walsh’s ten-step DBAE model is used for art criticism of non-Western art. This model encourages students to study non-Western art by search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es. This paper also shows how each step of Waish’s model can be applied to Korean folk paintings, hwacho (Bird and Flowers) screens.

      • KCI등재후보

        미국의 최근 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02 造形敎育 Vol.0 No.20

        We live in an era at a society of information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constantly being generated, exchanged, and shared among users through the medium of electronic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fast and broad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World Wide Web has been expanded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The common use of the Internet has brought many potential benefits in our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the field of art education. Art and art education-related Web sit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mid 19908. It has greatly affected art educators and art teachers' interest in the Internet and its role in art education. Art teachers around the world have actively incorporated the Internet into art curricula. Korea is no exception. Under a new vision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Korean art teachers have been showing their interest in adapting the Internet to their art lessons. Using the Internet, art teachers attempt to retrieve art information, publish Web pages for displaying their student art works and exchange lesson plans and ideas. Under such environment, it is timely to do research and discuss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the Internet as a tool for art educ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nternet-based ar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 country has actively attempted to build a positive environment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it can give us a new perspective on the Internet-based art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to examine the rationale for the use of the Internet in art education; 2) to discuss the role of the Internet in art education and 3) to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et use in art education. The rationale for the Internet in art education can be found i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brought by our society that has been changing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In this changing society, it is impo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미술교육: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의 지역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49

        This study has focused on ‘Opening Doors’ program for healthcareprofessionals run by Tate Liverpool, one of the national galleries of art in U.K. The aim of the study is to show main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andto examine how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communication that contemporary healthcare service seeks. The program has beenstructured upon ‘Five Ways to Well-bing’ promoted by the New EconomicsFoundation(NEF) and composed of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with the focu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As a result, the programhas empower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improve their personal well-being aswell as communication with their patients or service users by developing theirmultiple perspectives, sensitive awareness of others’ needs, active and openrelationships, reflective thinking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majoroutcome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ervice. Firstly,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 to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be developedthrough integrating healthcare communication and visual arts. Secondly, integrativeand experiential approach to healthca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to developedthrough partnerships with art museums or cultural institutions in communitie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researches on the outcomes ofintegrating healthcare and visual arts are to be activated. Therefore, the study haspushed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by showing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healthcare communication. The study also can be valued as an interdisciplinaryinquiry between healthcare and visual arts. 이 연구는 영국의 국립미술관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이 의료·보건 전문인 대상으로운영해온 ‘오프닝 도어스(Opening Doors)’ 프로그램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프닝 도어스’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이 현대 의료․보건 서비스가 추구하는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오프닝 도어스’ 프로그램은 영국의 신(新)경제재단(NEF)이 제시한 ‘웰빙의 5가지 비결(Five Ways to Well-being)’에 기초하여 근‧현대 미술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활동들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의료․보건 분야 전문인들에게 자신의 정신적·신체적 웰빙을 증진할 뿐 아니라, 의료․보건 실무에 필요한 다중적 관점, 타인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 능동적․개방적인 인간관계 능력, 반성적 사고, 의사결정 능력 등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성과들은 국내 의학교육과 의료 서비스에 몇 가지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예술 분야의 협업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을 위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진을 양성해야한다. 둘째, 지역 미술관이나문화예술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통합적, 체험적인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의료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융합적 성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고, 그들의 업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지평을 넓혔으며, 의료 분야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학제적 탐구로서도 가치가 있다.

      • KCI등재

        DBAE의 확장을 위한 인터넷 활용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03 造形敎育 Vol.0 No.21

        During the late 1980s and the 1990s,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DBAE) has expanded from its original concept of the four disciplines to include such new components as multiculturalism, postmodernism,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Adoption of technology seems to be crucial when elaborating these new components of DBAE. Writ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have recognized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the Internet into DBAE. No existing literature, however, has shown how art teachers are using the Internet to enhance an expanded DBAE curriculum. This study has explored this timely issue, and documented how art teachers actually employ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y for art instruction with an emphasis on an expanded DBAE framework. Als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ternet can integrate DBAE into various theories such as multiculturalism,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constructivism. Using a survey data from 1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area, I find that the Internet is considered a useful tool to enhance an existing art curriculum, and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loy the Internet for art instruction including teaching the new components of DBAE. However,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majority of the respondents use the Internet for art production because of the current focus of studio-oriented art education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mor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non-production areas such as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in elementary classrooms. In so doing, we will enjoy the many benefits of expanded DBAE. Finally,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more discipline-specific Internet training for teachers is crucial in enhancing instructional use of the Internet in art classroo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9

        본 연구는 일반인의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미술 감상 동기 척도를 제작 하고, 미술 감상 동기와 감상자 개인 특성과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미술관 감상자들에게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해 질문하여 10개의 미술 감상 동기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예술적 동기, 정서적 동기, 교육적 동기, 사회적 동기로 구성된 8개 문항 4요인 미술 감상동기측정도구를 제작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미술 감상 동기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선척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성격과 후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미술 경험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격과 미술 경험은 미술 감상 동기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성격에서는 개방성, 미술 경험에서는 미술지식이 가장 큰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에서 성격은 예술적 동기를, 미술지 식은 교육적 동기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의 시각에서 미술 감상을 이해하고 전시 및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the art appreciation scal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s for art appreciation of general popul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e art appreciation scale, 10 items of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were created based on the preliminary open responses by the appreciators from the museu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4 factors with 8 items of the art appreciation scale and their reliability was tested.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consist of artistic, emo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motivations.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variabl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characteristics. Both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art appreciation and the strongest predictors were openness and art knowledge. For the specific factor of the art appreciation, personality best predicted the artistic motivation whereas art knowledge best predicted the educational motivation. Current findings will provide scientific support for the services of art exhibitions or education that better understand appreciators’ perspectives.

      • KCI등재

        인공지능(AI) 시대에 왜 영성(spirituality) 탐구를 위한 미술교육이 필요한가?: 포스트휴먼 신학에 기초한 이론적 고찰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6

        As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and AI has rapidly evolved in our daily l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 of why we need to explore spirituality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 theology.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in which human cognitive ability has been greatly challenged by the machine and human-machine hybridization has been accelerated, it has become necessary for an ontological reconceptualization of human beings, which should be done beyond ethics education, through spiritual education. Firstly, the concept of spirituality as human nature and educational theories seeking spirituality are examined. Secondly, the theme of spirituality in modern and postmodern art, and existing art education theories seeking spirituality are discussed. Thirdly, posthuman theme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al principals of spiritual exploration extracted from posthuman theology, and a need to explore spirituality in art education are suggested.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인공지능이 생활 속에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영성 탐구가 미술교육의 맥락에서 왜 필요한지에 대해 포스트휴먼 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기계에 의해 인간의 인지 능력이 크게 도전받고, 기계와 인간의 혼종화가 점점 심화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본성이 무엇인지 존재론적 재개념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윤리교육을 넘어서 영성교육을 통해 이루져야 하기 때문이다. 첫째, 인간의 본성으로 서의 영성 개념과 영성을 탐구하는 현대 교육 이론을 살펴보았다. 둘째, 영성의 주제를 다룬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가와 작품, 영성 탐구를 장려한 기존 미술교육론을 고찰하였다. 셋째,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의미와 아울러 포스트휴먼 신학에서 추출된 교육적 영성 탐구 원리를 제안하면서, 미술교육에서 이러한 영성 탐구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미술교육을 위한 교수 역량: 아오테이어러우어-뉴질랜드의 단상’에 대한 토론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

        먼저, 다양한 문화에 수용적인 미술 교육 실천을 위해 뉴질랜드의 교사교육과 현장교사의 반응에 관한 연구를 한국의 미술교육자들과 공유해주신 질 스미스 발제자께 감사드린다. 한국도 외국인 체 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2015년 194만 명), 결혼 이민자(26만 명)에게서 출생한 아동 수가 빠르 게 증가함에 따라 문화적 다양성을 살리는 학교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 교사교육 면에서 여러 가지 로 노력해 오고 있다. 발제자가 지적했듯이, 뉴질랜드의 20세 이하 청소년층의 인종이 매우 다양한 데 비해, 대다수 미술 교사는 유럽계 뉴질랜드인이라는 현실은 한국에도 동일한 문제점으로 대두되 고 있어 발제 내용이 한국의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교사는 ‘배운대로 가르친다’라는 경험 적 진실에 비추어 봤을 때, 발제자가 중등 예비미술교사를 양성하는 교수의 입장에서 가장 본질적 인 부분이라고 느낀 두 가지, 곧 예비교사의 교육 전략과 현장 교사의 문화적 반응성을 살펴본 것 은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발제 내용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