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간의 확장세(擴張勢)로서 가변적 형태에 의한 공간형성의 유의미성

        신석규 ( Seok Kyu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만물(萬物)은 무한한 공간의 장(場)속에 존재한다. 사물이 존재하는 이유는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공간은 존재를 증명하는 기본적 개념으로 인식과 해석에서 정형성의 관점을 빗겨간다. 본 연구는 시공간의 지각적 무브망을 기초로 하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가변적 형태에 의한 공간형성의 유의미성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 가변적 형태들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해석적 측면을 제시할 것이다. 공간의 확장세는 실(實-실질, 채움), 허(虛-텅 빈, 비움), 장(場-소통의 장, 바탕)으로 분류하여 설명했으며 가변적 형태변화는 본질적 대상, 즉 단일체의 확장에 의한 것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상태, 또는 처음의 그 상태로서 원래의 대상물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변적 형태변화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는 표현의 유형으로 중첩, 동세, 투영, 투시, 입체, 배치로 각각의 개념을 정립하여 사례를 통해 검증했다. 형태에 의한 공간 형성이 조형성만을 고려한 평면적인 이미지와 상반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는 가변적인 형태 변화에 있으며 공간적 태도에 의한 공간적 형세를 나타낸다. 형태는 공간을 허(虛,)의 공간에서 실(實)의 공간으로 확장시키며 공간은 형태의 존재를 각인시킨다. 형태와 공간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으며 보편성, 균일성, 객관성을 갖추지 않는 ``공리적 태도(公理的 態度)``를 보인다. 가변적 형태 변화에 의한 공간형성을 추구한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된 흐름을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시각적 정체성으로 전환시켰다. Everything exists in a chapter of the infinite space. The reason of an existence of an object is an existence of the space. The space as a basic concept to prove an existence to veers away from formal perspectives in th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tries to clarify based on perceptual movements of space and time the meaningfulness of a space formation by changeable forms in the identity design. It also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variable forms applied in various manners and tries to present analytical aspects. An expansion of a space is explained as a "fullness" (reality, fill), "voidness" (empty, emptiness) and "field" (place for communication, base) respectively and an alteration of variable forms is caused by essential objects, namely an expansion of the unity means a state which can not be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or refers to the original object as the first of its state. Depending on variable forms, as to form spaces; overlap, movement, projection, perspective, 3D and layout are established and verified with cases. A logical basis for that a formation of a space by forms can differ from a flat image where only the plasticity is considered as a most important is related to alteration of variable forms and can be represented as a spatial state according to a spatial attitude. A form extends a space of voidness to a space of fullness, and the space imprints an existence of the form.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a form and a space shows utilitarian attitudes are not equipped with universality, uniformity, and objectivity. An identity system seeks variable morphological changes transformed the changed flow of visual communication in as the new user-centric visual identity in the digital media era.

      • KCI등재
      • KCI등재

        탈중심화 아이덴티티의 해체적 해석과 함수식

        신석규 ( Seok Kyu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탈중심화 관점에 기반하여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탈중심화 아이덴티티로 명명하고 해체적 관점으로 해석한 함수식을 개발하였다. 탈중심화는 해체적 관점으로서 본 연구의 중요한 개념이다. 탈중심화 아이덴티티는 형식적, 내용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와 메시지를 담아내는 유동적이며 가변적인 형식을 갖는다. 이는 단일체계 아이덴티티와는 내용과 형식의 상이성을 드러내는데 이를 해석하고 함수식으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탈중심화 아이덴티티는 가변성, 시간과 공간, 움직임으로 구분하고 하위체계를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형태의 가변성으로 ‘차연적 움직임’, ‘비대칭적 무정형’, ‘반복적 분열’로 보았다. 두 번째는 시간과 공간의 확장이다. ‘시간의 흔적’, ‘여백으로서의 공간’, ‘그리드의 이탈’로 분류했다. 세 번째는 결합구조의 움직임이다. ‘산종적 분화’, ‘보충적 복합’, ‘다의적 암시’로 정리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미디어가 교차하고 공존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어플리케이션 환경은 미디어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응하는 시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탈중심화 관점은 이를 수용 가능한 상태의 시각 환경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정체성을 명확하게 밝히는 동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탈중심화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새로운 환경으로 재편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대응하고 선도하는 유용한 시스템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될것이다. In this study, I named identity design, which is emerging in the digital media era, as decentralization identity based on the viewpoint of decentralization, and developed a functional formula by interpreting it from the deconstructive viewpoint. Decentralization identity is not something static in terms of its form and contents, but has a flexible and variable form which contains new meanings and messages. It shows difference from the single-structure identity in its form and contents, and I would like to propose a method by analyzing it using functional formula. I sub-categorized the decentralization identity into variability, time and space, and movement. The first one is variability of forms, and I regarded it as ‘different movement’, ‘asymmetric amorphous’ and ‘repetitive fractal’. The second one is expansion of time and space. I categorized it into ‘trace of time’, ‘infinity as a margin’, and ‘separation of grid’. The third one is movement of combination structure. I arranged it with ‘disseminative eruption’, ‘supplementary compound’ and ‘poly-semantic suggestio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identity design, where analogue and digital media are intermingled and coexist, needs a visual system which responds to diverse and complicated media. Decentralization may provide with a visual environment with an acceptable condition, and it will produce a live visual image as a well-organized system which shows clear identity. Therefore, the decentralization identity system will be a high level strategy of communication design as a useful system for environment change by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new digital media.

      • KCI등재

        시공간 지각 단서에 의한 단일체(單一體)의 가변적 형태 변화

        신석규(Seok Kyu Shin),장욱선(Uk Sun Ch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현상은 시간의 흐름과 무한한 공간의 틀 속에서 운행한다. 사물의 변화를 느끼게 되는 것은 시간과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은 존재를 증명하는 기본적 개념으로 인식의 태도는 고정된 정형성의 관점을 벗어난다. 본 연구는 시공간 지각 단서를 기초로 하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시스템 운용 체계를 중심으로 심볼마크가 상징하고 있는 정체성의 근원을 밝힘으로써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 단일체의 가변적 형태들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시공간 지각 단서는 선행연구인 "2차원의 평면에서 작용하는 시공간의 지각적 무브망"에서 제시한 시간의 연속체-류, 수, 질, 공간의 확장세-실, 허, 장, 시공복합체의 유기-합, 초, 재로 구분한 분류 체계를 근간으로 설명했으며, 단일체의 가변적 형태변화는 본질적 대상, 즉 단일체의 확장에 의한 것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상태, 또는 처음의 그 상태로서 원래의 대상물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변적 형태변화에 대한 분류와 설명을 위해 압축, 변이, 파생의 세 가지 대분류를 전제하고 각각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단일체의 응용방법에 따라 조형적, 역동적, 조직적인 부분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체계성을 확보했다. 단일체의 가변적 형태 변화는 첫째, 결합과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핵심만을 나타내게 되는 방식으로 설명되는 조형적 형태압축, 둘째, 하나의 단일체가 변화해 가는 일련의 과정 및 변화된 형태의 역동적 형태변이, 셋째, 추가적인 개념이나 시각적 형태가 부가되거나 결합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형태가 나타나는 조직적 형태파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시공간 지각 단서에 의해 지각되는 심볼들이 단순성과 조형성만을 고려한 평면적인 심볼들과 시각이미지의 지각과 인지에서 상반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는 단일체의 가변적인 형태 변화에 있으며 이는 시지각의 차원에서 더 역동적이고 진취적인 유기체로서의 생동감있는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단일체의 가변적 형태 변화를 추구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은 다변화하는 뉴 미디어 시대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된 흐름을 주도하는 새로운 시각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상징의 근원적 체계화, 시스템의 창조적 확장성과 미디어에 대응한 운용체계로 인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고도의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미래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가치를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발 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ll existing objects run within a frame of flowing time and infinite space. Changes in objects are sensed due to the existence of time and space. Space and time are the basic concepts that prove existence, and the manner of awareness breaks away from fixed and formulated perception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iversely applied variable forms of monolithic objects by discovering the source of the identity symbolized by symbol marks, based on space time perception clues and centered around design systems` operating systems. Space time perception clues wer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continuum of time - stream, numbers, origin, expansion of space-fullness, voidness, field, Organism of Time & Space agglomeration-convergence, transcendental, existence` classification system as proposed in the precedent study, "Perceptional Mouvement of Time and Space Act on Two-Dimensional Plane". Monolithic object variable form change i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fundamental object, the monolithic object, and means the designation of the original object as the condition that allows it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or its original condition. To classify and explain such variable form change, 3 large classification of Compression, Variation, and Derivation were assumed, and each concept was reestablished. Also, the single bodies were classified into formative, dynamic, or systematic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in order to secure the study`s systemicity. Monolithic object variable form change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three ways: 1. Formative form compression, explained by the method of only the cores being revealed following a process of fusion and integration 2. A series of monolithic object change processes and the dynamic form variations the changed form undergoes 3. Systematic form derivation in which a new form emerges as a result of additional concepts and visual forms being added or fusion processes. The flat symbols that only take into account the simplicity and formativeness of symbols perceived by space time perception clues, and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conflict with visual image perception and recognition, are in monolithic object variable form change. This is an organism that is more dynamic and progressive compared to that in a dimension of visual perception, and can deliver life-like images.

      • KCI등재

        무브먼트 지각작용의 개념적 근원에 대한 중심단서와 시각화 유형

        신석규(Seok Kyu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21세기 사회, 문화적 환경은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시각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이미지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심벌마크의 흐름이 과거에는 조형적 단순화 경향이었다면 컴퓨터가 등장한 최근에는 디지털 이미지를 중심으로 재편되어 아날로그 시대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표현 방법들이 제시되어 다양한 시각화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의 일반적인 유형인 단일형의 체계는 다변화, 다각화되어가는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역동적이고 진취적인 미래지향 이미지를 창출하기에는 시대성 결여라는 문제에 직면한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이미지는 변천을 거듭했다. 사회가 발달하는 것은 새로운 것들이 발견되고 창조되어 질적인 성장을 통해 인간의 지적 능력도 향상되어 가기 때문이다. 인간의 지적능력은 진화하고 있다. 이는 아날로그적 단일형 체계에서 무브먼트를 활용한 가변적 시각화를 이룬 진전된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시대적 관점에 부응하여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무브먼트 지각작용에 대한 세 가지 분류 유형으로 개념적 근원, 상징적 동기화, 시각적 확장으로 체계화 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유형에서 개념적 근원에 대한 중심단서를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시각화 유형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무브먼트 지각작용에 대한 개념을 기반하는 가변적 시각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사례들은 일반적으로 등장하는 단일형의 체계가 아니라 가변형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관점에서 살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한정적이어서 정량적으로 분석하기가 어렵다. 연구 내용을 증명할 소수의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거나 학생들의 실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지었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무브먼트 지각작용을 유도하는 개념적 근원을 관념성과 반 물질성으로 구분했다. 첫째, 관념성은 정형성을 탈피한 선도적 디자인으로서 탈 정형화의 범위에서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해체된 관념은 의미가 상식적이거나 보편적인 기준을 거부하고 다양하고 새로운 창조적 의미의 해석을 요구한다. 관념성에서 사물을 은유한 심벌들은 단일형의 조형성에 집착한 심벌들과 상대적 차이를 나타내며 유연한 응용 시스템으로 확장된다. 여러 가지 의미를 복합한 이미지는 단일체 성격이 아닌 시각적인 해체의 현상과 개념의 확장을 통해 현상적으로 초월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반 물질성은 복잡하고 불규칙하며 무질서해 보이는 비선형에 질서가 내재되어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다변화하는 디자인으로 표현된다. 최근 디지털 미디어로 인해 가상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의 출현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으며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실재하지 않는 심벌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공감각은 현실적 인식이 아니라 잠재되어 있는 감각 능력이 외적 대상들에 의해 촉발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무의식적 경험을 통해 감각의 시각화를 통한 공감각적 심벌들을 표현 가능케 하고 있다.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a has brought many changes, and especially improved the quality of the image in the field of visual communication. Symbol in the design of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formative simplification in the past to the digital image with the advent of the computer in recent years, and show various types of visualization in a manner which were not possible to be presented in the analog era. Monolithic system in an identity system is faced with the problem of absence of the zeitgeist to create dynamic and enterprising future-oriented images in the digital information age where diversification plays a major role. Regardless of the times image has been changed. The reason of social development is that something new has been discovered and created, and the human intellect has been improved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Therefore, for monolithic system it is now necessary to change from an identity system to the identity system using movements. In response to these historical perspectives, movements through of previous studies are to be determined as three types of perception conceptual origins, symbolic synchronization and visual extension. The central cue of conceptual origins as the first of three types is to be clarified, interpreted and suggested with cases of visualization types. The ideality as a design escaped the uniformity has own reason for its existence in a range of the non-uniformity. Dissolved senses reject common or universal criteria and demand diversified and new creative interpretation. Idealities show relative difference of symbols metaphor objects to single-type ones and will be extended to flexible application system, an image which possess multiple meanings represents an image of transcendence by means of a phenomenon of the visual dissolution and an extension of the concept rather than a monolithic character. Anti-Materiality is in complex, irregular and non-linear format where an order is inherent and represented by designs which are diversified by digital media. Recently digital media bring the visuality, their appearance blur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e, as well as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plica. Furthermore a synesthesia is a sensibility which remains not as a reality but as a potential, and comes to the front as a visualization of senses through an unconscious experience triggered by an external object.

      • KCI등재

        아이코노그래피 차원의 미니멀리즘 경향과 해체적 실험성 표현 유형 연구

        신석규 ( Shin Seok-kyu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21세기 사회, 문화적 환경은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함께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이미지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심볼마크의 흐름은 과거에는 조형적 단순화 경향을 보이며, 컴퓨터가 등장한 최근에는 디지털 이미지를 비롯한 아날로그 시대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다양한 표현의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자유분방한 선과 형태로 구성된 포스트모던적 경향과 탈의미, 탈형태, 탈구조로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경향의 실험적 심볼마크가 보편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두 가지 경향에서 한 축은 예술적인 기교나 각색을 최소화하고 사물의 근본 즉 본질만을 표현했을 때, 진정한 리얼리티가 달성된다는 미니멀리즘이며, 사물과 현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는 해체주의적 실험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각각 상반되는 형식을 개념화하고 사례들을 분류하여 체계화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심볼마크 조형성 분류체계는 미니멀리즘 경향에서 절대형(形)의 순수성, 단일체의 변화, 동일형(形)의 반복, 사물의 본질적 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해체적 실험성은 탈의미(post-signifiante), 탈형태(post-form), 탈구조(post-structure)로 구분하고 각각 세 가지의 세부 하위체계를 두어 보다 면밀한 체계를 수립하였다. 분류체계의 각 항목은 미니멀리즘의 조형성과 데리다의 해체주의 구성 원리에 연구자의 견해를 접목한 부가적 의미를 더하여 개념을 정립했다. 분석의 툴은 포지셔닝 맵과 척도법을 응용한 `pie positioning map`을 통하여 국·내외에 발표된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류를 체계화했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통해 미니멀리즘 경향의 심볼마크는 함축성과 상징성을 위해 단순화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에 대응적 개념으로서 실험적인 해체적 심볼들은 형식적 틀을 거부하는 표현의 다양성을 보여주며 현실적으로 커뮤니케이션되는 과정에서 본질의 왜곡이 아니라 의미 해석의 확장과 형태의 유희를 보여주고 있음을 파악했다. 심볼마크는 어떤 대상을 지칭하더라도 본질적인 생명력을 지니며 전달하고자 하는 수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되고 인식의 과정에서 의미 해석에 자율적 기반을 제시하고 해석의 유희를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미니멀리즘적 단순화와 해체적 실험성의 개념과 분류체계가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창조적 방법론으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the cultural environment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ums brought upon great change and ameliorated the quality of images in visual communication. The symbol of identity design in the past showed a tendency to be simplified in terms of form. However,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ums, various symbols of expressions appear especially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a deconstructive form, representing a free use of lines and forms to express a post signifiante, post-form, and post-structural type of expression. The two types of tendencies minimizes the artistic techniques and dramatization of the artistic expression, and expresses only the bare necessities as the essence of an object, and realizes true reality through this type of minimalism and provides a new perspective with a experimental yet deconstructive method. As a result, each corresponding form becomes conceptualized, and each classification becomes increasingly structured. The symbol of identity design can be classified by the minimalistic tendencies of the pure expression of absolute form, the expression of the essentials, the repetition of forms of identity, and the expression of what substantiates form. The deconstructive experimentation can be hierarchically classified into post-signifiante forms, post-form, and post structures, which births a more elaborate and intricate classification system. Each level of classification integrates the form of minimalism and the Derrida deconstructive composition principles,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 to establish meaning and concept. The tools us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symbols express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y type are the pie positioning maps, along with the positioning maps that implement an indexed and gauged standard. Through this type of systematic classification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the symbols expressed with the tendencies of minimalism needto be simplifi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expression and symbolism, while at the same time, as a corresponding concept, an experimental deconstructive symbol must reveal an affinity to reject conventional framework to reveal a variety of expressions while realistically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expansion of analysis and meaning,and the freedom of form, not the distortion of the essence of what is to be expressed. Whatever the symbol may be designated to express, the symbol must retain essential vitality, and must be efficiently expressed to the desired recipient, while providing a platform for liberal analysis during the processes of achieving expression of the form in question. In conclusion, the minimalistic simplification, the concept of deconstructive experimentation, and hierarchic classification can recapitulate a creative methodology of identity systems that correspond to the digital age of today.

      • KCI등재

        시각기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진화론적 형태변이 논의

        신석규(Seok Kyu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인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신체 행위를 통한 전달에서 신호, 부호, 각종 기호들의 사용, 그리고 문자까지의 발달은 수 십 만년에 걸친 인류 진화의 역사와 함께한다. 동굴의 벽화에서 보이는 동물의 형태나 기호들은 인류의 본능적 욕구를 충족하고 소통하기 위한 기원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인간은 사물의 형태에 심리적 중요성 내지는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상징은 사물 본래의 형태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기호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전달하고 소통하고자 했다. 이때 인간의 감정과 관념을 연결시키는 매개체로써 기호를 사용한다. 기업은 고객과의 연결 매개체로 기업문화의 이미지를 활용하게 되는데 이때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중심인 심볼마크가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범위를 심볼마크로 한정하여 시각 예술사의 사실주의, 슈프레마티슴, 미니멀리즘 등의 미학 이론에 입각한 진화적 관점을 이해하고 분석도구인 `Symbol Mark Evolution Classification Structure`를 개발하여 분석을 위한 토대를 세웠다. 연구 분석의 기준으로 구체형(形)의 조형성에서 사실(Correct)적 기반, 설명(Description)적 진화, 정교(Precision)화 보완으로 구분하였으며, 추상형(形)의 조형성은 다의적(Polysemy)함축, 양식(Modality)적 변천, 절대(Absoluteness)성 유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심볼마크의 표현은 시대적 변천에 따라 그원적 본질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일관성있는 변화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이 나타났다.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초기의 원형에 가까운 이미지가 시대적 변화에 맞게 조형적 단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원래의 본질적 개념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추상적인 형태에서는 초기 개발 단계의 추상적 근본은 유지하면서 조형적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볼마크가 구체형(形)이든 추상형(形)이든 기업이나 브랜드의 본질을 유지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명확한 메시지를 담아 시대환경에 적응하는 경쟁력 있는 이미지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From body language, signs, symbols, and other different marks to the development of texts and writing, the history of human communication goes hand in hand with human evolution transcending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Animal-like figures and marks in mural paintings are interpreted as an origin of human desire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o as you see, humans have always been trying to give psychological importance or meanings to objects using symbols or signs. Symbols are made to convey and communicate human emotions through their original formation as well as their physical signs. At this point, signs are used as a medium that connects human emotions and ideas. Corporations utilize the image of corporate culture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m with their customers, and at this point the emblem of the corporation, which is the core design of corporation identity, plays an essential part.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ymbol mark or emblem, and I attempted to base the study on different aesthetics theories like realism, suprematism, and minimalism of visual art history in order to understand evolutionary viewpoint. Furthermore, I developed an analyzing tool `Symbol Mark Evolution Classification Structure` to set a foundation, and from the standard of analysis, concreteness is systemized to correct foundation, descriptive evolution, precise complement. Abstractness, on the other hand, is systemized to Polysemous implication, modality transition, and absoluteness maintenance. As a result, in designing corporation identity, an emblem or symbol mark needs consistent changes and continuous maintenance. In terms of concreteness, the initial image remained its original concept while simplifying in formation according to periodical changes. In terms of abstractness, it developed to enhance formational degree of completeness while keeping its initial abstract fundamentals. Whether the symbol mark is concrete or abstract, corporations should remain the essence of their brands, convey a precise message, and adapt to current social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grow with competitive image.

      • 글로벌 브랜드의 상징적 동기화에 의한 리뉴얼의 일관성 연구

        신석규(Shin, Seok Kyu)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2 No.-

        다변화하는 시대적 환경에 부응한 이미지의 존재는 기업이나 브랜드의 개성을 표출하고 나아가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고전이라 할 것이다. 기업은 브랜드를 가지고 시장에 진출하여 불특정 다수 또는 핵심 고객들에게 각인시켜 이미지를 고취하고자 한다. 브랜드는 시대적 조류와 함께 그 시대를 대변하는 이미지로서 첨병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브랜드는 유기적 생물체와 같은 변화의 모습을 언제나 보여 줄 수 있어야 한다. 아커 (David A. Aaker) 는 "Building Strong Brands: What is a strong brand?11 에서 Product, Organization, Person, Symbol의 관점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브랜드가 사회 환경, 제품, 조직, 공유된 시각 등을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음을 대변한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글로벌 브랜드의 태생적 동기화와 변화의 일관성 즉 리뉴얼의 단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글로벌 브랜드에 나타난 리뉴얼의 일관성은 첫째, 브랜드 생성단계의 이념과 철학을 유지한 리뉴얼을 브랜드 모태의 전개로 보았고 둘째, 브랜드가 지닌 전략적 중요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핵심 아이덴티티의 유지 셋째, 시대적 흐름을 시각적으로 반영하는 시각적 단순화의 3단계 분류체계를 세우고 각각의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브랜드에서 일관성은 본질의 상징이어야 하며 본질에 대한 표현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글로벌 브랜드의 시각화 리뉴얼의 역사를 살펴보면 이념과 철학이든 핵심 아이덴티티나 시각적 단순화의 사례이든 공통된 특징은 일관성을 갖고 있는 브랜드가 명맥을 유지하며 성공 브랜드로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브랜드 본래의 목표를 상실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켜 나가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브랜드의 일관된 리뉴얼 시스템은 브랜드 전략의 관점에서 핵심 컨셉을 유지하면서 시대성을 반영하는 리더 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하게 되며 다변화하는 사회 환경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보다 안정적인 신뢰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제품, 서비스 등을 보증하는 세부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Images often change to meet the diversifying periodical changes. It is typical to see corporations and brands to utilize their images as a strategic means in order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s well as their identity. A corporation bring its brand name to enter the market, in m attempt to imprint it in general or core customers" minds and stir up the image. Brand names, on a wave of current trends, plays a role of guarding point image to represent that certain time period. Therefore, brands should be able to show the changes like organic creatures at all times. David A. Aaker, in his book "Building Strong Brands: What is a strong braid?" introduces brand identity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 organization, person, and symbol. This explains that a brand extensively covers social environment, product, organization, md the time shared. From this point of view, I intended to consider the global braid"s source of motivation aid the consistency of change, that is, steps of renewal. The consistency of renewal shown in global braid can be illustrat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renewal that remained the brand"s concept aid philosophy is considered the brand"s original development. Second, the brand identity should remain based on its core strategic elements. Third, 3-step classification system of visual simplification which visually reflects the periodical changes should be designed. I analyzed different instances upon these preconditions. When we talk of a brand, its consistency should symbolize and express the brand"s essence. If we look back at the history of different multi-national global brands" visual renewal, the common characteristic is that they has a consistency, whether it is the concept, philosophy, core identity, or visual simplification. This means that they do not lo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ir brand aid show consistency ui the long term. So in terms of a brand"s marketing strategy, the consistent renewal system helps remain its core concept and position itself as a leading brand reflecting periodical changes. This leads a brand to be more trusted by general customers in diversifying social environment, aid further guarantees the quality aid service of the products.

      • KCI등재

        브랜드 계층구조(Brand Hierarchy)의 체계성과 운용 방안에 대한 연구

        신석규(Seok Kyu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창조적 지식 산업이 21세기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고 창의적 사고가 개인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 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창의적 지식기반 시대로 진입했다.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창의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등장은 새로운 개념의 경쟁력있는 브랜드를 필요로 하고 있다. 과거 기업 중심의 환경에서는 단일 제품이 장기간 시장에 존재하며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배했다면 현재는 다양한 제품들이 짧은 수명주기를 지니며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짧은 수명주기를 지닌 제품들이 어떻게 하면 장기적으로 생존하며 소비자의 기억 속에 자리 잡을 수 있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은 모든 기업의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기업의 무차별적 공격의 대상이던 소비자는 이미 많은 지식 습득과 교육수준의 향상 그리고 다량의 정보를 통해 기업과 제품을 전문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네트워크화 된 정보의 시대는 많은 정보를 무차별, 무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삶의 형태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보다 개성적인 가치관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기준이 복잡해지고 구매패턴이나 선호 이미지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브랜드와 브랜드 구조에 대한 전략적 운용 방안의 체계성은 시대변화와 소비자 의식 수준에 맞추기 위한 노력은 미흡하다. 브랜드가 단순히 상품에 조형적, 심미적, 광고적으로만 붙여지는 이름이 아니다. 기업의 본질과 기업의 문화, 철학, 경영전략, 이미지 등이 존재하고 브랜드가 지니는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 본질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계층구조의 체계성에 따른 운용방법을 다루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브랜드 관련 문헌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토대와 운용방안 구축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범위는 브랜드 전략이 체계적으로 구축된 기업의 브랜드 운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했는데 인터브랜드에서 발표한 2010년 세계 100대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본 연구의 운용방안에 적합한 사례를 대입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기업과 브랜드, 브랜드와 브랜드간의 관계성과 역할을 고려한 전략적, 전술적 차원의 운용은 기업이나 브랜드들의 성격에 따라 가변적일 수밖에 없지만 공통적 체계성은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브랜드는 역할이 존재한다. 이것이 브랜드 계층구조이다. 다변화하는 시장 경쟁 체제하에서 다수의 브랜드 출현은 불가피하다. 다양해진 브랜드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브랜드 계층구조의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의 출현이 소비자 중심의 개성화(Personality)를 뚜렷하게 하고 기호성향을 다양화시켜 브랜드도 이에 대응하는 전략적 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분화된 소비자와 다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기업의 전략에 적합한 브랜드 표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계층별 브랜드가 갖는 속성은 다소 다르게 나타나지만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획 단계에서부터 전략에 입각한 브랜드를 창출하여야 할 것이다. Creative knowledge industry is the sourc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While in the past enterprise-centered environment a singular product existed in market for a long time, various products with short life span nowadays are appearing and disappearing repeatedly. Consumers evaluate enterprises and products like experts due to high education. As society becomes rich, personal development is promoted. Life style has been changed for convenience. Moreover, as computer transformed analog age to digital one, society and personal lives are changed a lot. This change of market and customer has made the standards for selection of a product complicated and purchase pattern greatly various. Brand may not be a name just for modeling, aesthetic appreciation and advertisement of a product. We should consider identity of brand including enterprise, enterprise`s culture and philosophy, business strategies, enterprise`s image, etc. I would like to devise more effective plans for brand expression, the center of brand package, and strategies for operation of it including answer about what brand is. Brand performs roles to differentiate certain product from other ones, help it recognized and inform customers of it. However, I doubt how many brands are operated under strategic means and tactical method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 and brand. Each brand has its own role. This is the brand Hierarchy. Proper brand expression for enterprise`s strategies for product must be composed through exact analysis on customers and thorough preparation about market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brand based on strategies from the planning stage must be created because properties of brands in each hierarchy are a little bit different but they have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customers are living in a world that is overcrowded with brands because various brands for many products appear due to increase of importance of brand. This gives customers wide selection for product for their pleasure, but makes it difficult to bring exact decision of purchase due to heavy confusion. Moreover, enterprise may be stressful about the excessive expenses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ingular brand and for marketing activities for customer communications. Therefore, in this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would like to give customers convenient product search and brand selection by presentation of operational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hierarchy on the base of wide understanding about brand and present enterprise effective methods for operation of brand hierarchy for reduction of huge expens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brand an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brand through construction of bran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