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변인

        신철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3 忠北醫大學術誌 Vol.23 No.2

        연구목적: 자살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원인, 심리학적인 원인, 사회학적인 원인 또는 사회경제적인 요 인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물학적, 심리학적인 원인에 비하여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관한 연구는 적 다. 본 연구는 각 국가별 자살률과 인구밀도, 소득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 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세계 각국의 자살률 및 사회경제적인 변인은 유엔개발계획에서 발행한 2013년판 인간 개발보고서 2013과 미국 중앙정보국에서 발행한 월드팩트북 2012년 판을 참고하여 각국의 남녀 자살 률과 사회경제적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피어슨상관계수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세계적으로 남자의 자살률이 여자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도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인간개발 지수와 남녀의 자살률이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제적인 요인으로는 1인당 국내총생산과 국민총소득 이 여성의 자살률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남성의 자살률과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각 나라의 발전 상태를 나타내는 인간개발지수 및 1인당소득, 정부에 대한 신뢰도등과 같은 사 회경제적인 변인과 남녀의 자살률이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자살의 원인에 유전적 그리고 생물 학적인 요인이외에 사회경제적인 요인도 상당부분 관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뇌파의 비선형 분석을 위한 신호추출조건 및 계산 알고리즘

        신철진,이광호,최성구,윤인영,Shin, Chul-Jin,Lee, Kwang-Ho,Choi, Sung-Ku,Yoon, In-Young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1

        목 적 : 임상 뇌파의 비선형 분석시,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과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을 얻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고안을 시도하였다. 또 뇌파신호 분석을 위한 적절한 신호획득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여러 상이한 실험조건에서 상관차원을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각 실험실마다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실험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의의 한 개인을 대상으로 13개의 두피전극에서 얻은 뇌파신호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비트 해상도에서 1000 헤르츠로 32초간 얻은 뇌파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각 전극당 32000개의 시계열자료를 얻었다. 이 자료를 10, 20, 30초 간격의 시간단위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1000, 500, 250, 125, 62.5 Hz 등 5가지 신호추출조건을 달리 하여 각 전극마다 총 15개의 시계열 자료를 만들었다. 여기에 상관차원 계산시간 단축을 위해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 및 상관차원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한 최소절단자승기법을 적용하여 상관 차원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은 상관차원 결과를 신호획득시간과 신호추출빈도에 따라 비교하였다. 또 로그연산을 비트 연산으로 바꾸어 계산시간 단축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최소 절단자승기법과 최소자승추정기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신호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관차원의 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호추출빈도가 62.5Hz일때는 신호추출시간에 무관하게 높은 상관차원값을 나타냈으나 그밖의 빈도에서는 유사한 상관차원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계산 알고리듬은 종래 사용하던 알고리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산시간 단축효과를 보였다. 또 종래의 방법인 최소자승추정에 의한 상관차원에 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최소절단자승추정법은 보다 안정된상관차원 값을 추정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다량의 뇌파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데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상관차원 추정에 알맞는 분석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뇌파 시계열 자료의 상관차원 계산시 12비트의 해상도에서 125Hz의 신호추출빈도로 20초간 뇌파신호를 획득하면 적정한 수준의 상관차원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Objectives: With the object of finding the appropriate conditions and algorithms for dimensional analysis of human EEG, we calculated correlation dimensions in the various condition of sampling rate and data aquisition time and improved the computation algorithm by taking advantage of bit operation instead of log operation. Methods: EEG signals from 13 scalp lead of a man were digitized with A-D converter under the condition of 12 bit resolution and 1000 Hertz of sampling rate during 32 seconds. From the original data, we made 15 time series data which have different sampling rate of 62.5, 125, 250, 500, 1000 hertz and data acqusition time of 10, 20, 30 second, respectively. New algorithm to shorten the calculation time using bit operation and the Least Trimmed Squares(LTS) estimator to get the optimal slope was applied to these data. Results: The values of the correlation dimension showed the increasing pattern as the data acquisition time becomes longer. The data with sampling rate of 62.5 Hz showed the highest value of correlation dimension regardless of sampling time but the correlation dimension at other sampling rates revealed similar values. The computation with bit operation instead of log ope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shortening of calculation time and LTS method estimated more stably the slope of correlation dimension than the Least Squares estimator. Conclusion: The bit operation and LTS methods were successfully utilized to time-saving and efficient calculation of correlation dimension. In addition, time series of 20-sec length with sampling rate of 125 Hz was adequate to estimate the dimensional complexity of human EE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낭내 삽입한 미세각막절개 백내장 수술의 임상평가

        신철진,이주은,김재형,김재용,차흥원,Chul Jin Shin,MD,Joo Eun Lee,MD,Jae Hyung Lee,MD,Jae Yong Kim,MD,PhD,Hungwon Tchah,MD,PhD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5

        Purpose: To compare visual performance after microincision cataract surgery (MICS) with the implantation of the Akreos MI-60 (MI-60) intraocular lens (IOL) through a 1.8-mm microincision with that after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the Akreos Adapt-AO IOL (Adapt-AO). Methods: All MICS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The MI-60 was implanted into 25 eyes, and the Adapt-AO was place in 28 eye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total high-order-aberration (HOA), contrast sensitivity, and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were recorded one-week, one-month, and four-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CVA between eyes implanted with the MI-60 or those with the Adapt-AO (MI-60 vs. Adapt-AO, 0.09±0.11 at baseline (logMAR), 0.11±0.08 at one-week, 0.06±0.07, 0.06±0.06 at one-month, 0.05±0.06, 0.06±0.05 at four-months according to the Mann-Whitney U test, p>0.05). Refractive errors were significantly less with the Adapt-AO than with the MI-60 (MI-60 vs. Adapt-AO, -0.50±0.43 at baseline (diopter), -0.06±0.39 at one-week, -0.50±0.41, 0.01±0.57 at one-month, -0.46±0.36, 0.08±0.58 at four-months according to the Mann-Whitney U test,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HOA or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eyes implanted with the MI-60 and those implanted with the Adapt-AO. SIA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eyes implanted with the MI-60 than in those with the Adapt-AO at one-month and four-months postoperatively (Mann-Whitney U test, p<0.05). Conclusions: Implantation with either the MI-60 or the Adapt-AO produced clinically acceptable outcomes, including good spherical aberration and contrast sensitivity. Furthermore, implantation with the MI-60 caused less SIA at one- and four-months postoperation, as compared to that with the Adapt-AO.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5):677-683

      • KCI등재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와 전방각의 변화

        신철진,이주은,김재용,차흥원.Chul Jin Shin. MD. Joo Eun Lee. MD. Jae Yong Kim. MD. PhD. Hung Won Tchah.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3

        Purpose: To evaluate changes in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angle after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using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OCT). Methods: Seventy-eight eyes of 69 patients had uneventful phacoemulsification and IOL implantation using a clear corneal incision. Anterior segment OCT images of nasal and temporal angle quadrants were obtained before and at one month after surgery. The angle-referenced (ACD1), pupil-referenced (ACD2), lens-referenced (ACD3) ACDs, crystalline lens rise (CLR), nasal and temporal iridocorneal angles, angle opening distance at 500 μm (AOD500), and trabecular iris surface area at 750 μm (TISA750) were measur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were compar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Results: The mean ACD1 was 3.19±0.24 mm preoperatively and 3.22±0.21 mm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P=0.21); ACD2 was 2.99±0.40 mm preoperatively and 3.56±0.28 mm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P<0.05); ACD3 was 2.75±0.41 mm preoperatively and 4.00±0.27 mm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P<0.05). The mean iridocorneal angles, AOD500, and TISA750 for both nasal and temporal sides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postoperative examinations (P<0.05). Conclusions: Changes in anterior chamber angle after cataract surgery can be objectively quantified by anterior segment OCT. Deepening of the anterior chamber and widening of the nasal and temporal angles after cataract extraction were shown on AS-OCT.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3):353-358

      •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치료 전후의 뇌파소견의 변화 : 3차원적 신호부위 추적분석

        신철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忠北醫大學術誌 Vol.18 No.1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인 뇌영상 소견들이 결정적인 성과는 아직 없지만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역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뇌파를 사용하여 뇌내의 병리적인 부위를 3차원적으로 국소화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정신분열병의 전기생리학적인 이해를 넓히고자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 초기와 치료 후의 표면뇌파를 이용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부위를 sLORETA를 이용하여 국소화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신분열병의 급성 악화로 대학병원에 입원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모든 대상자는 뇌외상, 알코올 의존, 또는 간질의 과거력이 없는 환자들이었다. 입원 첫 주 및 넷째 주에 뇌파를 측정하였고 동시에 양성 및 음성증상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를 사용하여 정신병리를 측정하였다. 13개의 전극에서 12비트 해상도를 가지고 125 Hz로 추출하여 디지탈화된 자료를 얻어 분석하였으며 눈을 감고 편안한 상태에서 얻은 512개의 자료를 이용하여 sLORET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치료 전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정신병리척도 상에 나타난 증상의 호전은 유의하였으며(p<0.01), 양성, 음성, 및 일반 증상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입원 첫 주와 넷째 주의 뇌파의 비교에서는 알파 2파의 파워가 우측 연상회(supramarginal gyrus)에서 치료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른 대역폭이나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이전의 연구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의 두정엽의 이상은 사회적인 인지의 손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또한 환청의 정도와 연상회의 부피 감소가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정신분열병에서 연상회의 전기생리학적인 역동 이상을 시사하며, 두정엽의 부피감소나 기능이상, 또는 알파파의 파워 감소 등을 보고한 이전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Purpose: The studies using structural or functional imaging have continuously reported localized abnormalities of schizophrenic brains but those findings are still inconclusive. In spite of the inverse problem, there have been also many efforts to localize the pathology in the brain from the surface electroencephalography. To expand the understandings of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a, we tried to see any changes of the power spectrum of surface EEG during the antipsychotic treatment and to find out the localized brain area which is responsible for those changes using sLORETA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one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 diagnosed by DSM-III-R were recruited from the university hospital. All the patients did not have any history of head trauma, alcohol dependence or epilepsy. The electroencephalography was checked twice, the first and the forth week of the antipsychotic treatment during admission, and the psychopathology was measur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The EEG signals from thirteen leads were digitalized with 125 Hz sampling rate and 12 bit resolution. The epochs of 512 points in eyes closed condition at rest were analyzed for the comparison of the two different times during the antipsychotic treatment. Three dimensional source localization and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performed by sLORETA software. Results: The severity of psychopathology on PANSS scale was reduced after the treatment (p<0.01), and positive, negative and general psychopathology subscale score were all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lectroencephalogram of the first and the fourth week, sLORETA revealed that the power of alpha 2 ban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right supramarginal gyrus after the treatment (p<0.05). However, other cortical areas and other frequency bands have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parietal lobe abnormalities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can be considered to have a relation with their impaired social cognition, or that the severity of auditory hallucination had a correlation with the volume loss of supramarginal gyrus. The change of alpha spectral power on the supramargical gyrus i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chizophrenia may have a abnormal electrophysiological dynamics of supramarginal gyrus which is a part of inferior parietal lobe, and this finding is compatible with prior imaging studies that reported a reduced volume or impaired functions of parietal lobe, and with other electroencephalographic studies that reported the reduced alpha wave power during the antipsychotic treatment in schizophrenia.

      •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중 관찰된 체중의 변화

        신철진,권영준,이경규,지익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 of body weight,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during the atypical antipsychotics treatment. Methods : Forty nine schizophrenic or schizoaffectie patients were recruited and the patients with histoly of eating disorder were excluded. Body weight was checked with 4-week interval from baseline to the 48th week. Blood che-mistry was checked twice at baseline and the 48th week for HbAlc, cholesterol, LDL, HDL, and triglyceride. The subjects were treated wth rispendone(n=25) or oianzapine(n=24). The observations were done under natural course of the treatment without any limitation of dosage or combination of other drugs. Results : After forty eight weeks of the treatment, subjec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body weight and BM1. They also had significant increase of HbAlc, cholesterol, LDL, and TG levels, but level of HDL decreased. The percent weight gai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itial BMI in both risperidone and olanzapjne groups. Conclusion : This results suggest that during the natural course of the atypical antipsychotics treatment, patients may have weight gain and abnormal lipid metabolism or glucose metabolism, and increased the risk of OM, or cardiovascular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