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서류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비선형적 발생- 카타스트로프 모델링 분석 -

        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이준기 한국생물교육학회 2019 생물교육 Vol.47 No.2

        Many Amphibians are known to be the most vulnerabl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seriously endangered. However, Amphibian conservation action are not active, because it have received little positive public attention compared to other animal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ynamic emergence of positive emotion toward Amphibian by applying cusp-catastrophe mode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positive emotions for Amphibians will be generated discretely,non-linearly, and abruptl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non-linear effect of perception on aesthetic, ecological importance and familarity. Two hypothesized models were tested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non-linear arousal of positive emotion toward amphibians is related to interaction with perception on aesthetic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Amphibian (model A) or aesthetic and familarity of Amphibian (model B). Empirical data about perception and emotion towards Amphibian was collected from 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73 high school students. The fitness of each hypothesized model were tested by comparing with the fitness of linear model and logistic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the fitness of the model B containing aesthetic and familarity of Amphibian as control variable was higher than that of linear and logistic model. Given th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emergence of students’ positive emotion toward Amphibiansbased on aesthetic and familiarity could be better explained within nonlinear models.

      • KCI등재

        과학기술연구자들의 목적지향 동기기반추론 경험과 극복 전략

        신세인,이준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기술연구자들이 연구 과정 중 경험한 목적지향 동기기반추론 현상을 탐색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자신만의 전략은 무엇인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탐색 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에는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 총 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각 연구자와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연구 자료는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수행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결과 과학기술연구자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개방코딩과 축코딩한 결과, 동기기반추론 유발 요인, 동기기반추론 양상, 동기기반추론 예방 전략이라는 세 가지 대범주를 중심으로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동기기반추론의 유발 요인과 관련하여 ‘실패를용인하지 못하는 문화’, ‘선취권 경쟁’, ‘새로운 결과에 대한 압박’, ‘단편적인 이론 이해’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동기기반추론양상으로는 ‘입장 번복의 회피’, ‘원하는 데이터 얻기’, ‘조작과 조절 사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동기기반추론 예방 전략으로서 개인적 차원에서 ‘잠시 멈추기’, ‘의심하기’, ‘자기객관화’, ‘유의미함에 대한 강박 내려놓기’, ‘연구를 즐기는 태도’, ‘실패에서의 배움’, ‘모두 공유하기’, ‘조직화된 회의주의’, ‘타인의 의견에 귀 기울이기’라는 총 9개의 주제가 규명되었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기술연구자들의 동기기반추론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론 과학기술 연구자들은 연구 성과에 대한 사회적 압박과 기대 속에서 동기기반 추론 관련 경험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향된 해석을 경계하는 연구 문화나 상호비판 등의 협력적 연구 문화를 토대로 동기기반추론을 예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연구의 객관성 확보로 이어졌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패에 허용적이되 능동적으로 실패를 극복하는 과정을 장려하는 과학교육 문화조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 때부터 함께 협력적 탐구 중 ‘조직화된 회의(organized skepticism)’를 경험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예비 생물교사들의 ‘좋은 과학교과서’에 대한 가치지향 탐색 - 모의 과학교과서 선정위원회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

        신세인,박은주,하민수,이준기 한국생물교육학회 2018 생물교육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alue orientation on science textbook. In specific, we focused on perception on role of science textbook in science classroom and value orientation on ‘good science textbook. The data was gathered from 35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major in biology education using two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role of science textbook and ‘good science textbook’ after mock science textbook selection committee.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Our findings showed that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of science textbook were divided into major three types of roles; role for knowledge, class, and learners. And participants perceived good textbook as 1) interesting textbook, 2) textbook that help self-directed learning, 3) textbook that contains various educational evaluation, 4) textbook that reflects curriculum well, 5) textbook that helps students’ self-development, or 5) text book that have read-ability with neat desig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ision on textbook considering variety of teachers’ value orientation and perception on textbook.

      • KCI등재후보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의 탄생 : 인간유형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고찰

        신세인,이준기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3

        이 연구는 우리 사회 문화 안에서 암묵적으로 공유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게 된 기작과 이 개념이 우리 문화 안에서 넓고 견고하게 자리잡게 된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된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문과’와 ‘이과’라는 제도적 역사와 다양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과학철학자 Ian Hacking(2007)의 ‘만들어진 사람’과 ‘루핑 효과’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이라는 사람의 유형이 구성되는 맥락에 대해 해석했다. 셋째,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집단을 상호 구별짓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유형론적 사고와 본질주의적 인식(essentialism) 등 일부 사회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사이의 타자화와 혐오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문과와 이과를 양분해서 바라보는 한국의 교육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신세인,이준기,이고은,하민수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두 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학습동기 구인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96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1063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상관관계 분석의 두 가지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와 학년간 상호작용이 과학학습동기 차이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년에 따라 학습동기의 큰 차이를 보이는 반면,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우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학생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과학학습동기를 나타내었다. 과학학습동기의 다섯 가지 요소 간 상관관계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공업계고 학생들이 상당히 낮았다. 마지막으로 공업계 특성화고 2학년들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상관정도는 1학년학생들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96 high school students and 106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wo-way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chool type and gra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ce of students’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year,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r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compared to th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The correlations among five motivational factor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Lastly,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ien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at second year students in technical high school had less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the first year students. Give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educational strategy for enhanc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school students. We will discuss th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technical high school based on our findings.

      • KCI등재

        중등과학교사의 유튜버 경험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중심으로-

        신세인,이준기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6

        이 연구는 유튜브라는 공간에서 새롭게 교육활동을 하는 중등과학 교사들에 대한 질적사례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생활세계 혹은 현실공간의 규범과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상향이 반영되어 사적 자유나 일탈을 가능케 해주는 공간을 의미하는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 사례를 해석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최근 자발적으로 유튜브 플랫폼에 개인 채널을 개설하고, 과학 학습 관련 영상을 활발하게 올리는 현직 중등과학교사 5인이 참여했다. 5인의 중등과학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개별적으로 반구조적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한 해석을 위하여 참여자 들이 제작한 영상 콘텐츠, 이들이 직접 제작한 교사연수자료 및 교수 학습자료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만의 고유한 교육활동에 대한 갈망’, ‘확장된 교실 공간으로서의 유튜브’, ‘교실의 장벽 너머로확장된 관계망’, ‘인정욕구의 충족과 유튜버로서의 정체성 경험’, ‘전통적 교육공간과 유튜브 공간 사이의 긴장’ ‘장인으로 거듭나기’, ‘교사-유튜버로서 자신만의 방향 찾기’라는 크게 일곱 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중등학교와 교실 안에서 한정되던 중등과학교사의 정체성과 욕구가 유튜브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확장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튜브는 과학교사들이 자신들만의 이상을 실현하고 즐거움을 느껴 볼 수 있는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서의 행동을 일상 공간 속의 규범과 잣대로만 규제하는 것은 오히려 이들의 건전한 정체성 형성과 성장을 가로막는 일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미지 탐색

        신세인,하민수,이준기,Shin, Sein,Ha, Minsu,Lee, Jun-Ki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2

        The current study explores students' view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rough analyses of their drawings and perception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1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result,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students' view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onstructed into two distinct dimensions: form and relationship. The form dimension, students' view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ategorized into human, household goods, machine, smart computer, electronic chip/algorithm, or the hybridized form related to the game of go such as AlphaGo.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 students' view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ategorized into servants, friends or enemy. Given the combination of two dimensions, the current study found two noted patterns. The first, students who viewed artificial intelligence as human form perceive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friend or an enemy. However, those who viewed artificial intelligence as non-human form perceive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ervant or an enemy.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ra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2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 play a core role in formation of their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should build sound values of care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o that our society can retain the human resources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job and values of career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cally, we first collected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careers and the reasons of the career choice using survey method. Then, we structuralize semantic network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their preferred career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characters of networks that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showed based on the structure matrix indic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creat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career.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re diverse values of career than general students. Thir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self-realization such as displaying capability as a core value of career in STEM and medical science whereas general students considered the community service as a core value of the care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s. The structure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s can be used for teachers to counsel their students about students’ future careers.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