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전승과 보존을 위한 영상민속학

        심재석 국립민속박물관 2009 민속학연구 Vol.0 No.24

        This paper tried to explore the role of Visual Folklore for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heritage. First, this paper brought up some possibilities of the Visual Folklore that can boost up the expansion of not only research methods but the domains. Then, it claimed the merits of the utilization of recording media with visual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paper emphasized that the results on various digital media would be the efficient approach to research about intangible heritage. Therefore, both the various methods of the recording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ith these methods would be resounded through this paper. Folklore is a discipline with a unique research method, thus, academic interest and efforts according to this interest may be needed so that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visual folkloristic research method will help to maintain the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heritage efficiently. The emergence of Visual Folklore can help us with various digital techniques and visual communication including both recording practices of intangible heritage and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Folklore. This paper suggested a new way of research methods in Folklore. The roles of Visual Folklore can play one of the main roles in the field of Folklore through analyzing the process of archiving the intangible heritage and associated research methods. 영상민속학이 민속학의 연구영역의 확대와 연구방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의 문제와 함께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보존의 문제 역시 향후 민속학계에서 얼마만큼의 관심을 가지는가하는 문제제기와 함께 영상민속학이 가지고 있는 연구방법의 장점들 즉,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고 디지털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기록되는 일련의 결과물은 영상민속학의 중요한 연구방법이며 이를 활용하고 분석하고자하는 민속학 내에서 학문적 관심과 노력으로 영상민속학이 가진 학문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보존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상민속학은 다양한 매체기술과 시각적 소통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론을 활용해서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작업뿐만 아니라 민속학의 연구방법에서도 좀 더 다양한 활용이 필요한 시기이다. 기존의 문화유산 관리체계는 유형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에 익숙해 있다. 하지만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보존은 유형문화유산과는 다른 차원에서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세월이 흐르면서 어느 시점에 만들어진 유형문화유산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승과 보존을 틀에서 벗어나고 이와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변화과정 속에서 변화를 거듭하면서 전승되어온 무형문화유산을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서도 영상민속학의 역할을 거듭 강조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Cluster 분석에 의한 종간 유연관계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韓國藥用作物學會 2005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3 No.1

        경남지역 자생 둥글레속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규명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할용하고자 47개 수집종의 12개 형질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 및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성분 분석에서 줄기형태, 줄기색깔, 엽색, 포의 형태, 화색, 화형 등 12개 주요 형질의 주성분의 고유치에 기여율은 제3주성분까지 분석하여도 전체의 79%정도 설명할 수 있어서 47개 수집종의 분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47개 수집종의 12개 주요형질을 대상으로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에 의한 분석치으 거리 0.7을 기준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 5개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둥굴레, II군은 용둥글레, III군은 산둥굴레 및 퉁둥굴레 특성의 중간형태를 각각 지닌 p28과 p29였으며, 제V군은 죽대로 분류되었다. 3. 경남일대 둥굴레의 특성조사와 수집종 분류결과 둥굴레와 죽대는 종간 변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용둥굴레, 퉁둥굴레와 산둥굴레는 다양한 변이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gonatum species are a useful medical crop in Korea but basic study in the species was not well conducted.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genetic diversity and intraspecific relationship of 47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province. Their analysis was done through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average linkage cluster analysis with their twelve morphological traits. The result of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showed the Prin 1, Prin 2 and Prin 3 represented 79% of total variation. By the 0.7 average distance of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calculated Euclidian distance, the 47 collected species were grouped into five groups. Group I included 22 collected species representing P. ordoratum var. pluriflorum, group II did 5 ones representing P. involucratum, group III was divided into two subclasses, 2 species including P. inflatum and 7 species including P. thunbergii, group IV also consisted of 2 subclasses, a species similar to P. thunbergii and P.involucratum, respectively, and finally group V included 8 species representing P.lasianthum var. coreanum. meaning that the useful germplasms can be collected from relatively small area.

      • KCI등재
      • KCI등재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심재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7 No.-

        This paper is trying to accommodate visual anthropological theory to displaying contents of the museum. The museum is composed of curators, visitors, galleries, and artifacts which are constantly having an interaction among them. Especially, the space of the museum is not an inactive per se. Therefore, the space is conducted and controlled by the curator’s intention and planning. Also visual communication is being made up between visual factors, i.e. artifacts, pictures, panels and other types of audio-visual devices. A curator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 artifacts, and the movement line for the visitors. Consequently, the formation of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artifacts can be made by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Simple display of artifacts cannot be a successful exhibition. The authentic meanings and the value of exhibition can be judged by the responses of visitors whose experiences of the vivid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exhibition. The roles of the museum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 demand of audience is beyond one-way traffic rather than two-way traffic which is promptly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anks to the fast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pproaches to the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museum can be made. This research paper is about the issues of meaning-making in museums through the visual anthropological aspects using visual aids. The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is focused on not only visual stuffs but artifacts. Another type of displaying artifacts in the gallery can be made communication between an audience and a curator. If we consider the museum exhibition is a sort of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that can be a new challenge of the reconceptualisation of the museum vs. audience relationship. 박물관은 큐레이터, 관람객, 전시공간, 전시물에 의한 상호관계(interaction) 속에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특히 박물관 공간은 정지된 형태가 아닌 큐레이터가 의도한 전시의도에 따라 관람객들의 동선을 유도하고 전시물과 전시패널 등을 통한 시각적 소통(visual 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러한 시각적 소통을 위해 공간의 배치나 전시물의 배치가 고려되어지며, 동선이 형성되게 된다. 결국 관람객들의 움직임으로 공간의 구성과 전시물의 배치가 이루어지며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전시물의 나열로는 박물관으로서의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없다. 관람객들에게 생생 한 정보의 전달과 전달된 정보를 통해 나오는 관람객들의 반응을 통해서 박물관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평가될 수 있다. 박물관은 단순한 전시를 통한 일방적인 정보의 전달의 단계를 넘어 관람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하는 시대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박물관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각적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에 대한 시도는 한편으로는 디지털 기술 발달이 가장 주된 이유이다.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는 각종 시각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전시기법과 메시지의 생산과 연구들이 필요하다. 시각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비단 영상매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로 생산된 시각적 자료 (visual artifacts)로서 관람객과 큐레이터와의 소통형태로 나타나며 이런 관점에서 박물관 전시에 대한 관심을 보일 필요성이 있다.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스크린 혹은 전시실에 자리잡고 있는 스크린을 통해서 관람객들이 보고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새로운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전시실 내에 설치되고 전시내용을 알리기 위해 활용되는 전시패널, 캡션, 포스터, 도록, 그리고 전시보조장치(시청각기자재)와 같이 기존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어진 다양한 매체들에 대한 시각인류학의 관점에서 본 해석은 없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 존의 전시체계와 전시에 활용되어온 각종 매체들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본다면 박물관의 전시를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시각인류학의 가장 정제된 정의는 눈으로 보는 모든 것들에 대한 연구이다.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보면서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활동에 대한 접근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시도 해 보았다.

      • KCI등재

        신선초에서 분리된 flavonoid glycosides의 생리활성

        심재석,김승덕,김태석,김경남,Shim, Jae-Seok,Kim, Seung-Deok,Kim, Tae-Seok,Kim, Kyung-Nam 한국식품과학회 200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7 No.1

        신선초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신선초를 80% 에탄올 추출하고 추출물에 대한 계통 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의 총 5가 분획으로 나누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의 활성이 가장 높아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chloroform : methanol : water의 용매 조건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소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소분획에 대해서 acetylation 반응을 실시하고 이를 n-hexane : ethyl acetate : methanol의 용매 조건으로 단일 물질로 분리 한후 deacetylation 반응을 거쳐 최종 두 개의 단일 화합물을 획득했다. 두 개의 단일 화합물에 대한 구조 해석을 기기분석을 통해서 진행 한 결과 이 두 화합물을 각각 isoquercitrin과 hyperoside로 최종 동정하였다. Isoquercitrin과 hyperoside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법, ABTS radical 소거법, OH radical 소거법 및 $H_{2}O_{2}$ 소거법으로 측정한 결과 4가지 assay법에 대해서 저농도에서 고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isoquercitrin과 hyperoside 모두 손상된 DNA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isoquercitrin과 hyperoside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과 같은 기본적인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DNA 손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OH radical과 $H_{2}O_{2}$에 대해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경로의 항산화 메커니즘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유용한 소재로서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plant antioxidants, because they are expected to protect against oxidative damage, possibly preserving biological functions of cells. Antioxidant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through extraction with 80% EtOH, and fractionations were carried out sequentially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Two 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were identified as isoquercitrin ($quercetin-3-O-{\beta}-D-glucose$) and hyperoside ($quercetin-3-O-{\beta}-D-glucose$). Isoquercitrin and hyperoside showed strong antioxidative potency, as revealed by evaluation of their ABTS, DPPH, OH, and $H_{2}O_{2}$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nd ex vivo DNA damage-protect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