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 및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아영아 ( Young Ah Ah ),정원철 ( Weon Cheul Je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부산지역 중·고등학생 2,06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가족갈등스트레스 및 학업스트레스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을 살펴본후, 스트레스대처능력이 이들 변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 결과, 가족갈등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능력은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족 및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가족갈등스트레스는 스트레스대 처능력과 상호작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의 방향 면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높은 집단은 가족갈등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도 인터넷 중독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스트레스대처능력이 낮은 집단은 가족갈등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절효과의 강도면에서도 스트레스대처능력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가족갈등스트레스가 같은 수준에서도 인터넷 중독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갈등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는 인터넷 중독 수준의 차이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가족갈등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여도 스트레스대처능력이 높으면 인터넷 중독이 오히려 낮아지는 특성을 보여 스트레스대처능력의 향상이 가족갈등스트레스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가족갈등스트레스를 많이 인식하는 청소년일지라도 스트레스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의 위험을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stress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 of academic and family conflict stress and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61 of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Pusa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family conflict, academic stress played as inducting factors to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ress coping strategies moderated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conflicts and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out that in the group of high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ternet addiction has been lowered in high-family conflict stress situation. In contrast, the group of low ability to cope with stress, higher family conflict increase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 moderating effect, the high level group of coping with stress was higher internet addiction level than low level group at the same level of family conflict stress, especially in high-family conflict stress situation,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s appear. These results show that young people can improve you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family conflicts can be mitigated even though young people perceived family conflict highly. Thus, this study showed Internet addiction can mitigat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isk, if done interventions to improve coping skills, although young people are aware a lot of family conflict stress.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방어적 또래지지에 의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아영아(Ah, Young-Ah),박소현(Park, So-Hyu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이 연구는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영향 및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방어적 또래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646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사이버폭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사이버폭력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피해자에 대한 방어적 또래지지는 사이버폭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자에 대한 방어적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사이버폭력이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피해자에 대한 방어적 또래지지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상호작용하여 사이버폭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으로 인한 사이버폭력을 예방하는 개입지점으로 또래의 피해자에 대한 방어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on the cyber-bullying of adolescents, which is a problem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severe,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defensive peer support for school violence victims. Research subjects were 646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located in Busan city and data collection was made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values with regard to cyber-bullying, thus verifying that mor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led to higher levels of cyber-bullying. Also, defensive peer support for victim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values with regard to cyber-bullying, thus higher levels of defensive peer support for victims led to lower levels of cyber violence. Lastly, it was verified that defensive peer support for school violence victims interacted with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having moderating effects that significantly decreased cyber-bullying. Through discus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oposals were made for social welfare strategies that increase defensive peer support for school violence victims as an intervention point that prevents cyber-bullying caused by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 KCI등재

        군집분석을 활용한 교육복지 대상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형 및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아영아 ( Ah Young Ah ),김하영 ( Kim Ha Yo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4

        이 연구는 청소년의 주요 대인관계인 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특별한 유형의 군집을 분류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고, 분류된 군집과 청소년의 발달 영역 즉, 인지 영역과 정서적 영역, 그리고 사회적 영역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내 교육복지 서비스를 받는 중학생 1, 2학년이며, 302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 특성에 따라 3개의 군집이 최종적으로 나타났다. 군집 1은 모든 대인관계의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 ‘관계충만형’ 집단, 군집 2는 또래관계의 수준은 평균이지만 부모와 교사관계에서는 평균보다 낮은 집단인 ‘관계일반형’ 집단, 군집 3은 모든 대인관계 수준이 보통보다 상당히 낮은 ‘관계취약형’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군집에 따른 청소년의 발달 특성 차이는 인지 영역, 정서 영역, 사회 영역의 모든 하위변수에서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군집 1의 발달 특성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군집 2, 군집 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주요타자인 부모와 또래,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보다 통합적이고 구체적인 특성과 청소년의 주요타자에 대한 대인관계와 발달영역의 관련성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복지 서비스의 주요 방향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ssify the unique types of clusters with the various aspects of key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for educational welfare with their parents, peers, and teacher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o explore their significance, as well as the classified clusters and the development area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first- and seco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ceive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in Busan with 302 copies of material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clustering based on par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three clusters are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luster 1 is titled the ‘deep relationship group’ whose relationship with all is deeper than the average, Cluster 2 is titled the ‘regular relationship group’ whose relationship with peers is average level but whos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eachers is lower than the average, and Cluster 3 is titled the ‘vulnerable relationship group’ whose relationship with al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usters in all sub-variables of cognitive areas, emotional areas, and social areas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mong different clusters. More specifically, the average of Cluster 1 in terms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Cluster 2 and Cluster 3.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

        아영아 ( Ah Young-ah ),전명숙 ( Jeon Myeong-sook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배제로 인한 우울에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지원방안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 가정 내 사회자본, 지역사회지원이 우울에 미치는 주효과 검증과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부산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한 달 동안 자료 164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총 13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와 INTERACT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배제는 우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가족 내 사회 자본 및 지역사회지원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내 사회 자본은 학교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로 인한 우울에서 학교 및 지역사회의 개입 방안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언하였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입,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심리ㆍ정서적 지원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empirical data for support methods for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regarding school exclusion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made to verify the main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 school exclusio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 school exclusion and depression. Data collection was mad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64 surveys during the month of July, 2016 conducted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Busan and a total of 131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3 surveys that had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exclu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econd,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it was shown that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exclusion on depression, bu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suppor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chool and community intervention plans regarding the school exclu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oposed from various dimensions and interven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oposed.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아영아(Ah, Young-Ah) 한국교정복지학회 2020 교정복지연구 Vol.0 No.67

        이 연구는 최근 청소년 문제의 중심에 있는 사이버폭력에 주목하여 사이버폭력의 예방 지점으로 학교폭력과 또래동조성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가정에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효과 및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이며, 학교 및 학생과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85부를 제외한 646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은 사이버폭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사이버폭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동조성은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교정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cyberbullying, which is at the center of recent youth problems, and was designed from the assumption that intervention is needed with regard to school violence and peer conformity as a preventive point of cyberbullying. Research problems for this verified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bullying experiences on cyberbullying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conform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data collection was made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fter consent was gained from schools, students, and parents. Of the collected surveys, 646 surveys excluding 85 with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yberbullying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cyberbullying. Also, peer conformity mediated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bully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on cyberbullying. Through discussions following the research results, presentations were made for school violence systems and practice for cyber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lans regarding peer conformity.

      • KCI등재

        보호관찰 청소년이 인식하는 주요 타자의 규범준수와 범죄유발적 지식구조가 재범에 미치는 영향

        아영아(Ah Young Ah) 한국교정복지학회 2015 교정복지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주요타자인 친구, 부모, 교사의 규범준수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에서 범죄유발적 지식구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시내 보호관찰소(서부, 동부)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청소년으로 497개의 설문 중 법원에서 2번 이상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 419명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주요타자의 규범준수(친구비행력, 부모 및 교사의 법준수)는 재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요타자의 규범준수가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적대적시각, 미래폄하적시각, 냉소적시각)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모의 법준수가 적대적 시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미래폄하적 시각과 냉소적 시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의 비행력과 교사의 법준수는 범죄유발적 지식구주의 모든 하위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적대적시각을 제외한 미래폄하시각, 냉소적시각 변수가 주요타자의 규범준수와 재범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적 개입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if criminogenic knowledge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the obedience of norms of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the significant others of adolescents recognized by adolescents on recidivism with the subject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adolescents on probation at the probation offices in Busan(Seoby, Dongbu), and out of 497 questionnaire sheets, the sheets of 419 adolescents receiving a protective disposition over twice from court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ignificant others' obedience of norms (friends' history of delinquency, parents and teachers' law abidance) have been found to the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recidivism. Also, in the effects of significant others' obedience of norms on criminogenic knowledge (the hostile social schema, discounting social schema, cynical social schema), parents' law abid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hostile social schema but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scounting social schema and cynical social schema. In addition, friends' history of delinquency and teachers' law abid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variables of criminogenic knowledge. Lastly, regarding the verification of criminogenic knowledge's mediating effects, the variables of the discounting social schema and cynical social schema except for the hostile social schema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others' obedience of norms and recidiv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kes suggestions about correctional welfare interventions.

      • KCI등재

        북한이탈청소년의 차별경험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아영아(Ah Young Ah)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경험하는 차별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를 위해 부산, 서울, 경기도 소재 교육인가 탈북학교에 재학 북한이탈청소년(초등5, 6학년, 중·고등학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195부는 SPSS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통계와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차별경험은 우울과 공격행동에, 우울은 공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차별경험은 우울을 매개하여 공격행동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의 공격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aggressive behavior in North Korean defector yout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it. This researcher selected North Korean defector youth (elementary school fifth & sixth grader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ccredited North Korean defectors’ schools located in Busan, Seoul, and Gyeonggi and surveyed them to collect data. The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discriminative experience influences their depression and aggressive behavior, and depression influences aggressive behavior directly. Also,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discriminative experience mediates depression and influences aggressive behavior indirectly as well. Through discussion on the results, this author presents detailed implications to prevent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aggressive behavior.

      • KCI등재

        청소년 비행의 유형변화와 심리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

        아영아(Ah Young Ah)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5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의 시간에 따른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각 변화유형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 자료와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 비행의 변화유형은 2차년도와 3차년도 모두에서 비행의 가해 및 피해경험이 전혀 없는 '무경험집단'과 2차년도에 비행의 가해 및 피해를 경험하였으나 3차년도에서는 비행경험이 전혀 없는 '탈피집단', 2차년도에서 비행의 가해 및 피해경험이 없었으나 3차년도에 비행경험을 새롭게 경험한 '유입집단', 2차년도와 3차년도 모두 비행의 가해 및 피해경험을 지속하고 있는 '유지집단' 등 네 가지이다. 분석결과 무경험집단은 65.3%(1,442명), '탈피집단'은 15.9%(351명), '유입집단'은 8.6%(190명), '유지집단'은 10.2%(225명)로 나타났다. 청소년 비행과 심리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에서는 비행 유지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심리사회적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공격성과 우울, 학습활동과 학교규칙, 교우와 교사관계 등은 비행의 지속성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비행 유입집단은 우울, 학습활동, 학교규칙, 공동체의식에서 무경험집단에 비해 취약함을 보였으며, 공격성과 학대에서는 무경험집단보다 평균이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비행 탈피집단을 예측하는 변인은 학습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지집단에 비해 평균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무경험집단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비행 유지집단에 대한 개입의 시급성과 함께 비행의 가해와 피해를 지속하는 집단에 대한 회복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juvenile delinquency by time and also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And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used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s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Juvenile Panel Survey. There were four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in juvenile delinquency: 'the non-experienced group' with no experience of damaging and being damaged for delinquency both in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 'the escape group' that had the experience of damaging and being damaged for delinquency in the second year but none in the third year, 'the inflow group' that had no experience of damaging and being damaged for delinquency in the second year but newly experienced delinquency in the third year, and 'the maintenance group' that had the experience of damaging and being damaged for delinquency both in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on-experienced group formed 65.3% (1,442 persons), 'the escape group' 15.9% (351), 'the inflow group' 8.6% (190), and 'the maintenance group' 10.2% (225).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delinquency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the delinquency maintenance group showed relatively higher socio-psychological fragility than the other groups. And more concretely, aggressiveness and depression, learning activities and school rules, and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to predict the continuance of delinquency. The delinquency inflow group indicated more weakness in depression,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and community spirit than the non-experienced group, and its averages in aggressiveness and ab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experienced group. The variable to anticipate the delinquency escape group was found to be learning activities, and its aver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aintenance group but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experienced group.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the urgency of interventions with the delinquency maintenance group and also necessity for restorative approaches targeting the group continuing damaging and being damaged for delinq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