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석류 추출성분이 암세포 증식 억제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효과

        심선미(Sun-Mi Shim),최상원(Sang-Won Choi),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옛부터 질병 치료를 위해서 민간요법이나 한약재로 쓰였으며 설사, 이질, 구내염 및 장출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석류를 추출, 분획하여 5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C6, MCF-7,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을 한 결과 HepG2 세포의 경우 PGMEE층에서는 최고농도인 500 μg/mL에서 92.6%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PGMB도 75.1%로 비교적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자궁경부암 세포인 HeLa세포에서는 PGMEE, PGMEA, PGMB순으로 각각 96.9%, 92.5%, 92.5%로 월등히 높은 효과가 나타났고, 신경교종세포인 C6에서도 최종농도 500 μg/mL에서 PGMEE, PGMB 및 PGMEA순으로 각각 97.8%, 94.5% 및 92.5%의 효과를 나타내어 HeLa세포주와 비슷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유방암 세포인 MCF-7에서는 PGMEE층이 86.9%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그외 층은 효과가 미약하였으며,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세포주는 모든 층이 60% 이하의 낮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다른 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과가 미약하였다. 이상과 같이 5종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PGMEE 층이 월등히 강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인 HepG2를 이용하여 QR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 50 μg/mL에서 PGMEE가 대조군에 비해 1.4배로 나타나 유의적 효과가 있었으며 PGMB의 경우 50 μg/mL에서 대조군에 배해 1.5배의 유도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 농도 증가와 더불어 QR유도효과가 급격히 떨어져 추후 그 이유와 기전을 밝히고자 한다. Various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dietary components protect the initiation step of carcinogenesis. In this study, the ethylacetate (PGMEA), ethylether (PGMEE), butanol (PGMB) and aqueous (PGMA) soluble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PG)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using the MTT assay on HepG2, HeLa, C6, MCF-7 and HT-29 cells and for their activity to induce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mong various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the PGMEE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at 500 μg/mL which resulted 92.5% on HeLa cell lines and 97.8% on C6 cell lines. The PGMEA and PGMB also showed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The assay of QR induction on HepG2 cells indicated that PGMEE had the highest activity among all the fractions. The QR activity in HepG2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PGMEE at the concentration of 50 μg/mL, was 1.4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control value of 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eful cancer chemoprevention materials could be isolated from PGMEE fraction of Punica granatum L.

      • SCOPUSKCI등재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당근잎 추출 성분의 세포독성과 Quinone Reductase 유도효과

        심선미(Sun-Mi Shim),김미향(Mihyang Kim),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는 당근잎을 methanol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식품 폐기물 속에서의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여 보았다. 3종의 암세포주(HepG2, HeLa 및 MCF-7)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전반적으로 당근잎의 ethyl acetate층(DCLMEA)에서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MCF-7세포주에서 최고농도인 500 μg/mL로 첨가하였을 때 62.8%의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HeLa세포주에서는 농도에 따른 의존적인 효과를 보였고 다른 세포주에 비해서 hexane층인 DCLMH에서 41.3%의 효과를 보였다. 한편 당근잎의 QR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켜 갈수록 QR유도 효과는 매우 증가되었으며 특히 hexane층인 DCLMH에서 다른 식품 추출물에서는 볼수 없는 매우 괄목할만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무처리군을 1로 하였을 때 최저농도인 25 μg/mL에서 이미 5.08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고 실험 첨가 최고농도인 200 μg/mL에서는 4.99배의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첨가에 따라 일정효과를 유지하였다. 또 methanol층인 DCLM에서도 나머지층에 비해 높은 QR유도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증가에 따라 의존적인 경향을 보여 최고농도인 200 μg/mL에서 4.73배로 DCLMH층과 비슷한 QR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arious food components on human cancer cell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recise effect and mechanisms of anticarcinogens in food materials on cancer cells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aucus carota L. leaf (DCL) extracts on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aucus carota L. leaf, the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DCLMEA) at 500 μg/mL was shown to be most effective on MCF-7 cell lines. The four partition layers which are DCLM, DCLMH, DCLMB and DCLMH were less effective in inducing cytotoxicity than DCLMEA was. We also determined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by adding DCL extracts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CL extracts, DCLMH and DCLM were tested to be most effective with results such as 4.9 and 4.73 with a control value of 1.0.

      • KCI등재후보

        생애주기별 리듬운동과 영양 고찰

        이명천 ( Lee Myung-chun ),심선미 ( Shim Sun-mi ),김은혜 ( Kim Eun-hye ),홍성희 ( Hong Sung-hee ),서한교 ( Seo Han-kyo ),김동수 ( Kim Dong-su ),박순희 ( Park Sun-hee ),김혜진 ( Kim Hye-jin ),정선옥 ( Jeong Sun-ok ) 한국리듬운동학회 2017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0 No.1

        This topics reviewed several epidemiology studies and some have potential for informing future recommendations. Nevertheless, many do not include samples and this appears to be the “achiles heel”of chronic disease prevention research. Broadening such research to diverse populations and other innovative nutrition related research questions will likely help shape future dietary recommendations.

      • KCI등재

        10주간의 자이로키네시스와 필라테스 운동이 모델전공 여대생의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재호(Kim, Jae-Ho),심선미(Shim, Sun-Mi)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는 모델전공 여대생들에게 10주간의 자이로키네시스와 필라테스 운동을 실시하여,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D대학의 모델전공 여대생들로써 총 28명이 참여하여 피험자들의 참여선호를 고려하여 배정하였으며,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n=10), 자이로키네시스(Gyrokinesis; GK, n=8), 필라테스(Pilates; PT, n=8)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을 제외한 자이로키네시스 및 필라테스 운동집단은 모두 10주간 주2회, 60분씩 총 20회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모두 완료하였다. 10주간의 운동 후 신체구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체지방률에서 자이로키네시스가 사전보다 사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기초체력에서 집단 간 차이는 심폐지구력, 순발력, 오른쪽 외발서기에서 운동통제와 필라테스에 비해 자이로키네시스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시기 간 차이는 근력, 심폐지구력, 민첩성, 순발력에서 차이가 나타나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근력은 자이로키네시스와 필라테스가 사후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과 민첩성은 자이로키네시스가 사후 증가하였으며 순발력은 필라테스 집단이 사전보다 사후 오히려 증가하여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델전공 여대생의 자이로키네시스는 기초체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구성에서는 미비한 효과가 나타나 추후 모델전공의 특성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show how the exercise affects the body composition and basic streng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ed in model with skinny bodies after performing a 10 week gyrokinesis and pilates exercise. It also planned to compare effects of the gyrokinesis exercise with pilat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ssigned to D University"s model women"s college by taking into account the preferences of 28 participants and it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control group ; CG, n=10), gyrokinesis (gyrokinesis; GK, n=8), and pilates.(pilates; PT, n=8) Aside from the control group, the gyrokinesis and pilates group has completed a total of 20 times exercise programs were carried out 60 minutes twice a week for 10 weeks. After 10 weeks of exercise, the observed change in the body composition showed that Gyrokinesis decreased the body fat percentage compared to the condition prior to exercise.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basic strength between groups in terms of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le power, and balance were greater in Gyrokinesis compared to Pilates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difference between periods,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cardiovascular endurance, agility, and muscle power. Therefore, a post-hoc comparison has been carried out, showing that muscle strength has increased for both Gyrokinesis and Pilates,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ncreased for Gyrokinesis and muscle power increased for Pilates , suggesting a rather negative effect. Thus, Gyrokinesis enhanced the basic strength of model-majoring female college students, but showed insufficient effect on their body composition, calling for the need of future studi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ling as maj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