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물화(物化)되는 인격적 주체성의 복원을 중심으로 ―

        신권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In This article, I try to study legal structure of involuntary admission in Mental Health Act and show that the present involuntary admission system which is made of family and mental hospital's making-decision power make the mentally ill reification. Human dignity and Personal liberty clarifies that natural person is not the object of contract. But the mentally ill are living in the real world as only human biological life which have not legal capacity. Involuntary admission deprive the mentally ill of not only personal liberty but also the legal capacity to make a self-decision. In Korea, involuntary admission is mainly made by the family who have a duty of supporting the mentally ill. The procedure of involuntary admission by the family supporting the mentally ill is composed of admission agreement of two family members who have a duty of supporting the mentally ill and the one psychiatrist's medical certificate which propose the mentally ill need admission or have a dangerousness of harm to self or others. Involuntary admission by the family supporting the mentally ill can be continued for six month and is renewable every six months without limit period. Recently, Emergency transportation organizations act as a broker to connect the family and the mental hospital by working on piece. They have a list of thousands of mentally ill patient and mental hospital managers pay for the illegal transportation of the mentally ill. Mental hospital's profit is related to the numbers of inpatients. In this context of involuntary admission the body of the mentally ill become objective of profit and his personal Subject is vanishing. To defend this reification of the mentally ill, the mental health act let them to give a legal capacity, respect and restore their personal Subject. 인간의 존엄과 신체의 자유는 인간 자체는 어떠한 계약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요구한다. 그러나 21세기의 한국에서 당위적으로는 용납되지 않는 일이지만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신체를 이윤의 목적으로 거래하는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정신질환자가 대상화(對象化)되고 물화(物化)되는 이유는 현재의 강제입원제도에서 비롯된다. 2014년 5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정신보건법 제24조에 의한 강제입원(보호입원)에 대해 그 목적의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그 수단과 방법이 적합하지 않고, 절차에 있어서도 대상자를 객체화시키고 있으며, 법익균형성에도 어긋나 헌법위반의 의심이 있다며 위헌심판제청을 하였다. 현재 위 강제입원 조항은 위헌심판 계류 중에 있다. 강제입원의 절차나 규정에 관한 위헌여부도 중요한 문제라 할 것이지만 그것에 선행하여 강제입원이 가지는 법적 성격과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우리 강제입원제도 및 주요국의 강제입원제도의 역사와 내용을 간단히 살펴본 후 현행 정신보건법의 보호입원제도가 가진 법적 성격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제도적 개선의 방향을 고찰한다. 입원과 치료를 거부하는 환자에 대해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상위의 심급기관은 없을 수 있다. 그 이유는 그 치료거부로 인한 위험은 환자 스스로 감수하겠다는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가가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한계는 그가 자신의 의사결정능력을 완전하게 확보하도록 하는 목적과 한도 내에서 만이다. 그것이 물화(物化)되어가는 정신질환자의 인격적 주체성을 존중하고, 복원하는 것이다.

      • KCI등재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신권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2

        Recently, civil and criminal suits involved in illegal involuntary admission are increasing though involuntary admission should be based on civil commitment law. These days, more and more the mentally ill who are hospitalized involuntarily file a civil or criminal suit against family who consent to admission or director of mental hospital for violation of Mental Health Act. Illegal admission suit is different from malpractice suit. malpractice suit is about doctor’s professional negligence or medical malpractice, but illegal admission suit is about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dignity and Mental Health Act. In 2016,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o suspend the Article 24 in Mental Health Act which provides that nearest relatives have right to consent of the mentally ill’s admission on account of its unconstitutionality. The revised Mental Health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in May last year. The revised Mental Act provides that nearest relatives have right to apply for the mentally ill’s admission for two weeks and director of mental hospital decide to hospitalize. Unlike western european countries, Korean Mental Health Act does not have the involuntary admission review body which is composed of judge or legal tribunal. In Korean Mental Health Act, the review body of involuntary admission is the medical review board and the board reviews a written documents without the attendance of the mentally ill. The mentally ill who is hospitalized without his or her consent in fact don’t have right to be heard. A civil suit by the mentally ill who insist on human rights abuses and breach of the Mental Health Act in mental hospital is increasing, This article analyzes the judicial decision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the Supreme Court and lower court about the illegality of involuntary admission. Illegal involuntary admission infringe on the mentally ill’s dignity and fundamental right in constitutional law and the mentally ill is entitled to compensation for pain, suffering and losing social relation. 강제입원은 법에 근거한 적법한 절차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위법한 강제입원으로 인한 민ㆍ형사상 법적 책임을 묻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제입원의 위법으로 인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는 환자가 계약의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계약책임으로 구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통상의 의료과오소송에서 나타나는 의료적 과실보다는 법령이 정한 강제입원절차를 준수하였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다. 아울러, 위법한 강제입원은 형사상 감금죄나 정신보건법위반죄로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불법성이 자연스럽게 인정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의료과오소송과는 차이점이 있다. 2016년 9월에는 헌법재판소가 가족에 의한 강제입원의 근거가 되는 구 정신보건법 제24조를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을 하고, 국회도 2016년 5월 구 정신보건법을 전면개정하여 2017년 5월 30일부터 개선된 강제입원제도를 시행하면서 강제입원의 절차적 위법성 문제에 대한 통일적 해석이 필요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변화를 감안하여 과거 강제입원의 위법성이 쟁점이 된 법원의 판결례를 통하여 그 법적 쟁점과 해석의 원칙을 분석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 강제입원제도의 법적 구조를 분석하여 책임의 근거와 주체를 검토해 보고, 후반부에서는 강제입원으로 인한 손해배상에 있어 환자의 피해법익의 문제, 노동능력, 손익상계(이득공제)의 허용여부와 같은 실제 손해액 산정의 쟁점을 검토하고, 결론에서는 강제입원의 현실에서 법이 스며들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해 본다.

      • KCI등재

        정신병원과 시설 내 격리・강박의 문제점과 제도개선방안

        신권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2

        Seclusion and restraint of inpatients or inmates within mental hospitals and some facilities has become natural or familiar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is also a simultaneous hatred and fear for mental hospitals and facilities in which violence becomes possible. We need to find the origin of how mental hospitals and facilities, which should be spaces for treatment and care, are converted into inhuman spaces through seclusion and restraint, and our systems and practices that allow seclusion and restraint comes from what roots. Confinement and binding of people is the beginning of animal treatment, and in the process people are depersonalized. While seclusion and restraint in correctional facilities are punitive to maintain order, seclusion and restraint in mental hospitals are therapeutic to maintain the safety of individuals and others. However, the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 safety and collective order are ambiguous, and there is always a risk that treatment will be converted into punishment. Therefore, the role of the law should exist as a symbol to prevent treatment from turning into punishment and care itself into violence, but our seclusion and restraint regulations, which are provided in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have long lost such control in reality. This paper looks back in time for institutions that are the basi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and examines the role of drugs in psychiatry, one of the reasons why modern psychiatry can govern the mentally ill. In addition, it will point out the problems of illegal forced transportation by the private sector, which can be called the first violence, and suggest specific measures to reform seclusion and restraint system.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include clarification of restrain concepts, requirements and procedures,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use of chemical restraint, and regulation of qualification and education for restrain enforcement personnel. 정신병원과 일부 시설 내에서 합법적으로 또는 사실적으로 이루어지는 입원환자나 입소자에 대한 격리・강박은 우리 사회에서 이제 당연하거나 익숙해지는 일이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합법적 또는 묵시적 폭력의 상황이 가능해지는 정신병원과 시설에 대한 혐오와 두려움도 동시에 공존한다. 치료와 돌봄의 공간이어야 할 정신병원과 시설이 격리・강박을 통하여 어떻게 비인격적 공간으로 전환되는지, 그리고 격리・강박을 허용하는 우리의 제도와 관행은 어떤 뿌리에서 연원하여 익숙해진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사람을 가두고 묶는 것은 동물적 취급의 시작이고, 그 과정에서 사람은 비인격화된다. 교정시설에서의 격리와 강박은 집단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징벌적 성격을 띤다면, 정신병원에서의 격리와 강박은 개인과 타인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치료적 성격을 띤다. 그러나 그 둘의 경계는 모호하며, 치료가 징벌로 전환될 위험은 늘 상존한다. 그래서 법의 역할은 치료가 징벌로, 돌봄 자체가 폭력으로 넘어가는 상황을 막기 위한 상징으로서 존재해야 하는데 정신건강복지법에 명문화된 우리의 격리・강박규정은 현실에서 그러한 통제력을 상실한지 오래다. 본 논문은 격리・강박의 근거가 되는 법령규정을 검토해 보고, 현대적 정신의료가 그 공간을 다스리게 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인 정신과 약물이 가진 의미를 검토해 본다. 아울러 최초의 폭력이라 할 수 있는 민간의 불법적 강제호송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하고, 격리・강박의 구체적 개선방안으로 ⅰ) 강박 개념과 요건 및 절차의 명확화, ⅱ) 화학적 강박의 사용기준 마련, ⅲ) 강박 집행인력의 자격과 교육 근거 마련을 제시해 본다.

      • KCI등재

        부랑과 노숙의 법적 고찰

        신권철 한국법제연구원 2014 법제연구 Vol.- No.47

        A word of the homeless in South Korea is prevalent since 1998 Asian economic crisis. The word of the homeless is substituted for the word of vagrant in South Korea. To support the homeless,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etc(hereinafter called Homeless Act) passed in 2011, provides assistance in housing, meals, medical treatment, employment, emergency measures. Before 1998 Asian crisis, vagrants and beggars had been regarded of targets of institutionalization.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made people recognize vagrancy or homelessness is not personal responsibility but social responsibility and needs solidarity and assistances to them. Though Homeless Act was enacted in 2011, the current social awareness on vagrancy and homelessness regresses to the period before 1998. People and government in their hearts want to make vagrant and the homeless invisible in people's sight.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legal concept of vagrancy and homelessness in East Asian history and examine the basis of national policy and law about vagrancy and homelessness. This study shows that the policy and law of the homeless and vagrant in korea socially and legally exclude them ou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m in welfare institution for only themselve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homeless and vagrant is the bare life in socially and legally excluded status. 2011년 노숙인복지법의 제정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인식은 결코 노숙인을 우호적으로 여기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2011년 서울역사의 상인과 시민들이 노숙인을 퇴거시킨 것은 우리 사회의 노숙인에 대한 태도를 반영한다. 공원과 역사(驛舍)의 공공성(公共性)은 이렇게 노숙인에게서 상인과 시민에게로 넘어갔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은 노동할 수 있는 인간을 말하는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배회나 구걸과 같은 부랑의 징표는 반(反)노동으로 이해되고, 규범과 도덕에 어긋나며, 시설수용의 조건으로 작용한다. 사회는 일정한 선별기준을 통하여 부랑・노숙인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부랑・노숙인을 배제하는 시스템을 동시에 두고 있다. 부랑・노숙인에 대한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무엇에서 시작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냥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이 아닌 선명한 기억으로 존재하게 되는 그들의 모습은 무엇일까? 동정과 연민의 대상도 아닌 의지 없는 무체물처럼 간주하려는 우리의 의도는 어디서 나오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명하게 각인되는 얼굴들은 무엇 때문인가? 지하철이나 역에서 우리는 숱한 많은 사람들 중 그들만을 인식한다. 임마누엘 레비나스가 드러낸 “나의 이해와 능력을 벗어나 지배할 수 없는 타인의 얼굴들” 앞에서, 내가 느껴야 하는 불편함과 책임은 그가 나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지우고 싶은 거울의 얼굴. 마치 나의 치부를 보여주는 거울처럼 내 앞에 서 있는 것이다. 그 거울을 쳐다보고, 그게 결국 다른 나임을 인식하지 못할 때, 그리고 회피하려 들 때 우리 또한 타자에 대한 책임과 규범, 수치심을 모르는 상태로 전락하게 된다. 풍찬노숙의 ‘미각비(未覺非, 잘못을 깨닫지 못함)’는 결국 그들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것이 된다.

      • KCI등재

        시설수용과 탈시설의 법원리― 강제입원제도를 중심으로 ―

        신권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In September 2016,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the compulsory admission provision that grant a right of determination to family in the Mental Health Act were unconstitutional. In the decision, the purpose of compulsory admission are revealed. The decision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compulsory admission which was expressed to be as personal welfare and social security justifies the exercise of the compulsory power of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suggests a fundamental right of the inmate which should be applied in all detention facilities.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meaning of the decis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egal system of institutionaliza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in our past and present situations. As Foucault has already revealed, reason exclude unreason within reason and modern nation have created lunatic asylums to rule out and control the insane, and simultaneously institutionalization was symbolized by double meaning, exclusion with protection. This paper also looks at how lunatic asylums was invented in past history and how it is succeeded by mental health hospital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se reality. This paper shows the legal system of compulsory placement in modern society. The reality of institutionalization tells why we can not expect to be treated as a personality in a compulsory placement, and therefore we have no choice but to be so-called deinstitutionalization. 헌법재판소는 2016년 9월 정신보건법의 강제입원(가족 등에 의한 입원)조항의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을 하였다. 그 결정문에서는 시설수용이 가지는 법 목적과 법 원리를 은연 중에 드러내고 있다. 결정문은 강제입원제도의 목적이 ‘치료’라고 하는 개인적 복리와 ‘치안’이라고 하는 사회적 안전이라고 하면서 입원과 치료라는 강제력의 행사를 정당화하고, 동시에 그 절차에 있어서는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신체의 자유 제한에 따른 절차적 기본권이 보장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헌법재판소의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은 모든 시설수용의 현실에서 적용되어야 하는 근본적 법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도 글에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의 현대적 상황에서 시설수용의 법제도, 그 중에서도 범죄를 제외한 모든 시설수용의 핵심적 원리를 담고 있는 강제입원제도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이성이 가진 합리성이 고안해 낸 시설수용의 법제도가 푸코가 이미 드러낸 바와 같이 비이성에 대한 지배장치로서 활용되기도 하지만, 그것은 동시에 이중적 의미(배제와 보호)로 상징화된다. 또한 시설수용이 과거의 역사들 속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제도적으로 구현되었는지, 그리고 현재 어떻게 정신의료기관이나 사회복지시설에 계승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의 드러냄에 있다. 현실의 시설수용이 인격을 어떻게 물화(物化)시키는지 보이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강제된 수용시설에서 인격적 취급을 기대하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시설바깥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확보할 수 있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음을 보이고자 한다. 그것은 이른바 탈시설과 사회적 삶으로 표현될 것이다.

      • KCI등재

        노동법에 있어 사회통념과 정당성

        신권철(申權澈)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16 노동법연구 Vol.0 No.40

        노동법은 근로계약을 넘어서는 종속노동을 규율대상으로 삼는다. 그래서 노동법은 계약이 아니라 사실을, 의사표시가 아니라 실현된 노동을 자신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노동법이 노동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실과 힘관계를 바탕으로 규범을 정립할 때 근로자는 인격적 주체가 될 수 있다. 근로자가 근로계약에서는 대등한 당사자였다고 하더라도 노동과정에서는 결코 대등한 당사자가 될 수 없는 이유는 근로계약 자체를 통해 인격적 주체성을 제약당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노동법은 종속관계라 표현한다. 예컨대, 근로자가 사업조직에 편입되어 징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결코 대등한 당사자 사이에서 벌어지는 계약관계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다. 이러한 근로자의 종속관계를 극복하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가 힘의 대등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서 근로자의 단결과 파업을 보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이 사용자의 지배행위(인사, 해고, 취업규칙 변경 등)에 대한 사법심사이다. 사용자의 권한행사가 언제든 노동법에 의해 무효화될 수 있는 법리는 사용자를 심사숙고하게 만든다. 근로관계에서의 행위(인사, 징계, 해고, 쟁의행위 등)에 대한 사법심사는 법원의 해석과 판단기준에 따른 것이고, 거기에는 알게 모르게 ‘사회통념’이 반영된다. 사회통념은 법원이 추종하는 것일 수도 있고, 거꾸로 법원이 선도하는 것일수도 있다. 본 글에서는 노동법에 있어 사회통념에서 드러나는 합리성과 정당성의 문제를 각 영역별(해고, 취업규칙, 쟁의행위)로, 그리고 시간순으로 판례의 태도를 검토해 보고, 노동법상 정당성의 문제가 합리성의 문제로 대치(代置)되어가고 있는 상황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Labor law regulates subordination work beyond labor contract. Employee is not legally and realistically equal to employer in labor relations. On account of unequal labor relations labor law control employers’ power. Employers have a power to dismiss and the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In Korea, Employers have a power to make working rules. Labor law play a role of controling employer‘s power by judicial review. In Labor Standards act, employer’s dismissal demands justifiable cause. Dismissal without justification is invalid. But in judical precedents, a dismissal shall, if it is not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in general societal terms be invalid. In supreme court decisions, a disciplinary measure against workers may be found illegal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 measure severely lacks validity in accordance with social norms, and recognizable as an abuse of discretionary power. Korean Supreme Court consider social norm or socially accepted idea as a standard of judicial review when judging employer’s dismissal or personnel management and union’s industrial action. This study analyzes supreme court decisions on the justification of dismissal, making or changing ‘working rules and industrial actions. Korean Supreme Court takes a rational or economic attitude on the employer’s dismissal or union’s industrial actions. Legal justification in labor law is replaced by economic needs or economic rationality in terms of a socially accepted idea or social norms.

      • KCI등재

        친권의 변천과 현대적 이해 ― 징계를 중심으로 ―

        신권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2

        Parental authority has been functioning as an indispensable legal system for forming a family community for two thousand years. In the Napoleonic Code of France in 1803, the beginning of modern civil law, parental authority based on disciplinary authority was provid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rental authority was included as a part of modern civil law. The modern parental authority system has changed its purpose and character over the past 200 years. Parental authority wa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right that the state should control. Recently, the revision of the law to remove the right to disciplinary action, which was a part of parental authority, has spread worldwide, and in January 2021, Korea also deleted the provision on the right to disciplinary action in the Civil Act. The content of parental authority has been generally understood in an abstract and ideological sense, but as far as disciplinary authority is concerned, it can be approached concretely and realistically. The reason is that it is the only special provisions that expresses a physical encounter between a human being, that is, a person and a person in an unequal relationship. Parental authority was created when the family and the state closely resembled each other in the way they govern and operate, and parental authority has been understood in the state as a form of management, such as the ru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subject, and orders and punishments. Modern civil law now needs to approach parental authority from a new perspective. Parental authority without the right to disciplinary action presupposes the family that there are no orders, sanctions, or the exercise of physical force. Only after the disciplinary authority disappeared, we are able to seriously question what parental authority is, and we are able to think about how parental authority should be reorganized.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of the change of disciplinary authority within parental authority and examines ways to review parental authority without disciplinary authority from a new perspective. 친권은 가족 공동체를 구성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하나의 법제도로 지난 2천 년 넘게 기능해 왔다. 근대 민법의 시초인 1803년 프랑스의 나폴레옹 법전에서도 징계권에 기반한 친권이 마련되었고, 이러한 징계권을 가진 친권의 제도화는 근대민법의 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친권은 지난 200여 년 동안 그 목적과 성격이 변화되면서 점차 국가가 통제해야 하는 권한처럼 인식되었고, 21세기 이후에는 친권의 한 내용이었던 징계권을 삭제하거나 체벌을 금지하는 법 개정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와 국내의 아동학대 문제로 인해 한국도 2021년 1월 민법의 징계권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였다. 친권의 내용은 대체로 추상적, 관념적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징계권만큼은 구체적,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다. 그 이유는 민법에서 유일하게 인간과 인간이, 다시 말하면 인격과 인격이 대등하지 않은 관계에서 신체적으로 맞부딪히는 것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권에서의 징계권은 가정과 국가가 그 통치와 운영방식을 서로 유사하게 참고하면서 만들어진 것이기도 하다. 국가에서 왕과 백성의 지배관계인 명령과 징벌을 통한 운영방식은 국가의 생성 이전에 만들어진 가족 내 지배관계를 차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징계권이 사라진 친권은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징계권이 없는 친권이란 결국 명령과 제재, 물리력의 행사가 없는 가족관계를 전제하는 것이다. 우리는 징계권이 사라지고 난 후에야 비로소 친권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되었고, 친권이 어떻게 재인식되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 속에서 친권에서 징계권이 변천되어 온 역사를 개괄적으로 되짚어 살펴보고, 징계권 없는 친권이 가진 의미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