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각종 간질환에서 혈청 Antithrombin 3 활성도 측정의 임상적 의의

        신요식(Yo Sig Shin),백운희(Won Hee Baek),임수진(Su Jin Im),전규락(Gyu Rak Chon),김영욱(Young Wook Kim),김준형(Jun Hyoung Kim),박상준(Sang Joon Park),김윤권(Yun Kwon Kim),김소연(So Yon Kim),김영중(Young Jung Kim),조민구(Min Koo Cho),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4

        서론 : Antithrombin III (AT-III)는 간세포 및 혈관 내피 세포에서 생성되는 항응고물질로 각종 간질환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는 외국보고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간질환에서 AT-III의 측정 및 임상적 의의에 대한 국내문헌을 참조하기가 곤란하다. 이에 저자들은 각종 간질환에서 혈청 AT-III를 측정하고, 혈청 AT-III 활성도 측정이 각종 간 질환에 따른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1997년 10월부터 2002년 3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간기능 검사와 AFP, 복부초음파, 혹은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ACL 3000(IL, USA)을 이용한 chromogenic법으로 혈장 AT-III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단, AT-III 활성도의 정상 범위는 70∼120%로 정하였다. 결과 : 지방간 환자 15예, 급성 B형 간염 환자 5예, 만성 B형 간염 환자 45예에서 AT-III 활성도는 각각 95.70±8.22%, 83.60±14.36%, 84.98±16.39%로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간경변증 환자 53예에서 AT-III 활성도는 50.26±18.78%였고, 정상 범위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간경변증에 병발한 간세포암 환자 36예에서 AT-III 활성도는 72.31±24.18%로 정상 범위내에 있었으나, 간경변증에서의 AT-III 활성도 보다는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p<0.001). 간경변증이 동반되지 않은 간세포암 4예에서 AT-III 활성도는 82.25±20.04%로 정상 범위 내에 있었으나, 간경변증에 병발한 간세포암의 AT-III 활성도 보다는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p=0.013).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AT-III 활성도는 혈청 albumin이 감소될수록 의미있게 감소하였다(R=0.4649, p=0.0013). 간경변증 환자에서 AT-III 활성도는 혈청 albumin이 감소될수록 의미있게 감소하였고(R=0.3038, p=0.0270), 혈청 bilirubin이 증가될수록 의미있게 감소하였다(R=-0.3384, p=0.0132). 간경변증에서 진행된 간세포암 환자에서 AT-III 활성도는 혈청 cholesterol이 증가될수록 의미있게 증가하였다(R=0.6335, p=0.0001). 간경변증에서 Child-Pugh Classification에 따른 AT-III 활성도는 장애가 심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AFP가 정상범위인 간경변증 환자와 간경변증에 병발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AT-III의 활성도는 각각 50.11±2.86%, 75.58±6.6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 AT-III 활성도가 간경변증에서는 저하되고 간경변증에 병발한 간세포암 환자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특히, AT-III 활성도가 감소되지 않은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AFP의 상승이 없더라도 간암에 대한 정밀 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Antithrombin III (AT-III) produced from hepatocytes and endothelial cells is a coagulation inhibitor.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ctivity levels of AT-III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and attempt to elucid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ctivity levels of AT-III in relation to various liver disease. Methods : This study includes 158 patients with liver disease, who visited the National Police Hospital between October 1997 and March 2002. We performed laboratory tests such as LFT, AFP and either abdominal sonography or abdominal CT. At the same time, AT-III activity levels was measured by chromogenic method using ACL 3000 (IL, Lexington, USA). AT-III activity level of 70∼120% was regarded as normal. Results : AT-III activity level of liver cirrhosis patients was decreased along with severity of the disease evaluated by Child-Pugh Classification. AT-III activity level of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hose serum AFP were within normal limits, were 50.11±2.86% and 75.58±6.61%,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decrease of AT-III activity level in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the increas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further evaluation for the possibilit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out decrease of AT-III level or increase of AFP, may be in need.(Korean J Med 63:379-385, 2002)

      • SCOPUSKCI등재

        Prednisolone에 치료반응을 보인 경화담관염 1예

        신요식 ( Yo Sig Shin ),장용석 ( Yong Seok Jang ),강민경 ( Min Kyoung Kang ),장병국 ( Byoung Kuk Jang ),박경식 ( Kyung Sik Park ),황재석 ( Jae Seok Hwang ),권중혁 ( Jung Hyeok Kwon ),강유나 ( Yu Na Kang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6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is a chronic cholestatic liver disease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fibrosis and destruction of intra- and extrahepatic bile ducts resulting in hepatic failure and death. Only the liver transplantation is the possible treatment for patients to survive. There has been a few reports that steroid is an effective treatment in autoimmune variant sclerosing cholangitis, which is thought to be a familial diseases with different etiology, and steroid responsive biliary strictures be named as immunoglobulin G4 (IgG4)-associated cholangitis (IAC). There is no reliable data regarding effective steroid treatment in autoimmue variant sclerosing cholangitis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32-year-old male with sclerosing cholangitis, who was diagnosed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liver biopsy, showing favorable response to prednisolone therapy.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402-406)

      • KCI등재후보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 형간염 보유자에서 간조직검사와 혈청 4 형 콜라겐치의 비교

        송명준(Myung Jun Song),김경곤(Kyoung Gon Kim),신요식(Yo Sig Shin),황남철(Nam Cheol Hwang),박상준(Sang Joon Park),김윤권(Yun Kwon Kim),김소연(So Yon Kim),김영중(Young Jung Kim),조민구(Min Koo Cho),이권전(Gwon Jun Lee)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목적 :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에서 조직학적인 판단을 할 때 경피적인 간생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생검은 침습적이며 검체 채취상의 오차 및 환자의 거부감에 따른 반복시행의 어려움이 있다. 최근 간 섬유화의 정도와 혈청 Ⅳ형 콜라겐치의 연관성이 있음이 알려짐에 따라 저자들은 간생검의 결과와 혈청 Ⅳ형 콜라겐치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조직소견을 예측하고 감별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인 증상이 없는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 31명의 전투경찰을 대상으로 간생검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은 병리학회에서 제안한 기준에 의거하였다. 간생검 당일 아침에 혈액을 채취한 후 Ⅳ형 콜라겐치 (정상치:5 ng/mL 이하)를 측정하여 조직소견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예의 대상환자 중 조직소견이 정상인 A군 13명 (41.9%), 섬유화는 없으면서 조직학적 이상이 있는 B군 11명 (35.5%), 섬유화가 있는 C군 7명 (22.6%)이었다. 혈청 Ⅳ형 콜라겐치는 A군에서 3.53±0.57 ng/mL, B군에서 3.56±1.17 ng/mL, C군에서 3.99±0.88 ng/mL이었고, 각 군간에 수치의 상승이 있었으나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p>0.05). 조직학적 이상이 보인 경우는 18명 (Group B and C)으로 평균 collagen수치는 3.73±1.06 ng/mL이었고, 섬유화가 없는 경우는 24명 (Group A and B)으로 평균 collagen수치는 3.55±0.88 ng/mL이었고, 각각 A군과 C군과 비교하여 유의성이 없었다 (p>0.05). 결론: 정상범위의 간기능검사치를 갖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의 경우 조직학적 변화를 알고자 할 때 조직학적인 변화에 따라 Ⅳ형 콜라겐치의 상승은 있으나 유의성이 없어 조직소견을 대변할 수는 없으며 간생검이 가장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된다. Background: We compared the results of liver biopsy and the levels of serum type Ⅳ collagen of the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iver function test (LFT)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serum type Ⅳ collagen in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histopathological findings. Methods: Thirty one chronic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FT and no significant clinical symptoms, who were Korean combat poli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histologic results of the liver biopsies. The classification followed the standard proposed by Korean Society of Pathology. Blood samplings for serum type Ⅳcollagen (reference : less than 5 ng/mL) were done in the morning of the same day of the liver biopsy. Results: Of thirty one patients, thirteen patients showed normal histologic findings (41.9%, Group A), eleven patients revealed histologic abnormalities without fibrosis (35.5%, Group B) and seven patients were with fibrosis on liver biopsy (22.6%, Group C). Serum type Ⅳ collagen levels of Group A, B and C were 3.53±0.57 ng/mL, 3.56±1.17 ng/mL and 3.97±0.88 ng/mL,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erum type Ⅳ collagen levels of Group C was higher than of Group B and the average of Group B higher than that of Group A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The averages of serum type Ⅳ collagen of eighteen patients with histologic abnormalities (Group B and C) and twenty four patients without fibrosis (Group A and B) were 3.73±1.06 ng/mL and 3.55±0.88 ng/mL respectively. Upon comparison of these averages with the those of Group A and C,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p>0.05). Conclusion: In chronic hepatitis B carriers with normal LFT findings, levels of serum type Ⅳ collagen were elevated along with histologic severitie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can not represent the changing degree of the histologic findings. Liver biopsy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accurate tool to assess the histologic status of the liver.(Korean J Med 63:29-35, 2002)

      • KCI등재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발생한 급성 간부전의 발생률과 위험인자

        전상훈 ( Sang Hoon Jeon ),박경식 ( Kyung Sik Park ),김영환 ( Young Hwan Kim ),신요식 ( Yo Sig Shin ),강민경 ( Min Kyoung Kang ),장병국 ( Byoung Kuk Jang ),정우진 ( Woo Jin Chung ),조광범 ( Kwang Bum Cho ),황재석 ( Jae Seok Hwan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3

        목적: 간동맥화학색전술은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종의 주요 치료방법이나 시술 후 급성 간부전의 발생이 드물지 않다. 그러나 급성 간부전에 대한 연구결과가 충분치 않고 다양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발생하는 급성 간부전의 발생률과 위험요인을 밝히는 것이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377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632예의 간동맥화학색전술을 후향 분석하였다. 간동맥 화학색전술에는 아드리아마이신과 리피오돌 혼합액과 gelfoam을 사용하였다. 간동맥화학색전술 시술 전후의 임상 양상, 검사실 소견, 방사선 소견을 후향으로 분석하여 급성 간부전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를 밝혔다. 결과: 632예의 간동맥 화학색전술 시술 후 2주 내에 76예(12.0%)에서 급성 간부전이 발생했다. 단변량분석에서 급성 간부전의 발생과 관련 있는 위험인자로는 Child-Pugh 등급, 첫 간동맥화학색전술, 총 빌리루빈수치, 종양이 생긴 구역의 갯수, 종양 크기, 우측간문맥혈전증이나 주문맥혈전증, 간구역 1, 5, 6, 7을 침범한 경우, modified UICC 병기, 항암제의 용량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혈청 총 빌리루빈 수치(p=0.001, Exp (β)=1.449), 우측 또는 주문맥혈전증의 존재(p=0.035, Exp (β)=2.109) (p=0.011, Exp (β)=4.067)가 급성 간부전을 유발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의미가 있었다. 결론: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급성 간부전의 발생률은 12%였고 급성 간부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는 혈청 총 빌리루빈수치, 우측 또는 주문맥혈전증이 있는 경우였다. Background/Aims: Although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is a major treatment modality for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is not rare. However, reports dealing with this important complication are not good enough and results are often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November 2004, six hundred and thirtytwo TACE sessions were performed in 377 patients (294 men and 83 women). Adriamycin mixed lipiodol solution and gelfoam were used for TACE. Various clinical and radiological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Results: Acute hepatic failure occurred in 76 (12.0%) of the 632 TACE sessions within 14 days.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Child-Pugh class, 1st TACE, total bilirubin level, number of involved segments, total size of tumor, presence of right portal vein thrombosis (PVT) or main PVT, involvement of segment 1, 5, 6, 7, modified UICC stage, and doses of chemotherapeutic ag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s with or without hepatic failure after TACE. Among them, elevated total bilirubin (p=0.001, E (β)=1.449), presence of right (p=0.035, E (β)=2.109) or main (p=0.011, E (β)=4.067) PVT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was 12.0%. Elevated bilirubin level and portal vein thrombosis could be considered as the predictive factors for acute hepatic failure after TACE in HCC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76-18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