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푸코의 권력이론의 양상과 “주체”의 문제

        안현수 ( Hyun Soo A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권력이 주체를 예속화하는 다양한 방식을 살펴본다. 규율권력은 주체의 신체활동을 면밀하게 통제하면서 지속적인 복종을 강제한다. 규율권력은 주체를 개별화시키는 기술이다. 특정한 주체를 만들기 위해 공간과 시간을 통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규율체계는 규범에서 출발했고, 그 규범에 따라 실행된 훈육의 결과로 주체의 정상성이 만들어진다. 그에 반면 내치권력은 규율권력처럼 개별적인 신체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인간 전반에 작용하는 메타규율적인 성격을 갖는다. 내치체계는 점차 강제적인 통제에서 조절적인 관리로 변화가 발생한다. 생명권력은 인간이란 종의 근본적인 생물학적인 요소를 정치, 권력의 일반 전략 내부로 끌어 들이는 메커니즘의 총체이다. 생명권력은 ‘살게 만드는 권력’이다. 그래서 출생률, 사망률, 건강을 관리 통제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또한 생명권력은 ‘죽게 내버려 두는 권력’이다. 생명권력의 이와 같은 죽음의 기능은 인종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다. 또한 생명권력은 인구의 안전이 문제가 된다. 안전장치는 인구의 순환과 상호작용 문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푸코의 권력장치의 분석은 결국 인간의 통치문제와 관계된다. 통치성은 인간행동을 목표로 삼는다. 푸코는 그러한 영구적인 지배방식의 기원으로 기독교 사목제도를 들고 있다. 반면에 푸코는 사목제도에 끊임없이 저항하는 사례로서 ‘대항 품행’을 이야기 한다. 푸코가 말하고자 하는 저항의 실천은 복종화 된 주체의 현재 양태를 비판하는 실천과 사유에 있다. 푸코에게 진정한 저항이란 자기 수련을 발명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rincipal has the power to look at the various ways subordination. Physical activity is the subject of disciplinary power to closely control the Continuous submission to force. Power is subject to the discipline of personalized technology. Particular subject area and to make the way to control the time are mainly used. Disciplinary system is departure also from the norm, the norms of the discipline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subject is made normality. Power is power, police-power, while he governed, rather than acting as a separate body acting on a meta-discipline throughout the whole of human nature. Control of the internal police- system is gradually forced management to change the adjustment occurs. What kind of life, the power of the human element in the fundamental biological politics, power draw into the general strategy of the whole mechanism. Power of bio is the power to make live. So the birth rate, death rate, it is important to control and manage health problems. In addition, the power of bio is let them die power . Power of bio, death, the function of such a foundation is putting racism. In addition, the safety of life, the power of the population is a problem. Safety apparatus to interact with a population of circulating serves to manage the problem. Foucault`s analysis of power devices, and in the end the problem is related to the human government. The governmentality aimed at human behavior characteristics. Foucault is the origin of such a permanent way of governance institutions holding a Christian pastoral system. Foucault, on the other hand, the pastoral system as an example of the ever-resistance ``against the Code of Conduct`` to talk. Foucault is trying to say is subjected to fire resistance of the practice and criticism of the principal aspects of the current practice and the reasons are. Foucault invented the true resistance is to be self-training

      • KCI등재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subjectivite)"과 "진실(verite)"의 문제

        안현수 ( Hyun Soo A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과 진실의 문제를 논한다. 푸코는 주체가 진실에 다가가기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변형을 가하는 일련의 실천 경험 전반을 영성적 실천이라고 말한다. 푸코는 진실에 접근하는 주체의 영성적 실천이 데카르트에 와서 자기 인식의 형상으로 변모되었다고 본다. 세네카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의 실존적 운동을 푸코는 살펴본다. 이곳에선 시선의 실존적 운동을 통한 주체의 이동의 문제가 중요하다. 주체의 이동의 목적은 세계와의 단절이 아니라 현재 자기 자신의 위치와 자기와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 있다. 시선의 실존적 운동은 현재의 자기 자신을 정확히 볼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진실의 효과에 의해 자신의 존재 방식 전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근대적인 고백 장치는 주체에게 진실을 끊임없이 말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주체의 예속을 강화시킨다. 주체는 고백 담론 안에서 자신을 대상화한다. 푸코는 강요된 고백담론과는 달리 진실을 통해 자신을 구축함으로써 참된 담론의 주체가 되는 문제를 고대의 고행실천 속에서 찾는다. 진실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 참된 담론의 발화 주체가 되는 것이 바로 고대시대의 철학적 고행의 핵심이다. 그러한 고행의 대표적인 실천의 형식으로서 경청, 독서, 진실 말하기를 살펴본다. 진실을 경청하는 자는 침묵과 능동적인 주의가 요구된다. 독서를 통한 명상은 주체를 어떤 상황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문제가 중요하다. 마지막 진실 말하기는 자기 삶의 배려와 자기 실천 간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푸코에게 진실의 문제는 주체에게 이론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생의 실천 기술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참된 진실을 자기화 한 주체는 올바른 행위의 주체가 된다. Dans cet article, je voudrais examiner la relation de la subjectivite a la verite a partir de la pensee du dernier Foucault. Ce que Foucault appelle pratique de spiritualite, c`est une serie d`experience pratique qui fait que le sujet se transforme en vue de d`acceder a la verite. D`apres Foucault, cette experience pratique tranmise est radicalment modifiee depuis Descartes, car c`est celui-ci qui transforme la pratique de spiritualite en conscience de soi. Dans mon travail, le point de le regard que Seneque et Marc Aurele porte sur le monde signifie le mouvement existeniel. Par cet mouvement, le sujet ne s`objective pas dans la mis a distance a l` egard du monde mais il etablie au contraire sa place et son relation avec soi. Le mouvement existentiel du regard a pour but au subjet de se voir et fait qu`il se laisser transformer sous l`effet de la verite. Et pourtant dans l`epoque moderne, l`appareil d`aveu renforce l`assujetissement du sujet en l`obligeant a parler la verite. Dans le discours de la verite, le sujet se fait objet. A la difference de le discours d`aveu oblige, Foucault cherche a trouver le processus de la subjectivation dans laquelle le sujet se forme par la quete de la verite? Ainsi l`essence de la subjectivite fondee sur la quete pratique de la verite et qui se fait le sujet de discours se touve dans la pratique antique de l` askesis. Si le sujet cherche approprier la verite dans cette pratique, c`est par qu`il trouve la possibilite de devenir le veritable sujet. Or ce processus n`est pensable hors de la pratique de askesis. Cette conjonction entre la subjectivite et la pratique constitue le noyau de la comprehension de la verite. Par la on peut dire que la pratique de askesis est philosophique plutot que religiouse. C`est pourqoui la question de la verite chez Foucault n`est pas donnee au sujet sous la forme de theorie mais au sens pratique. Cette pratique doit etre entendue depuis la techne de la vie. C`est a travers l`examin du concept de pratique antique que je veux trouver le point conjoint entre la subjectivte et la verite.

      • KCI등재

        푸코의 주체화 : 영성과 파레시아를 중심으로

        안현수(An, Hyun-s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푸코의 주체화의 작업은 현재 주체의 근본적인 토대를 문제시한다. 현재의 주체화의 도식들사이에는 불연속성이 있고, 주체가 인식 과정을 통해 궁극적인 진리의 기초를 세우는 것은 불확정적이다. 여기서 문제는 주체를 단순히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인식의 보편적인 정초성이라는 확신을 포기하는 것이다. 푸코의 후기에 살펴본 주체화 연구는 철학적 경험을 새롭게 사유하는 방법과 실천을 보여준다. 이를 대표하는 것으로 고대의 영성훈련이다. 영성의 문제는 주체의 자기 배려의 기술과 연관된다. 그것의 목표는 자기와 자기의 권리, 완전한 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고대의 영성적 실천은 자기로의 전향을 의미한다. 자기로의 전향의 목적은 자기 인식의 전환을 포함한 외부 세계와 관련한자기를 구축하는 문제에 있다. 파레시아는 위험을 감수하고 자신이 믿는 진실을 솔직하게 말하는 용기이다. 그것은 진실이라고 믿는 바를 발언하는 실천이라는 점에서 진실과의 관계 맺기이다. 파레시아의 진실의 담론은발화자와 참가자 모두를 적극적으로 배려하는 실천이다. 파레시아 발언의 목적은 타자가 그 담론을 받아 들어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배려할 수 있는 주체로 형성하는 데 있다. 파레시아에서는 진리라고 믿는 말을 말할 의무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에서 진리를 직접 보여줘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한 삶의 전형은 견유주의자들의 간결한 삶, 타협하지 않는 삶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푸코의 주체화에 관한 논의는 현재의 주체성을 다시 사유하는 하나의 계기가 된다. 그것은현재의 주체화 과정에서 자기를 생성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푸코 철학이 지금 우리에게 제기하는질문이다. Foucault’s work on Subjectivation first question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the present subject. There is a discontinuity between the schemas of present Subjectivation, and it is uncertain that the subject establishes the basis of the ultimate truth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tion. The problem here is not simply to dismantle the subject but to give up the conviction that the subject is the universal origin of cognition. The study of Subjectivation in Foucault’s later period shows the method and practice of rethinking philosophical experiences. This is an ancient spiritual training. The problem of spirituality is related to the skill of the subject’s self-care. Its goal is to establish a perfect relationship with oneself and one’s rights. The ancient spiritual practice meant a conversion to oneself. The purpose of self-transformation is to build the self in relation to the outside world, including the transformation of self-awareness. Parrêsia is the courage to take risks and speak honestly about the truths that one believes. It is a relationship with truth in that it is the practice of saying what is believed to be truth. The discourse of Parrêsia’s Truth is a practice that actively considers both the speaker and the participant. The purpose of Parrêsia’s remarks is to shape the other into a subject that can accept the discourse and consider himself. In Parrêsia, one has an obligation not only to say what one believes is truth, but also to show the truth in one’s life. The epitome of such a life can be seen in the concise and uncompromising lives of the Cynics. The discussion on Foucault’s Subjectivation serves as an opportunity to rethink our subjectivity. What is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self in the process of Subjectivation in the present? This is the question that Foucault’s philosophy is asking us no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