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헤겔 비극론의 위대성과 한계

        심철민 한국헤겔학회 2006 헤겔연구 Vol.0 No.19

        헤겔은 비극을 두 입장들 간의 충돌로서 간주하거니와 이때 두 입장들은 각기 정당성을 갖고 있긴 하되 그러나 또한 상대방의 타당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상대방의 진리 요소를 부인하는 점에서 잘못되어 있는 것이기도 하다; 충돌은 단지 주인공이 몰락함으로써만 해소될 수 있는데, 즉 이렇게 몰락하는 가운데 통일성은 회복되고 인륜적 삶의 전체성의 기반 위에서 일면성은 사라지게 된다. 그리하여 비극적 죽음은 일면성이 결국 어떻게 귀결되는가의 진리이다: “변증법은 (…) 이러한 내재적인 넘어감이다. 일체의 유한자는 자기 자신을 지양한다는 것, 바로 이것이다”(8:172­73). 그렇다면 헤겔 비극론의 위대성은 어디에 놓여있는가? 첫째로 헤겔은 비극적 만남의 구조들에 주의를 돌림으로써 공포와 연민이라는 전통적 모티프들에 대해 하나의 새로운 시각을 획득한다. 둘째로, 위대함과 한계의 비극적 착종의 중심에 서있는 저 애매모호성(Ambivalenz)이 충돌을 통해서 분명해진다. 셋째로 헤겔의 이론 내에서 우리는 비극에 특유한 극적 강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대체로 한편의 선과 다른 한편의 선 간의 충돌에서 성립하는 것이다. 넷째로, 하나의 주인공이 동등한 근거 아래 경합을 빚는 요구들을 의식하면서 취하는 그 복합적 반응들 내에서 심리적 인식에 대한 위대한 척도가 발견될 수 있다. 헤겔에게선 선한 두 힘들은 관객들의 의식 속에서 하나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때 주인공이 과연 충돌을 의식하는가의 여부는 중요한 차이를 낳는다. 나는 이것을 내면적 충돌이라 부르고자 한다. 다섯째로, 우리는 헤겔의 모델에 힘입어 비극 및 예술의 위대한 부분이 어떻게 해서 선취적 기능마저 지니는가를 보게 된다: 비극은 윤리의 극한적 사례들(Grenzfälle)을 표현함으로써 선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갈등들 또한 밀어올리는데 이것들은 바로 거기서 선에 대한 철학적 반성으로 나아가게끔 한다. 여섯째로, 패러다임 전환의 의미를 강조하는 역사철학에 대해 헤겔 이론이 지닌 유용성을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헤겔의 비극론은 갈등들을 논할 뿐 아니라 역사적 변화들의 역학 또한 주제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헤겔 비극론에 반대하여 약간의 비판적 논점들이 제시되어 왔다. 헤겔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는 여기서 서로 평형을 이루고 있지 못한 양극이 빚어내는 두 형식 간의 충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두 형식을 나는 각기 ‘자기희생(Selbstaufopferung)의 비극’과 ‘완고함(Eigensinn)의 비극’이라 명명하고자 한다. 자기희생의 비극에 대해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원칙적으로 이 비극이 역사 속에서의 이행들을 촉진케 하는 보편타당한 태도를 표현한다는 점이다. 자기희생의 위대성은 그것의 인륜적 정당함에 있고, 그 희생이 갖는 예술적인 주요 취약점은 갈등의 단순함에 있다. 윤리적 관점에서 보자면 완고함의 비극은 자기희생의 비극보다 그 격이 높지 않지만 그 대신 외형적으로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극적으로 한층 풍부함을 띠는 게 사실이다. 물론 주인공은 여기서 도덕적으로 지탱되기 어려운 태도를 취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용기나 순종 또는 패기와 같은 부차적인 형식상의 미덕들을 여실하게 드러낸다. 완고함―좀더 부드럽게 표현하자면 ‘확고부동함’(Standhaftigkeit)―이란 비극의 필수 요소이다. 자기희생과 완고함이란 헤겔적 모델의 불충분한 형식들로서 ... Hegel betrachtet die Tragödie als die Kollision zwischen zwei Positionen, die zwar beide gerechtfertigt, jedoch auch in dem Ausmaß falsch sind, als sie die Gültigkeit der anderen Position nicht anerkennen oder ihr das Element der Wahrheit absprechen; die Kollision kann nur durch den Fall des Helden gelöst werden, in dem dadurch die Einheit wiederhergestellt und die Einseitigkeit aus der Ganzheit des ethischen Lebens vertrieben wird. So ist der tragische Tod die Wahrheit der Einseitigkeit des Helden: "Die Dialektik … ist dies immanente Hinausgehen (…). Alles Endliche ist dies, sich selbst aufzuheben" (8.172-73). Worin liegt dann die Größe dieser Theorie? Zunächst gewinnt Hegel dadurch, daßer seine Aufmerksamkeit auf die Strukturen des tragischen Zusammentreffens richtet, einen neuen Blickwinkel für die traditionellen Motive von Furcht und Mitleid. Zweitens wird durch die Kollision die Ambivalenz deutlich, welche im Zentrum der tragischen Verwicklung von Größe und Begrenzung steht. Drittens können wir die dramatische Intensität erkennen, welche der Tragödie in Hegels Theorie eignet. Dies entsteht aus der Kollision zwischen dem einen und dem anderen Guten. Viertens läßt sich in den komplexen Reaktionen eines Helden, der sich konkurrierender und gleichermaßen begründeter Forderungen bewußt ist, ein großes Maß an psychologischer Erkenntnis entdecken. Für Hegel sind die beiden guten Kräfte im Bewußtsein der Zuschauer vereinigt. Es stellt jedoch einen bedeutenden Unterschied dar, ob der Held sich der Kollision bewußt ist oder nicht. Das möchte ich als innerliche Kollision bezeichnen. Fünftens sehen wir mit Hilfe des hegelschen Modells wie die Tragödie, sowie ein großer Teil der Kunst, auch eine proleptische Funktion hat: Indem sie die Grenzfälle der Ethik darstellt, bringt sie nicht nur das Gute zum Vorschein, sondern wirft auch Konflikte auf, die daraufhin zu philosophischer Reflexion über das Gute anregen. Sechstens erkennen wir die Nützlichkeit der Theorie Hegels für eine Geschichtsphilosophie, die die Bedeutung von Paradigmenwechseln betont. Denn Hegels Theorie der Tragödie handelt nicht nur von Konflikten, sondern auch von der Dynamik historischer Veränderungen. Gegen Hegels Theorie der Tragödie ist natürlich eine Anzahl von Kritikpunkten vorgebracht worden. Noch weiter gehend als Hegel möchte ich hier zwei Formen der Kollision vorstellen, in welchen die Pole nicht gleichgewichtig sind. Ich will sie als Tragödie der Selbstaufopferung und als Tragödie des Eigensinns bezeichnen. Von der Selbstaufopferungstragödie läßt sich sagen, daß sie im Prinzip eine allgemeingültige Haltung darstellt, welche Übergänge in der Geschichte vorantreiben. Die Größe der Selbstaufopferung besteht in ihrer moralischen Legitimität, ihre künstlerische Hauptschwäche in der Einfachheit des Konflikts. Die Tragödie des Eigensinns ist vom ethischen Standpunkt aus weniger hochstehend als die Tragödie der Selbstaufopferung, dafür allerdings formal und in den meisten Fällen auch dramatisch reichhaltiger. Zwar nimmt der Held hier eine moralisch unhaltbare Haltung ein, legt aber dennoch Sekundärtugenden oder formale Tugenden wie Tapferkeit, Gehorsam oder Ehrgeiz an den Tag. Eigensinn--oder milder ausgedrückt, Standhaftigkeit--ist ein Element, das zu einer jeden Tragödie gehört. Selbstaufopferung und Eigensinn können als unzureichende Formen des hegelschen Modells betrachtet werden. Aber sie erreichen ihren Höhepunkt, wenn sie an die Kollision grenzen, wenn sie als Konflikt zwischen guten Kräften auftreten. Dem Anspruch auf gleichberechtigte Begründungen wird dann am besten durch das Anerkennen von ungleichen Kollisionen (Selbstaufopferung und Eigensinn) erfüllt. Die zweite wichtige Kritik an Hegels Theorie richtet sich gegen dessen Beharren auf einem Element der Harmonie in der Tragödie, was dem modernen Bestehen auf unauslöschliches und nicht zu erleichterndes Leiden ein Greuel ist. Ab...

      • KCI등재

        그리스 비극의 모순 구조와 그 의의 - 셸링의 예술철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심철민 한국헤겔학회 2006 헤겔연구 Vol.0 No.19

        Bei Schelling stellt die Kunst eine selbständige und organische Welt dar. Daher sollte das Gebilde der Kunst weder nur das Produkt menschlicher Absicht noch die bloße Nachahmerin der Natur sein. In seiner Philosophie der Kunst versucht Schelling darzulegen, dass die Kunst sowohl das organische Produkt der 'inneren Zweckmäßigkeit' als auch ein Existenz einer bewußtlosen Unendlichkeit sein soll. Kurz gesagt, ist der Grundcharakter des Kunstwerks eine Synthesis von Natur und Freiheit. Um diese Synthesis beider zu erläutern, zeigt er wie ein Gestalt solche gegensätzliche Einheit bilden kann. In der Tat ist der Held der griechischen Tragödie eben das Vorbild dieser Widerspruchsstruktur. Zwar mußte z.B. der Wille von Oedipus der Notwendigkeit des Schicksals unterliegen, aber "um die Notwendigkeit nicht überwinden zu lassen, (…) mußte der Held auch für diese―durch das Schicksal verhängte―Schuld freiwillig büßen"(341). So ist dieser Widerspruch zugleich der Grund der Versöhnung und der Harmonie. Ferner kann man sagen, dass diese künstlerische Gestaltung der Grundcharakter substantieller organischen Seiende verkörpert. Denn das Besondere bildet nicht nur das einzelne Dasein aus, sondern durch die Negation seiner selbst kehrt in das Unendliche (oder Wesen) wieder. Das ist der Grund dafür, dass wir trotz einer Reihe von tragödischen Konsequenz sowohl das Gefühl der Schönheit als auch das Erhabene der Ideen gewinnen. 셸링에 따르면, 예술의 참된 형성체는―자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결코 단순한 인간 구성물로도 혹은 자연필연적 산물로도 간주될 수 없다. 만일 전자의 경우라면 예술작품은 한갓 제작품 내지 인공물로 전락하며 또 후자의 경우라 한다면 그것은 예술의 내적 합목적성을 도외시하는 셈이다. 예술의 본질에 근접하기 위해선 이 두 가지 계기가 내적으로 통합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셸링 예술철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바로 자유와 자연필연성 간의 통일, 다시 말해 자연과 예술에 공히 깃들어있는 이 대립적 계기들을 어떻게 혼융, 해소시켜낼 것인가의 문제였다. 이것이 그에게는 스피노자 사상의 내용변환으로, 나아가 자유와 필연성 간의 대립적 통일 문제로 나타났다.그리스비극의 모순구조에 대한 셸링의 이해방식은 바로 이런 견지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스 비극에서 필연성과 자유의 대립적 통일이 형상화되고 있는 것은 유기적 생명체가 갖는 무한자­유한자 간의 내적 모순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작품이 고도의 생명성을 체현하고 있는 한에서, 그것은 우리에게 미와 더불어 숭고의 계기를 형성함은 물론, 실체화된 유기체적 존재자의 근원성격을 예시한다. 즉 비극의 주인공은 운명으로서의 무한자적 필연성에 굴복하는 듯하지만 동시에 유한자로서의 자유의 극한을 밀고 나감으로써 다시금 이념으로서의 무한자로 복귀하고 있는 것이다. 그 비극적인 산화(散華)에서 우리는 미의 정서적 감동만이 아니라 이념의 숭고를 보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예술의 본령에 의해 인간 본성의 내적 생명력 전체가 약동하는 것이다.

      • KCI등재

        후기 셸링의 ‘순수 이성학’에서 포텐츠론과 사유의 지평 — 그의『신화철학 I』제2부를 중심으로

        심철민 한국헤겔학회 2009 헤겔연구 Vol.0 No.25

        Dieser Aufsatz untersucht die Entwicklung und die Implikation der ‘reinen Vernunftwissenschaft’ Schellings, besonders, wie sich Gott und die Welt (bzw. das Prinzip und Seiende) in der Philosophie der Mythologie I zueinander beziehen. Nach Schelling wird die Welt als den Zusammenhang und Zusammenwirkung der dreien Potenzen aufgefasst, die die Möglichkeiten aus dem reinen Denken darstellen. Die erste, zweite Potenz sind Subjekt(­A) und Objekt(+A), und zwar beide wirken im Widerspruch, in dem sie sich durch ihre Beraubung im Ganzen voraussetzen. In der Weise erweitert er die Implikation des Satzes des Widerspruchs bei Aristoteles. Aber es soll auch Subjekt­Objekt (±A) als die positive Ausschliessung der jene Potenzen zugleich geben, damit sie jede nämlich gleicherweise seien. Es geht doch nun darum, dass die drei Potenzen ihre Wirklichketen durch die Seele gewinnen könnten. Die Seele ist stets das göttliche Element im Prozess der Wirklichkeit. So liegt der Welt das Materielle (-A +A ±A) zwar zugrunde, aber ‘das, was das Seiende ist’(das Immaterielle) ist die Seele. Daher ist der Zusammenhang des Seiende mit dem Absolute nicht zu verstehen als das Subsumierung innerhalb Gottes. Vielmehr sind die beide zusammen die Entfaltung der ganzen Konstellation der Wirklichkeit. Aber liegt hier das Bedürfnis der Übergang in die positive Philosophie, die ‘das Seiende selbst’ als das Prinzip hat, indem alle Seiende einschließlich Gott innerhalb der Vernuft betrachtet werden (dies sieht Schelling als die Grenze der negativen Philosophie an). 이 글은 셸링의 ‘순수 이성학’의 전개와 함의를 살펴보되, 특히 그의『신화철학 I』 2부를 중심으로 신과 세계(또는 원리와 존재자)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표명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존재하는 모든 것(세계)은, 셸링에 따르면, 순수 사유에서 얻어진 가능성들의 총체인 포텐츠들의 연관 및 공동작용으로서 파악된다. 우선 제1, 제2 포텐츠는 주체(­A)와 객체(+A)로서 이들은 각기 자신의 결여를 통해 서로를 전제하는 모순 가운데 작용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모순율은, 이와같이 지금 당장은 온전한 A가 아닌 한에서 ‘결여’로서의 상이한 존재방식들을 갖되 동시에 이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근거인 실재적 존재를 전제케 하는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포텐츠만으로는 이들 각각이 ‘동일한 정도로’ 존재케 될 수는 없으므로, 이 둘의 긍정적 배제인 주­객(±A)이 제3포텐츠로서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문제는 이 세 포텐츠들이 순수한 가능성들이 아니라 영혼의 작용을 통해 현실성을 얻는다는 사실이다. 셸링에 따르면 영혼은 현실성을 생성하는 과정 속에 깃든 신적인 요소이다. 이 점에서 모든 있는 것에는 ‘물질적인 것’(-A +A ±A)이 바탕을 이루고 있지만 그러나 있는 것 자체 즉 ‘어떤 것의 본질적인 무엇’은 ‘비물질적인 것’ 즉 ‘영혼’이다. 영혼을 통해, 있는 것은 결코 자기 자신 안에 한갓 동일적인 것으로 머물러 있지 않고, 부단히 동요하면서 자신의 자기존재를 보다 높은 것에서 지양한다. 이같은 포텐츠의 자기고양은 결국 유한한 개별존재들이 다양한 등급을 띠면서 절대자와 매개되는 과정 이외 다른 것이 아니다. 요컨대 유한자와 절대자의 관계는 이른바 통일성의 원리에 의거하여 유한자에 대한 절대자의 포섭으로서 이해되어선 안 된다. 오히려 이 둘은 매개에 의한 상호 통일 가운데서 현실성이라는 전체적 짜임을 형성하는 관계이다. 다만 순수 이성학에서는 신을 포함한 모든 것이 이성에 산입되어 파악되고 있는 점에서(셸링은 이것을 ‘소극철학’의 한계로서 이해한다), ‘존재자 자체’를 원리로 갖는 학문인 적극철학으로 이행해야 할 요구가 또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다국어 웹 문서 검색을 위한 질의어 변환 기법

        심철민(Chul-Min Sim),여상화(SangHwa Yuh),김태완(Taewan Kim),박동인(Dong-In Park),권혁철(Hyuk-Chul Kwon)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현재 웹 문서에 대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심마니, 까치네 등의 한국어 웹 문서 검색 시스템이 있으며, 국외 시스템으로는 Alta-Vista, Lycos, Yahoo 등의 시스템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영어와 한국어 간의 단어 대 단어 번역 기능을 이용한 질의어 변환 기법을 개발한다. 이 논문에서는 단어 대 단어 번역시 발생하는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해 명사의 의미 분류 체계와 단어 간의 공기 정보를 이용한다. 이 논문에서 구현한 질의어 변환기는 한국어 질의어를 입력으로 하여 영어 질의어를 생성해 냄으로써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도 기존의 다국어 정보 검색 시스템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질의어 변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변환된 질의어를 다국어 정보 검색 시스템(Alta-Vista)에 입력한 결과 단순한 단어 대 단어 변환에 비해 검색 성능이 개선되었다.

      • 기계 번역을 위한 문법 기술 언어의 확장

        심철민(Chul-Min Sim),최승권(Sung-kwon Choi),여상화(SangHwa Yuh)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변환 방식의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구조 변환은 번역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각 번역 시스템들은 이러한 구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한 기법을 사용한다. 구조 변환을 수행하는 방안으로는 어휘 사전에 기술된 구조 변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변환 엔진에 언어 현상별 구조 변환 규칙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하여 구조 변환 규칙을 기술하는 방법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스크립트 형식의 범용 문법 기술 언어(Grammar Writing Language)를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법 기술 언어는 규칙 기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연산자와 기본 함수를 제공하며, 그 적용 대상에 따라 컴파일러 버전과 인터프리터 버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법 기술 언어는 영한 기계 번역의 변환 모듈 뿐만 아니라 한영 변환 등의 트리 구조 변환을 요하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