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입생 대상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취(창)업용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 방안 고찰 - 온라인 공간을 활용한 장기 프로젝트 진행 사례를 중심으로-

        심재욱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8

        This class plan provides conditions for use in actual classes by linking the university writing curriculum, which is centered on academic writing, and the four items of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Startup). The writing activity for each week in the self-introduction writing class using the 'long-term project method' and 'online space' is a 'preparation' process for preparing writing material, and include short but complete writing activities as a practice assignment for the subject itself. It is also 'Genre-centered learning' that produces 'results' tailored to the style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cation context, and 'Dialogism learning' that requires learners' active and continuous activities. In the case study, the actual class design and process were explained. In addition, through the activity results and survey responses, the implications of the activity for writing classes and self-introduction education were dealt with.

      • KCI등재

        ‘태평양전쟁’기 일본 화물선 침몰과 조선인 舊海軍 군속의 사망피해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태평양전쟁’기 일제는 다수의 식민지 조선인들을 자신들의 침략전쟁에 강제로 동원하였다. 군인ㆍ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형태로 자행된 일제의 강제동원은 식민지배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즉 그들이 미사여구로 치장해 오고 있는 조선의 근대화가 아닌 조선인의 활용에 식민통치의 본질이 있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나, 현재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써,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명부자료의 하나인 [舊日本海軍 朝鮮人軍屬 關聯 資料(2009)](이하 ‘구해군 군속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확인한 선박 침몰로 인한 사망 사례를 고찰하였다. 해당 자료는 패전 이후 일본 정부가 ‘주변국과의 외교상의 필요’에 의해 작성한 자료로 약 7만8천명의 조선인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태평양전쟁’은 일제가 감당할 수 없는 무모한 전쟁이었고, 결국 막대한 물적ㆍ인적 자원의 피해를 떠안고 패배하였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보유량의 약 80%를 상실한 선박의 피해이다. 섬나라라는 일제의 입지 조건과 광활한 바다에서 전개된 ‘태평양 전쟁’의 특성상 침략지로의 보급, 일본 본토로의 원자재 수입 등은 전적으로 해상 수송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기에 선박(화물선)은 ‘생명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따라서 연합군이 이에 대해 공격을 집중한 것은 당연한 결과였고, 그 결과 일제는 궤멸적인 타격을 입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舊海軍의 군속으로 강제동원된 식민지 조선인들의 피해(침몰사망)가 발생한 것이다. ‘구해군 군속 자료’ 상에서 확인되는 피해 실태는 약 155척에 便乘하였던 3천6백명에 이른다. 하치로가타마루[八郞潟丸] 486명, 하쿠요마루[白陽丸] 322명, 고준마루[廣順丸] 314명, 다스다케마루[辰武丸] 248명 등 해상에서 발생한 사건의 특수성으로 한번에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들은 舊日本軍이 점유ㆍ침략한 거의 모든 지역으로 동원되는 과정에서, 또는 파견된 지역에서 군사시설 구축과 같은 노역을 마치고 일본 본토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승선한 선박의 침몰로 사망하는 二重의 피해를 입었다. 비록 본고에서는 일부 대규모 피해 사례만을 고찰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수의 선박이 침몰하였고 많은 조선인 군속들이 사망하였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日王’을 비롯한 일본 전쟁지도부의 책임도 분명하게 지적되어야 한다. 연합군 잠수함 공격에 대한 대책 미비는 차치하더라도 보유 선박의 70% 이상을 상실하여 전쟁 수행에 커다란 장애요소가 발생한 1944년 말 이후에도 무모한 전쟁을 지속시켜 자국민을 비롯한 조선인들의 피해를 더욱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본고는 전체 강제동원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 舊海軍의 군속동원만을, 그 중에서도 승선 선박의 침몰로 사망한 피해만을 분석한 것에 불과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피해사례를 최초로 발굴, 분석하였다는 점은 분명히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이는 해당 명부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과물이다. 현재 국내에는 전후 일본 정부로부터 인계 받은 48만명 분에 이르는 ‘명부자료’들이 국가기록원에 소장 중에 있다. 이에 대한 분석ㆍ연구가 진행되면 본고와 같은 특수 사례에 대한 발굴과 ... The Imperial Japan mobilized many colonial Chosunese by force to their aggressive ‘Pacific War’. The enforced mobilization by Imperial Japan in the forms of military, civilian employee, worker, or military sexual slavery has significance as it candidly shows the essence of the colonization. Namely, this directly shows that they had exploited Chosunese people although Japan rhetorically asserts that it was for modernization of Chosun. Therefore, it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but there’s inadequate interest by the society and research. Therefore, as a basic work to overcome such limit, this study examines the death cases due to sunken ships which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Document of the Chosunese Civilian Employees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 which is one of the list information of forced mobilization upon Chosunese. The document is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following ‘the needs of diplomacy with surrounding nations’ after they lost the war. About 78,000 Chosun people were registered on the list. The ‘Pacific War’ was a reckless war that the Imperial Japan couldn’t bear. Consequently, they were defeated with great damages on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As one of the great damages, they lost about 80% of their ships. The Cargo ships were ‘the lifeline’ for Imperial Japan because it’s an island country and Japan had to completely rely on marine transportation for supply to the colonies and import to the mainland during the ‘Pacific War’ in the wide ocean. Of course the Allied Force focused on attacking the ships and Imperial Japan was hit destructively. In the process, the colonial Chosunese who were enforcedly mobilized as civilian employees of Imperial Japanese Navy were damaged death by sinking. According to the ‘Document of the Chosunese Civilian Employees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 the casualty was about 3,600 in about 155 ships. Many were killed at once including 486 in Hachirokatamaru[八郞潟丸], 322 in Hakuyomaru[白陽丸], 314 in Koujunmaru[廣順丸] and 248 in Tatsutakemaru[辰武丸] due to the specialty of the marine accident. They were firstly damaged when being mobilized to almost every area where the Imperial Japanese Forces occupied or conquered, or while returning to mainland Japan after hard works such as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dispatched area, and then damaged redundantly as the ships went down. Although only some large scaled cases of damage were reviewed in this study, we should not forget that many other ships sank and numerous Chosunese civilian employees died. The responsibility of Japanese war leaders including Showa(‘日王’) must be also clearly pointed out. Besides the insufficient precaution against the attack by the Allied Force’s submarine, Imperial Japan continued the reckless war even after late 1944 as they already lost more than 70% of ships. Hence, they had bi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war and aggravated damages on Chosunese as well as their own peop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analyzed only the death casualty in the sunken ship during mobilization of civilian employees by Imperial Japanese Navy because it takes only a part of overall forced mobilizatio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iscovered and analyzed the damages for the first time which has been unknown until present. Moreover, this i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relevant list information. There is the ‘list information’ about 480,000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is information was taken over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Further analysis and studies on this will help understanding the overall conditions of force mobilization along with discovering special cases similar to this study.

      • KCI등재

        대맥의 내산성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1 : 토양산도와 질소시용량이 대맥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沈載昱,李弘䄷,崔庚鎭 韓國作物學會 1988 한국작물학회지 Vol.33 No.1

        토양 및 양액의 pH와 질소시용량이 대맥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액의 PH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2. 양액중에 0.6 mM의 Al 처리에 의하여 유묘의 근 및 지상부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었는데 두산1002는 거의 생장저해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Al에 내성품종으로 나타났다. 3. 엽중의 엽록소함량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였고 질소증가에 따라 엽록소 및 질소함량은 증가하였다. 4. 출수기는 토양 pH의 증가에 따라 1~2일 빨라졌으며 질소증가에 따른 출수기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고 품종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간장은 토양 pH의 저하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6. 지상부 건물중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토양 pH의 감소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질소증시에 따라 증가하였다. 7. m2 당 수수는 토양 pH가 낮을 때 감소하였는데 그 정도는 새올보리에서 작은 편이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8. 수당립수는 질소증시효과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pH의 효과는 새올보리, 팔달보리, 강보리 등에서 토양 PH가 낮을수록 감소되었다. 9. 1.000립중은 pH 4.5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되었고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10. 수량은 토양 pH가 낮을 때 현저히 감수되었고 생육기의 토양 pH는 모든 공시품종에서 수량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질소증시효과는 현저하지 않았으며 토양 pH에 따른 수량의 안정성은 저수품종에서 크고 다수품종에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수량은 간장, 건물중, 수당립수 및 1,000립중 등과 고도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고, 토양pH에 따른 이들 상관정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다.능하다.능하다.의 유의성을 나타냈다.2p1/2의 binding energy들은 각각 780.3과 795.8 eV에서 나타났다. 반응 전 후 촉매상에서 Co 2p3/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0 eV이고, Co 2p1/2의 binding energy 차이는 1.3 eV이다. 표준 Co3O4 에 대한 XPS 측정결과, 반응 후 촉매상에 존재하는 CoOx 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 The effects of pH and Aluminum treatment on the seedling growth were examined with 11 cultivar under three levels of pH in nutri-culture..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il pH and nitrogen fertilization were also studied with five cultivars under 3 levels of soil pH and 3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in the field experiment. The effect of pH on the seedling growth was not significant, but Aluminu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edling growth in nutri-culture except Dusan #12. Chlorophyll contents of leaves, dry weight of plants, culm length, spike numbers per unit area, grain numbers per spike, grain weight, and yield were decreased as the decrease of soil pH, and thu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il pH during barley growth and yield was observed in all cultivars examined. The stable cultivars to different soil pH with high yield was not found although the decreases of yield were different with cultivars.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itrogen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ves, and dry weight of plants, while showed a little effects on the culm length, spike number per unit area, grain number per spike, grain weight and yield.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ulm length, dry weight of plants, grain number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at each pH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工員名票』을 통해 본 戰時體制期 舊日本陸軍造兵廠의 조선인 군속동원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6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으로 진행되던 일제의 침략전쟁은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을 통해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전역의 확대는 일제의 전쟁 수행능력을 초과하는 것이었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중일전쟁 시기부터 진행된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강제동원을 보다 확대ㆍ강화하였다. 이로 인해 연인원 약 200만 명에 이르는 조선인들이 노무자, 군인ㆍ군속, 위안부 등의 형태로 일제의 전쟁 수행에 투입되었다. 식민통치 말기 자행된 조선인에 대한 강제동원은 일제 식민통치의 기만적인 성격을 보여준다는 점과, 피해당사자의 삶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의 삶을 굴절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의 치유되지 않는 상처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의 강제동원에 대한 실태 파악의 일환으로써 1990년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인계한 명부들 중 일부(『工員名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약 48만 명 분에 해당되는 명부 자료들이 존재하고, 이 자료들은 동원 주체가 작성하였다는 점에서 강제동원의 전반적인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 자료에 대한 분석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 자료 중 『工員名票』 내의 「工員名票」와 「工員名簿」의 분석을 통하여 구일본육군조병창의 조선인 군속工員 동원의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육군조병창은 일본 육군에서 사용되는 각종 병기를 생산하는 기관으로서, 이 자료들에 수록된 일본육군조병창은 사가미相模육군조병창과 나고야名古屋육군조병창 및 그 산하의 다카기鷹來제조소 등이다. 사가미육군조병창 명표는 약 552명의 조선인을 등재하고 있으며, 1944년 11월 18일과 1945년 3월 6일에 각각 충북과 경북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동원하는 양상이 파악된다. 한편으로 여성노무동원(조선여자근로정신대)이 군속동원으로 전환되는 양상도 파악된다. 나고야육군조병창의 경우 ‘명부’의 형태로 다카기제조소는 ‘명표’의 형태로 등재되어 있다. 나고야육군조병창 명부의 경우 125명이 등재되어 있는데, 원본이 아닌 가공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역시 1945년 3월 15일 경기도 김포군과 안성군에서 집단적으로 동원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총 79명이 등재된 다카기 제조소의 경우도 1945년 3월 11일 경기도 수원군에서 집단적으로 동원되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사가미육군조병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성노무동원의 군속동원 전환 양상도 확인된다. 이들은 육군조병창 내에서 仕上工, 工手, 鍛工, 鑄工, 旋工, 運搬工, 筆生, 縫工, 壓伸工, 雜種工 등의 다양한 직종에 투입되었다. 현재 이들이 투입된 부서의 성격은 자료상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하게 파악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 「工員名票」와 「工員名簿」에 등재된 인원이 각각의 조병창 및 제조소로 동원된 조선인 전체를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일본측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조선인 수가 이 자료들에 수록된 조선인 수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제공한 자료들이 불완전한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추가적인 자료의 확보가 요구되어진다. 본고에서 수행한 분석은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제공한 자료에 수록된 전체 48만명 분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 이 자료들에 대한 DB는 국가기록원에 ... Following aggressive wars, such as the Manchurian Incident(1931) and the Sino-Japanese War(1937), the Empire of Japan’s invasion has been expanded on the Asian and Pacific area the through the Attack on Pearl Harbor in 1941. The expansion of warfare went over the Japan’s capacity to do battle, so they reinforced and enlarged the Mobilization on the Chosense which has been going from the Sino-Japanese War. About 2million Chosenese people went into the Japanese imperial wars, as soldiers, laborers,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and comfort women(慰安婦). The Japanese mobilization on the Chosenese people destroyed the life of victims and their family, and left the Korean society indelible wounds. It is also important that it shows us the deceitfulnes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90’s, the Japanese government handed over the documents which contain the 480 thousands person’s list as a cop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se documents to survey the Japanese Mobilization, because it made by Japanese themselv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subject. As a part of actual condition survey of Imperial Japan’s forced mobiliza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List of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Especially, it investigates the aspects of the Mobilization of Chosenese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in the Japanese Army Arsenal. Japanese Army Arsenal(日本陸軍造兵廠) was a place where various arms and ammunition were made for the Japanese Army and made up of several arsenals(造兵廠) and factories(製造所). Among them, Sagami Army Arsenal(相模陸軍造兵廠) and the Nagoya Army Arsenal(名古屋陸軍造兵廠) which conatained the Takaki Factory(鷹來製造所) have recorded mobilized Chosenese in the List of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In the Card of Sagami Arsenal(相模造兵廠名票), 552 Chosenese are registered. They were mobilized colletively at the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on 18th of November in 1944 and the Gyeongsangbuk-do(慶尙北道) on 6th of May in 1945. It was typical mobilize a mass of people at the certain region and the certain time on the Japanese Mobilization. Also it shows that the some famale laborers have been switched to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There are 125 registered Chosenese in the List of Nagoya Arsenal(名古屋造兵廠名簿). They were mobilized colletively at the Gyeonggi-do(京畿道 安城郡, 金浦郡) on 15th of May in 1945. The List of Nagoya Arsenal looks manipulated,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existence of the original documents. These kinds of aspects were also shown up in the card of Takaki Factory(鷹來製造所名票). Meanwhile, it is believed that there are more mobilized Chosenese than those in the List of the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because there are other documents which were made by Japanese Army Arsenal, showing that more Chosenese people were mobilized on that facilities. It means that the materials which were g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were incomplete. This article analyzes only 700s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the Japanese Army Arsenal. It is only a tip of the iceberg. For the survey a big picture of Japanese Mobilization, it is required to enter the whole data of 480 thousands Chosenese people which were g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1990’s.

      • KCI등재

        [舊日本海軍 朝鮮人軍屬 關聯 資料(2009)]의 微視的 分析

        심재욱 한일민족문제학회 2013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4 No.-

        日帝が恣行した「強制動員」は日帝植民支配の欺瞞的な行為を赤裸々に示されることが韓国歴史研究にとって非常に重要な意味があると思う。同時に大勢の韓国人の個人史にまで悪影響を及ぼし、60年余りが過ぎた今までも各々の人生に傷付いていて社会問題の一つとして残っていることから見ると、その問題の深刻性が十分分かる。しかし解放されてから60年余りが過ぎているうちに韓国社会はあの被害把握に対して無関心な態度で目を逸して来た。2004年11月「首相官邸所属の日帝強占下強制動員被害真相究明委員会」(以下委員会)の立ち上げを契機に関連研究と実体把握が以前より活発にして、研究が活性化することは大いに励みになる事だと言える。それにも関わらず、今なお強制動員に関する研究には多くの眼界がある。この限界を突破する作業として必要なのは直ちに今現在、国家記録院で所蔵している約48万人分に至る関連名簿資料である。この資料は戦時の動員過程と戦後の復員過程で強制動員の主体である日本から作成された資料と言う側面と、全体的な分析によって「いつ、どこ、いくら、どこに強制動員されてどんな被害を受けたか」のような強制動員に対する全般的な実体把握が出来ると言う側面ですごく意義深いと思う。それでも、これに対した研究分析は殆んどない状況である。本稿は強制動員の全体像を把握するために必要な基礎的作業で、2009年日本政府が「委員会」に直接提供した[舊日本海軍朝鮮人軍屬関連資料(2009)](以下「舊海軍軍屬資料(2009)」)に収録された各種文書の内容と性格について考察した。「舊海軍軍屬資料(2009)」は1991年に日本政府が提供して、現在は国家記録院で所蔵している[舊海軍軍屬身上調査表]を基にしている。しかし「海軍工員名簿」、[供託金文書]等多数の新資料を収録しているので今までの資料とは異なる新たな性格の資料だと思う。そして、本稿に書かれたように海軍軍屬動員に関して戦時と戦後に多くの文書が作成されている。ところが、韓国政府に提供されたのは[舊海軍軍屬身上調査表]に過ぎない。追加的に入手すべき抜落ち資料を把握した側面で本稿の研究の意義がある思われる。本稿で筆者が行われた作業は「軍屬動員」の把握を通じて強制動員の全体像を考察しようとする一連の連続的作業である。このような資料の内容と性格に対する分析を基にして、今筆者は当該資料のデータをエクセルのファイルに書き込んでデータ化する作業をしている。今後行う詳細な分析は、今まで確認されていない海軍軍屬動員の実体が探れる重要な基礎的作業になると思う。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sm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Korean studies, considering it accurately represents the deceitfulness of Japan’s colonial rule. Forced Mobilization also made unwelcome changes in a number of Korean people’s personal histories and it is still a lingering social issue of Korea. However, Korea has dealt with the matter with indifference over the last 60 years since Korea’s liberation. It is highly encouraging to learn that the studies and investigations on ‘Forced Mobilization’ have been improved and carried actively ou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ission on Verification and Support for the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henceforth ‘the Commission’)’ under Prime Minister in November 2004. Nonetheless, we still have the limits in the studies on Forced Mobilization. The study on the registers of the approximately 480 thousand Korean names own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quite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As the registers were recorded by Japan during the period of war and demobilization, it can play an essential role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of Forced Mobilization, such as when, how many, from where to where, and how much damage the Koreans had to be received. However, the study and analysis are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as a groundwork for getting the general idea of Forced Mobilization, I examined the contents and its features of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henceforth the Document)’ that the government of Japan directly gave to the Commission in 2009. The Document is based on ‘the Table of the Civilian Employee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 given by Japan and currently own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the Document includes new information, such as ‘the List of the Naval Factory Worker’ and ‘the Documents of Deposit’, it could be considered as new and valuable data to study. One more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issing materials to be returned later on. ‘The table of the Civilian Employee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 was the only material offered to the government of Korea by among many missing documents recorded in the state of war and after the war. What I did in this study is a part of the ongoing researches aiming at understanding the big picture of Forced Mobilization by taking in the situation of the mobilization of civilian Employees. Based on the data and its analysis, I am currently working on making the database. Detailed further analysis would be a substantial groundwork to discover the unidentified reality of the mobilization of Civilian Employee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

      • KCI등재

        두개강내 지주막낭종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심재욱 대한영상의학회 199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6 No.3

        Arachnoid cysts are benign developmental cysts that occur in the cerebrospinal axis in relation to the arachnoid membrane, and contain clear, colorless fluid resembling normal cerebrospinal fluid.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sed 24 brain CT scans of 23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arachnoid cysts that were examined at Wonju Christian Hospital from jan. 1985 to Dec.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mon clinical symptoms were headache(9cases), others were hydrocephalus, visual distrubance and bulging of the scalp. 2. Arachnoid cysts in supratentorial region were 14 cases,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middle cranial fossa(9cases), and infratentorial locations were 10 cases, most of them were located in retrocerebellar area(7cases). 3. Shape of the arachnoid cysts were quadrangular with straight inner margin(11 cases), spherical with convex inner margin(8cases), and others(5cases). 4. Of 14 cases with supratentorial region, most of them(10 cases) showed quadra gular shape with straight inner margin. Of 10 cases with infratentorial region, most of them(7cases) showed spherical shape with convex inner margin. Of 9 cases with middle cranial fossa region, most of them(8cases) showed quadrangular shape with straight inner margin. 5. Size of the arachnoid cysts, in the greater diameter was commonly distributed between 3 and 7 cm(12 cases)

      • KCI등재

        전시체제기 조선인 해군군속의 일본 지역 동원 현황 - ­구일본해군 조선인군속 관련 자료(2009)의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1

        Many Korea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forced to work as laborers, civilian workers in military, soldiers and comfort women by Japanese military in wartime. It is important that it shows us the deceitfulnes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rpose of it was 'the use of Korean', not 'the modernization of Korea'.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subject. To move studies forward, I have analyzed the data of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2009)'. It is one of the documents which were handed over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is paper is part of my ongoing study.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spects of the mobilization of Korean laborers in the Japanese Imperial Navy to Japanese Region in the great deal of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ata analyzed by areas, about 46,000 Korean civilians were mobilized to Japanese regions for forced labour. It is the highest at 63.4 percent. The next level of region were in the Pacific and Southeast Asia with 16,928 at the rate of 33 percent. In these areas, there were severe battles between Japan and the Allied Forces. 7,429 Koreans were sent to the Korean regions (Chosun regions). The rate of 10 percent for this area was relatively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data analyzed by time, an absolute majority of 98.8 percent were mobilized since 1942 after the time of the attack on Pearl Harbor. This shows that the mobilization was affected by developments in the war. The majority of them are dominated by the 20s and the 30s who were plenty of labour at the rate of 91.2 percent. People in Kyeongnam and Jeonnam were most mobilized at the rate of 17.6 percent and 17.5 percent each. Then comes Kyeongbuk, Jeonbuk, Geoungki, Chungnam, and Kangwon in that order. Thirdly, analyzing the data by areas in Japan, we can see that the mobiliz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Kanagawa Prefecture(Yokosuka Naval District), the Kyoto Prefecture(Maizuru Naval District), the Hiroshima Prefecture(Kure Naval District), the Nagasaki Prefecture(Sasebo Naval District), and the Aomori Prefecture(Ōminato Guard District) where the major navy bases - naval districts and naval guard districts - for the Imperial Japanese Navy were located on. Fourthly, Korean laborers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 were forced to work in naval facility depots(施設部), naval arsenals(工廠), and a naval fuel depots(燃料廠) where need their labor in these regions. It can be confirmed with their jobs. And finally, analyzing the data by time in Japan, we can see that 75.0 percent and 99.1 percent of Korean civilians were mobilized to Japan in 1944 and 1945 each. It is assumed that the high numbers were caused by an ongoing series of defeats of Japan at that time. This paper did analyze some aspects of the mobilization of Korean laborers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 However, it is just one of categories of Japanese Forced Mobilization­laborers, civilian workers in military, soldiers and comfort women. For the study of a big picture of Japanese Forced Mobilization, it will be meaningful to accumulate works like this study. Thus, it is required to generate data of List Information and analyze them. 전시체제기 일제가 수많은 ‘식민지 조선인’들을 노무자, 군속, 군인 및 위안부 등의 형태로 자신들의 침략전쟁에 강제동원한 것은 일제 식민통치의 목적이 ‘조선인의 근대화’가 아닌 ‘조선인의 활용’에 있었다는, 기만적인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자는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인계한 관련 ‘명부자료’ 중 하나인 [구일본해군 조선인군속 관련 자료(2009)]를 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이에 대한 필자의 연속적인 작업의 하나이다.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해 본고에서는 주로 일본 지역으로의 동원 양상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조선인 해군군속 동원’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첫째, 동원지역의 경우 일본 지역에 가장 많은 4만6천여명(63.4%)이 동원되었고, 일본군과 연합군 간의 전투가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태평양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 16,928명(약 33%)이, 조선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7,429명(10%)이 동원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동원시기의 경우 절대 다수(98.8%)가 ‘진주만 기습’ 이후인 1942년부터 동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전황의 전개에 일정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주로 노동력이 풍부한 20~30대(91.2%)가 주를 이루고, 주로 경남(17.6%)과 전남(17.5%) 지역에서 가장 많이 동원되었고, 경북과 전북, 경기, 충남, 강원 등의 순으로 동원되었다. 셋째, 일본 지역의 경우 주로 일본 해군의 주요 기관인 鎭守府와 警備府가 위치한 가나가와현(요코스카 진수부), 교토부(마이즈루 진수부), 히로시마현(구레 진수부), 나가사키현(사세보 진수부), 아오모리현(오미나토 경비부)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넷째, 이 지역에서 조선인 해군군속들은 주로 이들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施設部, 工廠, 燃料廠 등에 동원되었고, 이는 이들의 직종을 통해서도 확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일본 지역으로의 동원시기는 1944~45년 사이에 절대 다수를 이루는 각각 75.0%, 99.1%에 해당하는 인원이 동원되고 있다. 이는 당시 연합군의 공세로 인한 계속적으로 패퇴하고 있던 당시의 전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노무자, 군인, 군속, 위안부 등으로 분류되는 전체 강제동원 중 ‘해군군속’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현황 중 일부 내용에 대한 분석에 지나지 않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축적되면 전체 강제동원의 실태를 파악하는 자료로써 그 역할을 담당하는 의의를 지닐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 ‘명부자료’에 대한 데이터화와 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리빙랩’과 ‘스토리펀딩’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제안서 쓰기를 중심으로

        심재욱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article is a class case study that suggests a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lass operation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at link micro-genres in academic writing that promotes genre knowledge cultivation and statement ability. In the result of ‘Writing a Living Lab Proposal’, characteristic statement strategies such as ‘concrete development of content based on empirical data’, ‘refined expression centered on conceptual words’, and ‘clear speech focusing on core’ were confirmed. In the result of ‘Rewriting as a Story funding Proposal’, the narrative strategy of ‘show’ centered on ‘a narrative centered on multiple points of view, specific events, and dialogue’ and ‘easy, sensuous, and figurative description’ was characteristic. In addition, the ‘Living lab’ contex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individual majors, hobbies, and regions. ‘Story funding proposal’ using multiple viewpoints showed the aspect of writing,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eply examine and empathize with the various positions of members of society. This class plan, which focuses on writing in connection with the micro-genre, can b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ith practical power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as it allows learners to complete two proposals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complements the genre fixation problem. Second, the two types of micro-genre proposal writing training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practical education on the ‘statement method’. Third, as a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riting’, it contributes to clear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writing class. 이 논문은 2022년 09월 20일까지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9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2년 10월 17일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 회의에서 게재 결정된 논문임. 이 글은 장르 지식 함양과 진술 능력 신장을 도모하는 대학 글쓰기에서 미시 장르를 연계한 학습 활동을 통해 수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 수업 사례 연구이다. ‘리빙랩 제안서 쓰기’ 결과물에서는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내용 전개’, ‘개념어 중심의 정제된 표현’, ‘핵심 위주의 명료한 말하기’ 등의 특징적인 진술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고, ‘스토리펀딩 제안서로 다시 쓰기’ 결과물에서는 ‘복수 시점・구체적인 사건・대화 중심의 서사’와 ‘일상적・감각적・비유적 묘사’를 중심으로 한 ‘보여주기’의 진술 전략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빙랩 맥락은 학습자들이 개인의 전공과 취미, 지역의 잠재성을 발견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복수 시점을 활용하는 스토리펀딩 제안서는 사회구성원들의 다양한 입장을 깊이 들여다보고 공감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글쓰기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미시 장르의 연계 글쓰기를 핵심으로 하는 본 수업 방안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실천력을 갖는 교수학습법이 될 수 있다. 첫째, 학습자가 짧은 시간 동안 두 가지 제안서를 완성해볼 수 있게 하므로 장르 고착화 문제를 보완하는 효율적인 수업 방안이 된다. 둘째, 두 가지의 미시 장르적 제안서 쓰기 훈련은 ‘진술 방식’에 관한 실질적인 교육이라는 의미가 있다. 셋째, ‘쓰기’에 집중하는 학습 활동으로 글쓰기 교과목의 정체성을 명확히 확립하는 데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