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시장 진출을 휘안 여성복, 영 플러스사이즈 유형별 체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신혜영 ( Hye Young Syn ),이인성 ( In Seo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패션산업의 굴로벌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패션산업의생존 및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중 하나로 수출지역의 소비자 타깃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패션제품 주요 수출지역인 미국은 다양한 인종과 지역적 특성을 보유한 국가로 적확한 타깃을 대상으로 한 마켓공략이 특히 중요한 시장이다. 미국은 플러스사이즈의 소비자가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로 특히 영 플러스사이즈 소비자들은 패션제품에 대한 요구가 기존 플러스사이즈 소비자에 비해 다양하다. 한국기업의 수출판로 증대를 위하여 미국 내 영 플러스사이즈 패션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국의 영 플러스사이즈 소비자의 기준 체형인 14w 사이즈를 수치화한 인체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다시 비만 부위에 따른 체형으로 연구 분석하여 다섯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하체가 비만인 체형은 A형, 모래시계와 같은 형태는 x형, 어깨가 넓은 체형은 v형, 굴곡 없이 전체적으로 일자형은 H형, 허리와 배 둘레가 굵은 체형은 O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그 비율별로 사이즈를 분석, 인체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다섯 가지 유형화된 체형을 이용하여 영 플러스사이즈 소비자의 패션 제품을 개발한다면 기존의 한 가지 체형을 그레이딩하여 크기만 키운 의복에 비해 매우 기능적이고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패션 상품 개발이 가능할 것이며 한국패션 기업의 특화된 상품의 판로개첵에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e situation that globaliz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is accelerating furthe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by target in areas that export of porducts tries to be done as one of various efforts which are neoessary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US, the major area that the Korean fashion products are exported, is the oocuntry which possesses many raoes and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So it can be the market taht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targer the market by focusing on exact targets. US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most plus size oonrumers, Especially, the young plus size consumers` requirement for fashion products is more different htan that of the existing plus size consumers. lt can be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to provide design which is to the American young plus size fashion consumers` taste by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stereotyping their booy shapes to inorease export outiets of Korean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digitized 14W size which is the standard body type of the American young plus size consumers and developed their 3D dummies. And the five types were again stereotyped by rdsearchin gand analyzing body types aoording to fat parts. They are dassified as follow. The type which is overweight in the lower body is A type. The type like sandglass is X type. The body type with broad shoulders is V type. The straight type without curvy body lines is H type. The type with thick waists and abdomen is O type. The dummie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sizes aoording to the rate. lf fashion products of young plus size consumers will be developed by using these five stereotyped body types, it is thought fashion products that function and customenr satisfaction are higher than those of dotiing which just make sizes larger by grading a body type can be developed and it will be helpful for tentorial cultivation of the specialized products of the Korean fashion compannies.

      • KCI등재

        패션 산업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리디자인 연구

        신혜영 ( Hye Young Sy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패션산업에서 대량생산 대량소비와 그로인하여 지나치게 많이 발생되는 폐기물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환경을 저해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게다가 세계적인 패스트 패션의 유행은 트렌드의 빠른 변화와 함께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윤리적인 문제의식도 망각하게 만들고 있는 현황이다. 이러한 시점에 한정된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리디자인에 대한 의식들이 생기면서 디자인관련 산업에서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와 이를 적용하는 브랜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리디자인이 단순히 자원의 재활용 차원을 넘어 보다 효율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면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활용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리디자인의 형태인 다운사이클링을 넘어 업사이클링의 형태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패션분야보다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일반 디자인분야에서 연구되어온 리디자인들 즉, 리사이클 디자인, 리유즈 디자인, 리듀스 디자인, 리플레이스 디자인, 리바이탈리제이션 디자인 등은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므로 패션산업에서도 리디자인으로 적용 가능한 리사이클 디자인, 리유즈 디자인, 리듀스 디자인 등의 리디자인을 효율적인 업사이클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적용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리디자인을 실행하고 있는 앞선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리디자인을 보다 효율적으로 업사이클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향후 패션 브랜드의 상품 기획에 환경보호와 자원절약이라는 중요한 주제를 적용하고 자원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re are many problems related to waste that are degrading the environment, due to the overuse of natural resource caus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In addition, the tide of global fashion and rapid changes in trends has weakened the ethics and morals of producers and consumers. At this point, some studies on re-design and new brands for the application of re-design are emerging in the design industry in efforts to protect limited resources, and to raise an awareness of re-design. Not only to increase the level of resource recycling, but also to efficiently protect the environment and save resources, re-design should be utilized through the solution of up-cycling, which is more suitable and recommendable than the general solution of down-cycling. There have been good performances and outputs in the general design industry`s attempts at re-design, such as recycle design, reuse design, reduce design, replace design, and revitalization design.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for the fashion industry to study redesign, such as recycle design, reuse design, reduce design, and it is important to apply and utilize these for up-cycling. The study shows some practical cases to achieve re-design, and suggests up-cycling as a future efficient re-design solution. In the product planning of future fashion brands, we should appl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 saving as key words, and need to make more effort in the up-cycling of resources.

      • KCI등재

        의류 브랜드의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신혜영(Hye Young Syn) 한국복식학회 2010 服飾 Vol.60 No.9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that apparel company will pursue in 21 century is to achieve the critical factors of the sustainabil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s to meet the demands for the valuable life of contemporary generation and to satisfy the desires for preservation of the species and the productive life of future generation by protecting the earth environment from the waste and pollution and by developing and maintaining harmoniously main econom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factors.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was focused onl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past. Now, the effective and efficient practice of sustainability should be fulfilled and executed in social factors of the responsibility company has, in economical factors and in the cultural factors that is the critical in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al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sustainable factors which apparel brand should refer and apply to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By executing the practical factors of the frameworks, apparel company can take a lot of advantages. By practic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company can get Eco-efficiency. Apparel company can take the social responsibility by performing social sustainable factors, can make economical quality growth by fulfilling economical sustainable factors, and can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by executing cultural sustainable factor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 in 21 century industry, the apparel brand should have an interest in and require the practical management of sustainability, objective setting and practice of brand unit, reflection on the sustainability in brand planning.

      • KCI등재

        섬유,패션기업의 지속가능성 실천 평가 연구

        신혜영 ( Hye Young Syn ),금기숙 ( Key Sook Geum ) 한국의류학회 2014 한국의류학회지 Vol.38 No.2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is an important subject to integrate into management, product planning, manufacturing by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as well as consumption by end-users. This study shows an evaluation scale designed to assess the practical cases in order to suggest efficient and systematic methods to fulfill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in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First, companies should practic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o use eco-friendly material and cleaner production, protect the environment, andsave natural resources. Second, social sustainnability is required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needs. Third, companies should perform various innovative activities, transparency in management, fair competition and economic contribution in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maintain economic sustainability to survive in industry. Finally, cultural sustainability should be fulfilled by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as part of the intellectual-cultural industry in a way that increases the improtance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should fulfill four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cultural sustainable subjects in a balanced method to accomplish sustainability. The concerns and practic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re comparatively highly rated due to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cale. How-ever, cultural sustainability (a need of the times) is poorly rated and needs more attention. Therefore, the evaluation scale can be used as a standard tool to fulfill the sustainability of companies and brand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poor and insufficiently sustainable items as well as balancing sustainability manage-ment.

      • KCI등재

        스마트 기술과 지속가능한 가치가 융합된 섬유·패션 디자인 사례 연구

        신혜영(Syn, Hy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술과 지속가능한 가치가 융합된 섬유·패션 디자인에 대해 고찰함으로서, 디자이너가 미래 환경을 보존하고 사회적 경제적으로도 지속가능성을 지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스마트한 기술이 지속가능성과 융합된 디자인사례를 문헌연구 중심으로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구글에 ‘스마트’, ‘스마트 의류’, ‘스마트 패션’, ‘스마트 섬유’, ‘디자인 가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발전’, ‘ICT융합 디자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키워드를 넣어 검색 분석하였다. 제품의 제작 시기는 스마트 기술과 섬유패션제품의 융합이 보편화된 2010년 이후 제작된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섬유·패션을 중심으로 일상의 소비자가 활용하는 제품디자인과 인간의 활동을 지원하는 디자인 위주로 한정하였다. 이론적 고찰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많이 논의되는 용어 스마트 기술, 지속가능성, 디자인 가치, 웰니스의 의미를 정의하였다. 둘째, 스마트 섬유·패션산업 현황을 고찰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지속가능한 발전의 흐름과 섬유·패션 디자인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스마트 기술과 지속가능한 가치가 융합된 디자인사례는 환경 가치 창출 디자인, 사회 가치 창출 디자인, 경제 가치 창출 디자인 그리고 웰니스 가치 창출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환경 가치 창출 디자인 사례는 일상생활에서 태양에너지 활용 등의 에너지 절약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디자인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들은 환경 보호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지키고 에코 효율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사회 가치 창출 디자인 사례는 사회적 약자의 편의를 위한 디자인, 소방관이나 군인의 안전을 도모하여 공공의 이익을 돕는 디자인, 산업 안전을 위한 디자인 등이 있었다. 이 디자인들의 특성은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여 균형발전과 공공의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경제 가치 창출 디자인 사례는 비즈니스맨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여주는 것들로 패션산업의 질적 성장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웰니스 가치 창출 디자인 사례는 개인의 건강을 지켜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디자인, 의복을 통해 의료를 지원하는 형태의 스마트 기술적용 디자인, 위험한 상황대처용 생명 존중 디자인의 형태로 나타났다. 사례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지속가능성을 지키고자하는 디자이너의 가치가 실현될 때 스마트 기술은 더 빛나고 인간 삶의 질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디자이너들은 제품 디자인에 있어 제품의 전주기에 걸쳐 책임질 수 있도록 기획해야 하고 환경, 경제, 사회 그리고 웰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case of textile and fashion design converged with smart technology and sustainable values that enables designers to preserve future natural environments and to prepare social and economic base to maintain sustainability. As for study methods, focused on literature studies on cases of designs converging smart 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key words such as ‘smart’, ‘smart clothing’, ‘smart fashion’, ‘smart fiber’, ‘design values’, ‘sustainability’, ‘sustainable development’, ‘ICT convergence design’, ‘wearable devices’ were 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Naver and Google’s search engines. Also, products created after 2010, which was when the convergence of smart technologies and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were generalized, examined. As for study subjects, designs that support human activities and product designs that are utilized by ordinary consumers where selected, focusing on fiber fashion. In terms of theoretical examin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defined the meaning of the words ‘smart technology’, ‘sustainability’, ‘design value’, and ‘wellness’.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mart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Thirdly, sustainable design was studies, mainly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textile and fashion design and the flow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ases of designs converging smart technologies and sustainable values where studied by categorizing them into environmental value creating design, social value creating design, economical value creating design, and wellness creating design. Cases of environmental value creating designs mostly showed desig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rough saving energy such as utilizing solar power in daily lives, and showed strengthening in eco-efficiency and maintaining sustainability through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al value creating designs showed designs for the socially weak, helping public profits by promoting the safety of fire fighters or the military, designs for industrial safety, etc. The characteristic of these designs is that they can be used to maximize public profits balanced development by achieving social responsibilities. As for economical value creating designs, they were shown to contribute in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 by enhancing work efficiency and saving time of businessmen. Wellness creating designs were displayed in different design forms including design that pursues a happy life by protecting individual health, design applied with smart technologies to support medical practice through medical clothing, and design that respects life by dealing with dangerous situation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case study was that smart technologies enhance and the quality of human lives improve when the designers’ values to protect sustainability are fulfilled. In terms of product design, designers should plan designs to cover the whole life cycle of the product and make an effort to create environmental, economical, social, and wellness values.

      • KCI등재

        소방관의 작업 상황별 안전장갑 디자인 요건 도출에 관한 연구

        신혜영(Syn, Hye Young),이인성(Lee, In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소방관은 국민의 재난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중요한 임무를 띠고 있다. 그들이 사용하는 안전장갑은 소방관의 안전과 다양한 활동에 도움이 되는 주요도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장갑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소방관들의 활동과 작업상황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기능을 반영한 장갑도 부족한 현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소방장갑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소방관의 작업상황과 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능은 물론 작업효율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전장갑을 디자인할 수 있는 디자인 요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로 소방장갑 시장현황과 활동에 관한 일반 고찰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로 15명의 소방관을 대상으로 인뎁스 인터뷰를 실시하여 소방관의 활동과 장갑 착용 시 필요한 요건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소방관 관련 방송도 시청하여 객관적인 자료 도출에 활용하였다. 국외 장갑의 우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진국의 소방용품 사이트를 검색하여 대표적인 상품을 구매하고 국내 제품과 비교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소방관의 작업 상황 맞춤형 장갑 디자인을 위한 기초연구이므로 안전장갑의 디자인 요건을 추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소방관의 업무는 매우 다양하며, 그중에 대표적인 것은, 화재를 진압하는 일, 인명을 구조하는 일, 화재의 원인을 조사하는 일 그리고 응급상황의 구급을 담당하는 일 등 네 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 위험한 환경에서 짧은 시간 안에 작업하는 업무 특성상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작업 상황 맞춤형 안전장갑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방관들의 요구조건을 인터뷰한 결과와 국내외 안전장갑을 분석하여 디자인 요건을 도출한 결과는 디자인을 위한 공통요소와 개별 요소로 나눌 수 있다. 공통요소는 첫째, 안전장갑에 가장 중요한 것은 소방관의 안전보장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소재의 사용이 중요한데, 기존에 개발된 좋은 소재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도 있으므로, KFI기준에 맞도록 특수 강화소재 혼방 기술을 디자인 부위별로 적절히 적용하여 안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 소방관의 체형맞춤형으로 인체공학적 3D패턴을 제작하여 착용성을 최적화 하여야 한다. 그립감, 유연성, 동작편의성 등의 개선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3D 패턴으로 제작된 장갑을 한국인의 손사이즈에 맞도록 사이즈를 다양화하여 선택의 폭을 넓혀야 체형 맞춤형 개발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다. 넷째, 장갑의 경량화로 작업효율성을 강화하여야한다. 다섯째, 소방관 작업 특성에 맞는 필요조건을 수용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개별 요소로는 첫째, 화재 진압용 장갑은 활동성과 방호성능이 우수하고 방염성, 방수성, 내열성, 절연성, 강도,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디자인 강화 부분으로는 소방복과 장갑 사이 틈에서 소방관의 손과 손목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소방작업 중 물에 젖었을 때도 탈착이 편리하게 디자인 되어 내피가 끌려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둘째, 화재조사용 장갑은 외부 이물질 방어 기능 소재의 활용 및 동작편의성 구조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조사 도구 활용이 적합하여야 한다. 셋째, 구조용 장갑은 손바닥 미끄럼 방지 기능 강화, 손등의 부딪침 방지 기능 강화, 손등과 손끝의 접합 강화, 장갑 손목 부위의 길이 조절 강화 등의 기능이 보강되어야 한다. 넷째, 구급용 장갑은 구급 활동 적합형으로 유연성, 방오성이 강화되어야 하고, 스마트 기기의 활용 편의성 확보, 손바닥의 미끄럼 방지 기능 강화 등이 필요하다. 이상의 디자인 요건을 반영하여 소방용 안전장갑이 작업환경 맞춤형으로 개발되면 소방안전에 노고가 많은 소방관들의 안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소방용 안전장갑 연구는 소방관과 화재를 당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것은 물론이고 향후 경찰관, 산림청 등의 공공 기관의 장갑 기능향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산업체에서도 안전장갑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재난안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refighters are entrusted with an important mission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isaster safety of the people. The safety gloves they use are one of the major tools that assist them in their safety and various activities. Nevertheless, there hasn’t been much research on the design of these safety gloves. Furthermore, there aren’t enough gloves that reflect the functions grasping each of the firefighters’ activities and work situations.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design requirements to design safety gloves that can enhance functions as well as work efficiency, by grasping the actual usage conditions of firefighting gloves and analyzing firefighters’ work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literature study for firefighting gloves market situation and activities. The requirement for firefighting gloves is developed by in-depth interview with 15 firefighters as the empirical study. Also, some objective requirement is derived from the broadcasting program related to firefighting. In order to find competitiveness of oversea firefighing gloves, typical commodity is surfed from internet sites of advanced countries, and compared with domestic gloves. As the research scope is the fundamental research work in accordance with work situation, the study is limited for only design requirement of safety gloves. The duties of a firefighter are very diverse, and their representative on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major roles; extinguishing fires, saving lives, investigating the cause of fires, and being in charge of first-aid in case of emergencies. Since they mostly work in a dangerous environ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customized safety gloves for work situations to allow efficient working needs to be separately made. As a result deriving design requirement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interviewing the requirements of firefighters and domestic and foreign safety gloves, the requirements can be divided into common factors and individual factors for design. As for common factors,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safety gloves is ensuring the safety of the firefight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se proper materials, and since there are aspects where existing developed materials cannot be used, safety should be enhanced by properly applying specially improved material mixing technologies by design parts to comply with KFI standards. Secondly, wearability should be optimized by creating ergonomical 3D patterns customized for the body shape of Korean firefighters. Work efficiency needs to be enhanced by improving grip feeling, flexibility, movement convenience, etc. Thirdly, gloves made through 3D patterns should be diversified into various sizes suiting the hand sizes of Korea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body type customized development. Fourthly, work efficiency needs to be enhanced by making the gloves lighter. Fifthly, a design that applies the requirements for the work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s is needed. As for individual factors, first of all, gloves for extinguishing fires should have excellence in protection performances, flame proof, water proof, heat-resistance, insulation, strength, and durability. As for design enhancement parts, the hand and wrist area between the glove and firefighting suit should be protected. Also, it should be designed so that it comes off easily when it gets wet during work so that the inner part doesn’t be dragged out. Secondly, gloves for investigating fires should be developed with materials that protects the hands from foreign substances and with a structure convenient for movement. Also, the use of investigation tools should be suitable. Thirdly, gloves used for rescues should have improved palm slip-proof functions, enhanced functions for preventing hand bumping, strengthened joints between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tip of the hand, improved length adjusting functions, and so on. Fourthly, gloves for fi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SEAN 한류지역 소비자의 패션소비성향 및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평가

        신혜영 ( Hye Young Syn ),이인성 ( In Seo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한류 영향권 내의 ASEAN 국가들은 한국 소비자와 체형이 비슷하고, 문화적 근접성으로 정서와 취향이 유사하여 한국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이를 활용하면 국내 패션 내수 포화 상태에서 벗어나 ASEAN 국가로의 진출이 용이할 것이다. 그러므로 ASEAN 국가 중 주요 2지역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패션 소비자들을 통해 한류에 대한 이미지 및 한국 패션제품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두 지역의 패션소비성향과 국내 소비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이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상품계획을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국 소비자들은 좀 더 자기이미지 표현과 개성을 드러냈다. 소비자들은 한류문화를 접하고, 한국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을수록 한국 패션제품에 대해 좀 더 호의적이며 재구매 의도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가 ASEAN 신흥경제권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문화 콘텐츠를 통해 체화된 한류의 긍정적 효과를 패션 브랜드로 전이시킬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또한 아시아 신흥경제권 내 한류지역 젊은 감성 소비자들의 패션제품 구매기준이 점차 프리미엄화 되어 가고 있어 한국산 고품질, 고감성 패션제품의 가격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류의 진행방향을 주시하며 한류 영향권 아시아 국가를 후보자로 젊은 층의 패션시장으로서 가능성을 타진하고, 해외진출방안 모색하여 신규시장개척 및 빠른 시장 진출을 도와 한국 섬유패션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There is an advantage of similar sentiment and taste for ASEAN countries that have a high preference towards Korea in areas of influence due to body shape that is similar to Korean consumers, and cultural proximity. It is considered that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get away from saturation of domestic companies and enter ASEA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product planning of company that targets concerned area in the futur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the image of Korean wave and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items through fashion consumers in Vietnam and Indonesia. Two main countries were selected among ASEAN, and compared with fundamental fashion consumption tendency with domestic fashion consumers. Compare to Korean consumers, Vietnamese and Indonesian consumers showed price conscious consumption behavior in purchase of street costume. Korean consumers showed more of their own image expression and individuality. It was analyzed that more the consumers who had contact of Korean culture and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Korean product, more they are favorable to Korean fashion product and showed re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verified that positive effect of Korean wave that accumulated through cultural contents by stimulating sensibility of consumers in emerging economic bloc in ASEAN can be transferred to fashion brand. Therefore, standard of purchasing for fashion product of consumers with young sensibility in new Asian economic bloc is getting more premium. Hence, it is judged that price premium for Korean high quality and high sensibility fashion item is expected. It is hoped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Korean fabric and fashion product by helping to open new market and fast entrance to the market. It will be done by focusing on direction of Korean wave, sounding possibility of Asian countries under the Korean influence as a candidate place for young fashion market, and finding a way for oversea expansion.

      • KCI등재

        집배원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신혜영(Hye Young Syn) 한국복식학회 2000 服飾 Vol.50 No.7

        Uniform is the dress of distinctive design or fashion worn by members of a particular group or serving as a means of identification. The postman`s uniform of Ministry of Communication should be distinctive or characteristic clothing to provide high functionality and symbolization of job characteristics, cost effectiveness and esthetic. In order to design the postman`s new uniform available in 2000, there has been a satisfaction survey to 1,116 postmen. A thorough analysis of survey and informal and face-to-face discussion with postmen give the direction of design concept.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design concept is to make the uniform high quality & refinement. The style is a refined jumper suit in consideration of form stability, wearing satisfaction, convenience in activity. The basic colors selected are navy and medium gray. The colors of jumper are MOC red: C.I color, Green: a representative color of youth, white: a symbolic color of bright future. All three colors are plaid on a basic navy color. In the selection of the textile, synthetic fiber (polyester 65%, rayon 35%) equipped with UV cutting as well as water resistance etc. was recommended. In the uniform design proces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user (postman) is critical to find the requirements and needs of uniform user (postman). Also, the uniform designer should reflect the above four key factors in design development. Therefore, the uniform should provide the user with high job performance and job pride in wearing the uni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