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신분열병에서 리스페리돈의 초기 치료 반응을 통한 장기적 치료 반응의 예측

        안용민,김선욱,정성훈,김예니,강웅구,김용식 대한정신약물학회 200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4 No.3

        Objective : Risperidone, one of most wide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s, not only ameliorate positive symptoms of acute phase but improve long-term quality of life as well. To achiev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s, it is important to readjust treatment regimen in case of insufficient response at an appropriate time point.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is issue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past treatment history of 51 schizophrenics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more than 48 weeks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predetermined criteria, and CGI-severity scores at 7 selected time points were assessed. The time pattern of therapeutic responses was analyzed, and appropriate point of time to reliably predict the long-term efficacy was sought. Results : Thirty-one (60.8%) and twenty (39.2%) patients were respectively defined as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our criteri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osage of risperidone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t any time point evaluated. We observ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GI-severity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emerged after the 8th week, and that the treatment response profile during this phase might predict long-term outcom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8-week time point may be the most appropriate in assessing the clinical response to risperidone and the decision to continue with or to change the regimen. However, this study is a naturalistic study and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require further confirmative researches. 목 적: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대표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 하나로, 급성기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호전과 같은 장기적인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리스페리돈에 충분한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서 약물교체를 포함한 치료방법의 변경이 중요하다. 그러나 임상 상황에서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룬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방 법:본 연구에서는 48주 이상 리스페리돈으로 치료한 5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여러 임상 변인과 리스페리돈의 치료력을 조사하였다. 48주의 조사 기간 동안 모두 7개 시점에서 각각 CGI-severity를 평가하였으며, 48주째 CGI 점수의 변화 정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환자들을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기간에 따른 치료반응을 분석하였으며, 48주째의 장기적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을 구하였다. 결 과:51명 중 31명(60.8%)은 반응군, 20명(39.2%)은 비반응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평가 시점에서 두 군간에 리스페리돈의 용량은 차이가 없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8주 이후부터 두 군간에 CGI-s everity 점수의 변화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기 8주 동안의 치료반응으로 장기적인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었다.

      •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 (1) - 알고리듬과 임상지침서의 장·단점 및 개발과 관련된 일반사항 -

        안용민,김대진,권준수,박원명,이홍식,김용식 대한정신약물학회 200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3 No.1

        The rapid development of psychotropic drugs and great advancement in psychopharmacology during the past recent years has altered the strategy of pharmacotherapy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and in turn, an active development of variou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r algorithm has taken place. However, there could be problems with applying the foreign guidelines directly to our clinical situation, due to the differences in raci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onditions, government policy, and clinical practices. In addition, the changes of circumstances outside of clinical situation in Korea may distort clinical practices and may go even against the trend of recent psychopharmacology. As a solution to such problems,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KMAP) was launched with the support from the Korean Society of Psychopharmacology and Korean Society of Schizophrenia. However, si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lgorithms contain not only the advantages, but also disadvantages and risks, sufficient consideration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algorithms for the correct and appropriate use. Hence, this review provides a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clinical guideline and its limitation, its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in psychiatric field. Also, developing source,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also discussed. We hope that this review can make the purpose of KMAP clear and elicit the productive criticism on the newly developed Korean algorithm. 최근 많은 정신과 약물들의 개발과 정신약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은 주요 정신질환에 대한 약물치료 전략을 변화시켰고, 약물치료에 대한 각종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인종간의 특성, 사회경제적인 여건, 정책 및 의료행위 등의 차이로 인하여 외국의 지침서들을 국내에 바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최근에 급격히 변화하는 국내의 진료외적 환경은 자칫 의료행위를 왜곡시키며 시대적인 흐름과도 역행될 가능성 마저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국내용 알고리듬 개발사업이 ‘대한정신약물학회’와 ‘대한정신분열병학회’의 후원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은 장점뿐만 아니라 많은 단점과 위험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올바르고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알고리듬을 포함하는 임상지침서의 정확한 정의와 그 한계점, 장단점 그리고 정신과 영역에서 임상지침서 개발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았다. 동시에 개발의 주체와 방법, 보급 및 적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본 개발 사업의 취지를 바로 알리고, 개발된 한국형 알고리듬에 대한 생산적인 비판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판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II) : Comparison of Safety 안전성 비교

        안용민,권용실,권준수,민성호,박두병,양문정,소형석,송종호,신윤식,우행원,유범희,이홍석,정한용,한창환,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직접 교체 방법’또는 ’시작-감량 교체 방법’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정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지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 ’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 ’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의 올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량은 5∼20㎎ 범위로 제한하였다. 한정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복, 실험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 ’직접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 ’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 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l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 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ng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 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 KCI등재후보

        정신분열병 약물 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의 개발 계획

        안용민,강대엽,김승현,김창윤,심주철,안석균,이중서,조현상,박원명,권준수 대한정신약물학회 200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4 No.2

        As a solution about many problems of pharmacotherapy for Korean patients with major psychiatric disorders,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Major Psychiatric Disorders (KMAP) was launched. Recently, a medication algorithm for schizophrenic patient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his review article showed the designs, processes and methods for developing this algorithm. Also we compared the development of Korean algorithm for schizophrenics with other foreign representative algorithms 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 hope that this review elicit the productive criticism about the rigour and the system of development and the objectivity of content.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orean algorithm are also discussed in this review. 정신과 질환의 약물 치료에 대한 국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요 정신질환의 약물 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개발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종설에선 한국형 정신분열병 약물 치료 알고리듬 개발과 관련된 세부적인 개발 원칙, 계획 그리고 방법을 소개하였다. 동시에 정신분열병 약물 치료와 관련하여 가장 대표적인 외국의 임상지침서나 알고리듬의 개발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한국형’알고리듬의 개발 과정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종설을 통해 한국형 알고리듬의 개발 방법의 엄격성과 체계성 그리고 객관성 등에 대한 건전한 지적과 비판을 받고자 하며, 동시에 개발된 알고리듬이 지니는 근본적인 제한점과 문제점을 알림으로써 임상에서 적절히 사용되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 정신분열병에서 클로자핀 투여와 연관된 강박증상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인식

        안용민,정성훈,장재승,정선주,강웅구,권준수,김용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정신분열병에서 클로자핀 사용 중에 보이는 강박증상은 그 임상 양상의 다양성 때문에, 아직까지 정신병적 증상 그리고 클로자핀 투여와 연관해서 명확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강박증상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본 연구는 임상 증례를 통해 강박증상 발현 기전에서의 다양성을 설명함과 동시에 그 본질적 특성을 인식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방 법: 강박증상 형성과정에서의 차이가 정신병적 증상 또는 클로자핀의 투여와 연관되어 강박증상의 다양한 임 상적 차이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을 입증하기 위해 서울대병원 난치성 정신분열병 클리닉 에서 DSM-IV에 따라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되었으며 클로자핀을 복용하고 있거나 복용한 경력이 있는 환자 들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강박증상의 다양한 발현양상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에 동반된 강박증상의 다양한 발생 기전을 시사하는 환자군을 대표하는 2명의 증례는 비록 강 박증상이 클로자핀 사용 이전부터 있었지만 정신병적 증상과의 관련성, 클로자핀에 대한 반응성, 강박증상 자체의 치료 방법 등에서 분명한 임상적인 차이를 보여 그 분류가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고 보았다. 클로자핀 과 연관되어 발생한 강박증상의 다양한 형성경로를 시사하는 환자군을 대표하는 2명의 증례에서는 클로자핀 사용 후에 강박증상이 동일하게 새로이 나타났지만, 정신병적 증상과의 관련성, 클로자핀 용량 의존성 그리 고 발생 시기 면에서 각각 차이를 보였다. 이는 클로자핀 사용 중에 새로이 발생하는 강박증상도 단일한 기전이 아니라는 가정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강박증상의 내재적인 특성, 즉 증상구조의 분화과정에 대한 가설로 다양한 강박증상 양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였다. 많은 환자의 병록지를 기초로 하였지만 그 결과의 해석이 아직은 제한적이고 일반화되 기도 어렵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강박증상의 다양한 임상양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강박증상의 표 현형만으로 불가능하며 보다 내재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강박 증상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도로서 하나의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Objectives:Despite stockpiled case reports of obsessive-compulsive symptoms(O-C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associated with clozapine, it is still difficult to explain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psychotic symptoms, O-C symptoms and clozapine. The main difficulty lies in building an integrated hypothesis for a complex manifestation as O-C symptoms accompanied by psychotic symptoms. Thus we assumed that O-C symptoms shown in schizophrenic patients have diverse mechanisms in symptom formation, and that O-C symptoms developed after clozapine administration have various mechanisms as well. Methods:We reviewed charts of all the DSM-IV schizophrenic patients from the Refractory Schizophrenia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o are currently using clozapine or has previously used clozapine. Then,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four types implicating different mechanisms of O-C symptom formation. Results:O-C symptoms of first two cases implicating diverse mechanisms in symptom formation clearly showed clinical discrepancies, mainly the relationship with psychotic symptoms, responsiveness to clozapine use and therapeutic approach to O-C symptom per se. And the other two cases implying various mechanisms in O-C symptoms newly developed during clozapine use, also showed obvious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psychotic symptoms, dose-dependent pattern of O-C symptom during clozapine use and timing of onset of O-C symptom after clozapine administration. Conclusions:In order to explain the diversity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se 4 cases, we have paid attention to inherent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ymptom structure rather than the complex phenotype of O-C symptoms, and made explanatory model by applying and integrating several useful concepts, the ‘symptom conceptualization’ proposed by Berrios, ‘personal illness hierarchy’ proposed by Foulds and ‘structural dynamics of O-C phenomena’ proposed by Shoda. By proposing this model, we intend to describe the interplay between O-C symptoms, psychotic symptoms and clozapine treatment. This study is based on interpretations of the cases selected out of a great number of patients, and so it is hard to generalize. But we think it is worthwhile to build a hypothetical model for understanding the intricate manifestations of O-C symptoms in light of not only the phenotype but also the internal symptom structure.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핀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Ⅱ) - 안전성 비교 -

        안용민,권용실,권준수,민성호,박두병,양문정,소형석,송종호,신윤식,우행원,유범희,이홍석,정한용,한창환,김용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직접 교체 방법’ 또는‘시작-감량 교체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전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 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진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 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mg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mg의 올 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 량은 5~20mg 범위로 제한하였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실험 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 (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 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 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 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직접 교체 방법’ 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 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 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 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 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whereas for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initially 10mg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gn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 국내 정신분열병 및 분열정동장애 환자에서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의 효과와 안전성 비교 분석연구

        안용민,정성훈,김용식,한국 RODOS 연구자 모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연구목적 및 방법 : 대표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인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은 소위‘비정형성’을 갖는다는 측면에선 공 통적이지만, 두 약물들간에는 특성 차이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두 약물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국제 공동 연구인 RODOS(Risperidone and Olanzapine Drug Outcomes study in Schizophrenia)의 일환으로 국내 24개 병원의 정신분열병 및 분열형정동장애 입원환자의 의 무기록 재검토를 통해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의 효과와 안전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올란자핀 사용군이 리스페리돈 사용군에 비하여 이환 기간이 보다 길었고, 최초 입원 환자 비율과 최초 항정신병약물 치료 환자 비율도 보다 낮았다. 이런 변수들의 차이를 공변인으로 교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리스페리돈 사용군에서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 비율이 보다 높았으며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시점의 중간 값도 보다 빨랐다. 추체외로 증상의 발생률에선 두 약물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항콜린제 병용 비율은 리스페리돈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사용 중단 탈락 비율도 리스페리돈 사용군이 올란자핀 사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기타 부작용은 두 약물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증가는 올란자핀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두 약물을 처방한 환자 특성의 동등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 제점과 제한점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실제 사용 현황을 보여 주며, 이 약물들간의 단순한 우월성 비교 보다는 장, 단 점을 파악하고 약물 사용 시 지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Objectives:Risperidone and Olanzapine, two representative atypical antipsychotics, both have so called ‘atypicality’ in common;however, some discrepancies are expected. Considering this, studies have been surprisingly rare that had directly compared the two drugs head-to-head. We compared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Risperidone and Olanzapine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the patie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This study was a part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RODOS(Risperidone and Olanzapine Drug Outcomes study in Schizophrenia), and the total of 24 hospitals in Korea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Among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the duration of illness was longer in Olanzapine group. Also the proportion of first admitted patients, and that of first medicated patients were both lower in Olanzapine group. Though these baseline differences have been controlled as covariates, the proportion of responsive patients was higher, and the median value of the time to effect was shorter in Risperidon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extrapyramidal symptoms. However, the drop-out rate due to intolerance and the rate of concomitant anticholinergic us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isperidone group compared to Olanzapine group. The rate of other somatic side effects showed no between-group difference, except weight gain which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and higher in Olanzapine group. Conclusion:Though Risperidone was found to be superior in efficacy, we could not draw a final conclusion since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ithout any randomization which has a severe inherent limitation. This study should not be taken as an attempt to prove one drug’s superiority over the other;rather, an attempt to scrutinize each drugs’ weak and strong points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oper drug usage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