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폴리스 및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 탐색

        신가영 한밭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2.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탐색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로부터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해조류인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들을 검색하였다. 실험 결과 괭생이모자반의 헥세인-클로로포름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였고 생리활성 물질을 얻고자 분리 및 정제를 실시하였다. 순상 오픈 크로마토그래피 및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5-SHS-C-6-6-2-2 물질을 분리하였으며, 1H, 13C NMR spectrum, 2D NMR(COSY, TOCSY, DEPT, HSQC, HMBC), GC-MS, ESI-MS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구조 분석을 하였다. 15-SHS-C-6-6-2-2는 분자식이 C28H38O4로 추정되나 완전한 화학구조식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만, 방향족이며 ester기와 긴 CH2 사슬을 가진 화합물로 부분적인 구조밖에 유추할 수 없었다. 아울러, 15-SHS-C-6-6-2-2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본 결과, 갈조류에서 괭생이모자반의 생리활성을 바탕으로 노화에서 의학, 식품, 화학요법 보조제 등으로 활용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Part 1. 프로폴리스로부터 생리활성물질 탐색 본 연구에서는 국산, 중국산 프로폴리스로부터 노화 및 알츠하이머질병(Alzheimer's disease, AD)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생리활성 물질을 조사하고 관련된 생리활성물질들을 분리해 응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건조된 프로폴리스를 분쇄하여 100% 메탄올 추출물로 추출하고 헥세인, 클로로포름, 부탄올, 물로 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산화 활성 중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알아본 실험에서 국산, 중국산 프로폴리스 메탄올, 클로로포름, 부탄올 층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체내에서 항산화효소로 작용하고 있는 superoxide dismutase(SOD) 억제활성을 알아본 실험에서는 대조군 화합물 ascorbic acid(vitamin C)와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SOD 유사활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국산과 중국산 프로폴리스의 메탄올, 클로로포름, 부탄올 분획은 모두 BuChE와 BACE1에 대하여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AChE에 대하여서는 낮은 억제 활성을 보인 것으로 보아 BuChE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산과 중국산 프로폴리스의 클로로포름층 모두 과인산화된 tau 단백질을 유도한 GSK3β에서도 높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국산과 중국산 프로폴리스 중 높은 활성을 보였던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순상 오픈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국산 프로폴리스 클로로포름 분획으로부터 KCP1~KCP4 분획을 얻었으며, 중국산 프로폴리스 클로로포름 분획으로부터 CCP1~CCP4 분획을 얻었다. 이들의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KCP1~KCP4, CCP1~CCP4 모두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지만, SOD 유사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BuChE 억제활성 및 BACE1 억제활성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런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얻고자 중국산 프로폴리스를 분리 및 정제를 실시하였다. 순상 오픈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CCP2-4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1H, 13C NMR spectrum, 2D NMR(COSY, TOCSY, DEPT, HSQC, HMBC), GC-MS, ESI-MS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구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CCP2-4는 flavanone계열의 naringeni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합물 CCP2-4는 100µg/mL에서 77.2%의 비교적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RC50 수치는 184±5.66µM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100µg/mL에서 65.9%의 비교적 우수한 BuChE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IC50 수치는 226±38.2µM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프로폴리스가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인자에 대한 높은 억제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프로폴리스는 항산화 활성, GSK3β 억제, BACE1 억제, BuChE 억제 효과를 가져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다기능적인 유용한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폴리스는 Alzheimer 또는 인지기능 관련 in vivo 실험과 임상실험 등의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의약품, 기능성 식품 또는 화학요법의 보조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4~5세기 전반 낙동강 하구 交易圈과 任那加羅의 변동

        신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야사는 400년 고구려군의 南征을 기점으로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기 가야사와 고령지역을 중심으로 한 후기 가야사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고구려군의 남정만으로 가야 諸國의 변동 양상과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가야국(=任那加羅)의 쇠퇴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4~5세기 전반 임나가라를 비롯한 가야 제국의 여러 변화 과정을 낙동강 하구 교역권의 변동을 통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낙동강 하구 교역권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낙동강 하구 지역은 한반도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교통·교류의 거점이었다. 낙동강 하구의 김해지역에 위치한 狗邪國은 우월한 교역기반을 바탕으로 주변 國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구야국을 중심으로 勢力圈, 交易圈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세력권은 4세기대에 ‘任那加羅’라고 지칭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4세기 후반 신라는 낙동강 以東의 거의 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낙동강 하구의 東岸에 위치한 부산지역을 편입시켰다. 신라는 점차 낙동강 하구 交易圈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부산지역의 이탈로 인하여 임나가라의 영향력은 낙동강 하구의 西岸에 한정되었고 낙동강 하구 교역권에서의 주도적 위치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 무렵 창원지역의 卓淳 역시 임나가라의 세력권에서 벗어나 백제와 倭의 교류를 중개하는 등 독자적인 활동을 하였다. 함안지역의 安羅는 임나가라의 교역권 축소를 틈타 일시적으로 광역의 교류망을 가지게 되었고, 낙동강 유역까지 교역권을 확장하였다. 또한 부산지역을 매개로 신라와 안라가 임나가라의 중개 없이 교류하였다. 신라의 교역권 확대로 인하여 기존의 임나가라를 중심으로 한 교역권이 유지되지 못하였다.임나가라가 백제와 倭의 교류를 중개하면서 다시 임나가라를 중심으로 한 교역권이 안정되고 활성화되었다고 파악되지만, 실상 임나가라가 백제와 관계를 맺었다는 근거는 살펴보기 어렵다. 4세기 중엽 이후 백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가야국은 임나가라가 아닌, 안라·가라·탁순·소가야 등이었다.4세기 중엽 이후 임나가라는 對倭교류의 주도권도 점차 상실하였다. 낙동강 하구에 진출한 신라로 인하여 임나가라와 가야 제국 간의 교류뿐만 아니라 왜와의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 4세기 후반 ??日本書紀??와 ??三國史記??에서 나타나는 신라와 왜의 충돌은 임나가라를 중심으로 한 교역권이 쇠퇴하였음을 보여준다. 즉, 낙동강 하구의 교역권을 상실한 임나가라가 백제·왜와 긴밀하게 교류하기는 어려웠고, ‘백제-임나가라-왜로 이어지는 교류루트’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또한 ?廣開土王陵碑?를 근거로 ‘고구려-신라 연합’과 ‘백제-가야 제국-왜 연합’의 대립구도를 설정하고, 고구려가 백제를 견제하기 위하여(‘백제-가야 제국-왜 연합’ 혹은 ‘백제-가야 제국-왜로 이어지는 교류루트’를 막기 위해) 임나가라를 공격하였다고 이해되지만, 4세기 말 신라가 낙동강 하구 西岸에도 진출하였기에 당시 임나가라는 낙동강 하구 교역권의 주도권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였다. ?廣開土王陵碑?에서는 임나가라를 비롯한 가야 제국이 신라·고구려에 대항하였다는 기록은 물론, 전쟁으로 인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는 기록도 살펴볼 수 없다.따라서 고구려군의 남정이 가야 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으며, 400년을 기점으로 가야 제국이 변동하였다고 볼 수 없다. 임나가라는 고구려군의 남정 이전에, 변화된 교역체계에 대응하지 못한 채 낙동강 하구로 진출한 신라로 인하여 교역권·세력권을 모두 상실하였고, 이로 인하여 쇠퇴한 것이었다. 낙동강 유역의 가야 제국 역시 고구려군의 남정 이전에, 임나가라의 쇠퇴와 신라의 낙동강 하구 교역권 진출로 인하여 각국마다 서로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였다고 생각된다.

      •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

        신가영 한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pelling development in children with/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spelling, anaxis of composition in the Simple View of Writing.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riple word-form theory to Korean writing and to look at how spelling developed. Thus, the three elements of triple word-form theory—phonological knowledge, orthographic knowledge and morphological knowledge—were categorized into three spelling groups;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and grammatical morpheme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ition within the syllable, and particularly writing the initial sound of a syllable that follows a syllable that has a final consonant and explored the additional development pattern, reflecting the features of Hangeul orthograph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60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as well as 60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20 students in 1st and 2nd grade, 20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and 20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 respectively and thus, a total of 12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were defined as being in the normal range of writing and comprehension but below normal on the dictation test in KORLA (Pae et et.,2015). The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were defined as being in the normal range of reading and writing. A dictation test that included sentences with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eojeol,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eojeol including grammatical morphemes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test sentences consisted of 38 eojeols and 254 graphem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ype, all graphemes included in this test were sub-categorized into either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graphemes,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graphemes, grammatical morpheme graphemes to calculate the grapheme precis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riple word-form theory. In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grapheme, the sounds and letters have a 1:1 correspondence and it applies to 143 graphemes. And in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graphem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s and letters is not 1:1 and this applies to 27 graphemes. Within the grammatical morpheme grapheme category there are 84 graphemes. Next, the graphemes were sub-categorized into syllable initial, syllable medial, and syllable final graphemes to calculate the grapheme precision in each position within the syllable; and in each category there were 104, 104 and 46 graphemes respectively. Lastly, the graphemes were classified into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lenition, and non-lenition types to calculate the grapheme precis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syllable final consonant + grammatical morphemes.’ And the final consonant and following initial grapheme of grammatical morphemes were analyzed. There were 14 graphemes that combined final consonant and grammatical morphemes without phonological rules. Complex letter strings were analyzed into two types reflecting Korean spelling development and frequency: lenition vs non-lenition. There were 12 lenition type of graphemes that started with final consonants and the ‘ㅇ’ grapheme while combining thegrammatical morphemes with phonological rules applied. There were 22 graphemes in the non-lenition type in which the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without lenition. . When the children spelled the target grapheme correctly, they received a point and the precision in the writing by each type was calculated accordingly. Results: Firstly,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were close enough to the completion stage of spelling in the writing of grapheme-phoneme 1:1 correspondent graphemes and grammatical morpheme graphemes beginning in the lower grades. On the contrary,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were likely to complete their spelling skills in writing of such types only when they advanced into higher grades. In the category of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graphemes, the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tended to complete this stage when they advanced into higher grades, while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did not have this level completed even when they advanced into higher grades. In particular, there was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en they entered the middle grades. Secondly, all of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 performance capability on the syllable-initial grapheme when compared to the syllable-medial grapheme and syllable-final consonant when the graphemes were in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category. However, when the graphemes were in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category,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apability with the syllable-final consonant when compared to the initial and medial graphemes. Of particular interest,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entered the mastery stage (95% or above correctness) of correctly writing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ords when they advanced into thehigher grades. Furthermore, for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with regards to the writing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graphemes, they exhibited a great gap in the performance capability depending on the position within syllable. Thirdly,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found to come to the mastery stage of spelling in writing of ‘final consonant + grammatical morphemes’ with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words except for students in 1st and 2nd grade. There was active development in the 3rd to 6th grade students for the writing of ‘final consonant + grammatical morphemes’ with regard to lenition and non-lenition types; however,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did not enter into the mastery stage of spelling even when they advanced into higher grades. Conclusion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utilizes the triple word-form theor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hases of Korean spelling. This study revealed that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could have great influence in children's spelling specifically in Korean Hangeul, which has relatively transparent writing system. The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developed their spelling skills gradually as they advanced through school focusing on the writing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ords. Notably, they showed active development in vowels, final consonant grapheme spelling and ‘final consonant + grammatical morpheme’ graphemes which are of the non-lenition type. Also, th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had delayed a development pattern in comparison with the children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They were likely to complete th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stage of writing when they entered the 5th or 6th grade, but not the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riting.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focus on spellinginstruction for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in the lower grades; and moreover, intervention goals that take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into account will be important in this issu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a way of categoriz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spelling, and point to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spell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Key words: spelling development, triple word-form theory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연구배경: 본 연구는 단순 쓰기 모델(Simple View of Writing)에서 작문의 한 축으로 본 철자 쓰기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3중 단어 구성 이론(triple word-form theory)을 한국어 쓰기에 적용하여 철자 발달양상을 살펴보았다. 3중 단어 구성 이론의 3가지 구성 요소인 음운 지식, 철자 표기 지식, 형태소 지식을 각각 자소-음소 일치, 자소-음소 불일치, 문법형태소와 관련한 철자로 분류하였다. 또 한 한글의 표기 특성을 반영하여 음절 내 위치, 종성에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 쓰기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발달 패턴을 살펴보았다. 연구배경: 본 연구는 단순 쓰기 모델(Simple View of Writing)에서 작문의 한 축으로 본 철자 쓰기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3중 단어 구성 이론(triple word-form theory)을 한국어 쓰기에 적용하여 철자 발달양상을 살펴보았다. 3중 단어 구성 이론의 3가지 구성 요소인 음운 지식, 철자 표기 지식, 형태소 지식을 각각 자소-음소 일치, 자소-음소 불일치, 문법형태소와 관련한 철자로 분류하였다. 또 한 한글의 표기 특성을 반영하여 음절 내 위치, 종성에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 쓰기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발달 패턴을 살펴보았다.정확히 쓴 경우 1점을 부여하여 유형별 쓰기 정확률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쓰기 정확률 95% 이상이 철자 완성 단계인 것으로 해석해보았을 때, 일반 아동은 자소-음소 1:1 일치 자소, 문법형태소 자소 쓰기에서 저학년 시기부터 철자 완성 단계에 근접해 있었다. 반면, 철자 부진 아동은 고학년 시기에서야 해당 유형의 철자 쓰기가 완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자소-음소 1:1 불일치 자소는 일반 아동도 고학년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고, 철자 부진 아동은 고학년까지도 완성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특히, 중학년 시기에 두 집단의 차이는 가장 극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소-음소 일치 자소의 음절 내 위치별 발달에서는 중성(94%)과 종성(94%)에 비해 초성(92%) 쓰기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자소-음소 불일치 자소의 음절내 위치별 발달에서는 초성(90%)과 중성(84%)에 비해 종성(71%)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특히, 자소-음소 불일치형의 종성 쓰기는 일반 아동도 고학년이 되어서야 완성 단계에 진입하였다. 또한 철자 부진 아동은 자소-음소 불일치 자소 쓰기에서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수행력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소-음소 일치 유형의 ‘받침+문법형태소’ 쓰기는 철자 부진 아동 저학년을 제외하고 모두 철자 완성 단계에 속하였다. 연음화와 비연음화 유형의 ‘받침+문법형태소’ 쓰기는 중학년과 고학년 간 활발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나, 철자 부진의 경우 고학년에서도 철자 완성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철자 쓰기 발달을 3중 단어 구성 이론을 활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의의가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어와 같이 자소-음소의 대응관계가 투명한 언어에서는 자소-음소일치 여부가 아동의 철자 쓰기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의 경우, 자소-음소 불일치 쓰기를 중심으로 고학년까지 지속적으로 발달하였다. 특히, 모음, 종성 자소의 철자와 비연음화 유형의 ‘받침+문법형태소’ 자소에서 발달이 활발하였다. 철자 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대체로 지연되는 발달 패턴을 보였다. 자소-음소 일치 쓰기가 고학년에 완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자소-음소 불일치 쓰기는 고학년 시기까지도 완성 단계에 진입하지 못했다. 따라서 철자 부진 아동의 철자 쓰기 지도는 저학년 시기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자소-음소일치 여부를 고려한 지도 계획이 중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글 철자 쓰기의 발달적 준거를 제공하고, 언어보편적 특성과 언어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철자 지도에 대해 임상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분석 성능 향상 연구 : 장-흐름 분획법과의 연계를 통한 바이오마커 검출 및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한 측정 재현성 개선

        신가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분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장-흐름 분획법 (Field-flow fractionation, FFF)과의 연계를 통한 바이오마커 검출 연구와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측정 재현성 증대를 위한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의 개발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Part I.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과 장-흐름 분획법의 연계를 통한 바이오마커 검출 극미량의 바이오마커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시료의 크기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장-흐름 분획법 (Field-flow fractionation, FFF)을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과 연계하여, 시료의 선택적 분리 및 우수한 감도로 동시 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진 micro-RNA (miRNA)와 탄저병 (Anthrax)의 바이오마커 중 하나인 Protective antigen (PA)의 검출 연구를 수행하였다. I-1. micro-RNAs (miRNAs) 동시 검출 miRNA 의 초고감도 다중분석 시스템의 개발 및 응용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표 miRNA 의 선택적 인지에 사용할 나노입자-검출 유전자 복합체의 합성을 위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miRNA 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진 DNA 를 폴리스타이렌 (Polystyrene, PS) 입자 표면에 고정하였고, 이들은 용액 상에서 target miRNA 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라만 신호를 강하게 발생시킴과 동시에 장-흐름 분획법의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polyadenylation 효소 반응에 의해 poly(A) tail 을 target miRNA 말단에 형성함으로써 Thymine (T)이 붙은 금 나노입자 복합체가 poly(A) tail 에 결합하도록 하였다. 금 나노입자 복합체에는 라만 신호를 발생하는 Raman reporter 를 결합시킴으로써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장-흐름 분획법에 의해 분리된 시료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미량의 miRNA 도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miRNA 의 동시 분석을 위해서 크기가 다른 PS 입자 (5, 10, 15 μm)를 사용하여, 각각의 다른 크기의 PS 입자에 다른 서열을 가지는 세 종류의miRNA를 검출할 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써 여러 miRNA 의 분리 및 동시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2. 탄저병의 바이오마커 (PA) 검출 PA 의 검출 및 라만 신호 증폭을 위한 나노 구조물로써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하고, PA 와 선택적 결합을 위해 진단 대상체 인식용 펩타이드를 이용하였다. 금 나노 입자에 라만 신호 전달 물질 (5,5’- Dithiobis(succinimidyl-2-itrobenzoate, DSNB)을 흡착시킨 후, PA 와 반응하는 서로 다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2 종류의 펩타이드를 결합시키도록 하였다. 표면에 결합된 두 종류의 펩타이드는 PA 와 동시에 결합할수있으므로, 나노입자집합체를형성할수있다.형성된나노 입자 집합체는 PA 와 결합하지 않은 SERS probe 나 PA 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장-흐름 분획법에 의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PA 와 결합된 나노 입자 집합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라만 신호를 측정하여 PA 를 검출하였다. Part II.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한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측정 재현성 향상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문제점인 낮은 측정 재현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인 광역 조사 라만 분광법 (Wide area illumination scheme)과 투과 라만 분광법 (Transmission Raman scheme)을 활용하여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의 측정 재현성을 향상시키며, 라만 신호를 얻기 위한 substrate 로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하였다. 이는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가 다양한 환경에서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고감도 분석 및 우수한 분석 재현성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로젤과 스펀지를 기반으로 하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 substrate 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측정 재현성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II-1. 금 나노 입자/하이드로젤 복합체를 이용한 측정 재현성 향상 연구 실리카가 코팅된 금 나노입자 (Au@SiO2)와 Acrylic acid 를 이용하여 금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Polyacrylic acid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으며, 라만 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금 나노입자 외부의 실리카 코팅을 불산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substrate 는 하이드로젤의 성질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용액 시료를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금 나노 입자 집합체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substrate 전체로부터 재현성 있는 라만 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 재현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하여 광역 조사 라만 분광법을 사용하였고, 2-naphthalenethiol 측정 시 정량성 및 분석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I-2. 금 나노 입자/스펀지 복합체를 이용한 측정 재현성 향상 연구 쉽고 간편하게 구할 수 있는 스펀지를 이용하여 substrate 를 합성하였으며, 동시에 투과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 재현성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스펀지 중에서 금 나노 입자를 스펀지 내부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료의 흡수가 용이한 멜라민폼 (Melamine foam)을 선택하였다. 멜라민폼은 다공성의 3 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어 투과되는 레이저와 시료간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측정 재현성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금 나노 입자를 포함한 멜라민폼을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4- nitrobenzenethiol 을 측정하여 우수한 정량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액체 시료 (De-ionized water, 수돗물, 강물, 오렌지 쥬스)에 포함된 Paraquat (제초제)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청소년의 부정교합과 치아우식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

        신가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2대구치까지 구강 내에 맹출하여 비교적 안정된 교합을 이루기 시작한 영구치열기 청소년의 부정교합과 치아우식 유병률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익산시 소재의 2개 중학교 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구강검진을 통해 치아심미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청소년의 치아심미지수는 평균 12.42점,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평균 2.89개로 나타났다. 교정치료가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치아심미지수 36점 이상은 4명(1.03%)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상악 중절치의 정중이개와 하악 전치부 수평피개를 나타내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치아심미지수를 구성하는 10개 항목 중 7개 항목(결손 치아 수, 전치부 악궁 총생도, 상악 전치부 최대 변위량, 하악 전치부 최대 변위량, 하악 전치부 수평피개량, 전치부 개방교합, 제1대구치의 전후방 관계)에서 각 항목의 정상 범주에 속하는 집단에 비해 정상 범주에서 벗어난 집단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명백한 부정교합의 존재가 인정되는 치아심미지수 26점을 기준으로, 26점미만에 비해 26점 이상인 집단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높았으며(p < 0.01), 치아심미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 사이에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 0.584, p < 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의 부정교합과 치아우식증 유병률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치아우식증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특정 형태의 부정교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occlusion and dental caries in adolescents with permanent dent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385 adolescents aged 12 to 15 years. Dental Aesthetic Index(DAI) and DMFT index were recorded as clinical indicator of malocclusion and dental caries. The mean Dental Aesthetic Index(DAI) score of the subjects was 12.42 and the mean DMFT index of the subjects was 2.89. Four students(1.04%) of th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group of orthodontic treatment mandatory, which signifies the handicapping malocclusion. Moreover, the result of gender-specific analysis of the DAI components was observed that the prevalence of midline diastema and mandibular overjet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boys(p < 0.05). In 7 components(missing teeth, incisal segment crowding, maxillary anterior irregularity, mandibular anterior irregularity, mandibular overjet, anterior openbite, antero-posterior molar relationship) among the 10 DAI components, abnorm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MFT index than normal groups(p < 0.05). The subjects in the group of definite to handicapping malocclusion (DAI ≥ 26)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MFT index than the subjects in the group of minor or no malocclusion(p < 0.01). In addition, the DAI score had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DMFT index(r = 0.584, p < 0.01). Consequently, the current findings suggest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occlusion and caries prevalence. And several specific types of malocclusion were suppos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ntal caries.

      • 4~6세기 加耶 諸國의 동향과 국제관계

        신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글에서는 한반도 남부 지역 정치체의 다양성에 주목하여, 가야라고 불렸던 정치체들이 서로 어떠한 관계였는지를 살펴보면서 시기별 이합집산 과정을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국제정세에 따라 가야 각국이 자신의 처한 상황과 이해관계에 따라 주변 세력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가야’라는 명칭으로 인하여 가야 제국을 ‘운명공동체’처럼 간주해 왔지만, 오늘날 우리가 일컫는 바와 같이 여러 나라를 함께 아울러 부르는 ‘가야’가 당시에 사용되고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기존의 ‘연맹’ 관점에서 벗어나 주요국인 금관가야, 대가야, 아라가야가 신라, 백제, 고구려, 왜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펼친 대외교섭은 상호 어떻게 달랐는지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가야 각국의 독자적 이해관계를 주목하였고 가야 諸國이 하나의 정치체로 통합되지 않았던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금관가야는 철 집산지와 거점 기항지로서의 역할을 통해 이른 시기부터 발전하였지만, 자국을 중심으로 한 단일한 네트워크는 구축하지 못했다. 4세기 초 낙랑·대방군이 고구려에 흡수된 이후 금관가야는 고구려와 신라를 중심으로 전개된 새로운 교역체계 속에서 신라보다 뒤처지게 되었다.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은 신라의 낙동강 유역 진출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은 가야사에 가장 큰 외부 충격을 준 사건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금관가야에 한해 직접 피해를 입었고 아라가야를 비롯한 다른 가야 세력들은 그 영향권 밖에 있었다. 가야 제국은 이미 400년 이전부터 변화하고 있었으며, 그 변화는 낙동강 하구로 진출하려는 신라와 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쇠퇴해 가는 금관가야에서 비롯되었다. 고구려를 등에 업은 신라가 낙동강 하구 교역권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기에 가야 각국은 새로운 진로 모색을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400년 이후 가야 제국의 동향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타난다. 먼저 신라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신라에 편입되거나 신라가 주도하는 낙동강 하구 교역권에 복속되었다. 또는 신라와 전면적으로 대립하지 않는 가운데 왜와 독자적으로 교섭하거나 백제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자 했다. 대가야의 경우 섬진강 유역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이 확인된다. ‘고대국가’로 진전되었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지만, 관점을 달리해보면 대가야양식 토기와 묘제의 확산 과정은 대가야가 지역에 따라 지배방식을 달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대가야에는 多羅와 己汶과 같이 느슨한 복속관계였던 지역이 있었으며, ‘縣’이라고 기록될 만큼 중앙의 지배력이 미치고 있었던 지역이 있었다. 대가야는 가야 제국 중에서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했지만 금관가야·아라가야·소가야까지 아우를 수 있는 구심점이 되지 못했다. 대가야가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이나 백제와 기문·대사를 두고 다투는 과정에서 금관가야와 아라가야는 대가야에 협조하지 않았다. 대가야와 아라가야는 서로 경쟁하였던 관계로 각각 대외교섭을 추진했다. 한편 중국 南齊로부터 받은 ‘輔國將軍 本國王’과 우륵의 12곡을 통해 대가야의 발전된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나 대가야를 중심으로 한 단일한 ‘네트워크’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6세기 이전까지 백제와 신라 어느 나라도 압도적 군사력으로 가야 제국을 소멸시킬 수 없었던 상황이었기에 가야 제국은 서로 힘을 합쳐 백제와 신라에 공동 대응하지 않았다. 가야 제국은 각자의 방식대로 백제와 신라의 세력 균형 속에 기민하게 국제정세에 대응하며 진로를 모색했다. 그런데 고구려가 백제 한성을 함락한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각축은 심화되었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가야 제국은 백제와 신라의 침략에 직면하여 가야 지역 전체가 위태로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백제는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대가야의 영역을 일부 차지하였고, 신라는 낙동강 서쪽으로 진출하여 금관가야, 탁기탄, 탁순을 소멸시켰다. 이후 사비회의에서 신라의 가야 진출을 저지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기도 하였지만, 오히려 가야 제국은 신라 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하였다. 가야 제국은 554년 관산성 전투를 거치면서 백제와 신라의 세력 균형이 붕괴되는 중대한 변화를 맞이했다. 신라는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가야 지역 진출에서도 백제보다 더 우위에 서게 되었다. 신라는 주변 세력에 대해 군사적인 압박뿐만 아니라 위세품을 수여하는 등의 회유책도 실시했다. 가장 먼저 신라에 항복한 금관가야의 사례는 다른 가야 세력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반면 백제는 가야를 군사적으로 지원할 여력이 없었다. 가야 제국은 서로 힘을 합쳐 외부의 적을 대응해 본 역사적 경험이 부족했고, 대가야나 아라가야는 가야 제국의 ‘구심’ 역할을 하지 못했다. 결국 가야 제국은 백제가 아닌 신라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신라의 압박·회유책에 의해 결국 대가야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저항을 하지 못하고 소멸하였다. 가야 제국에 있어서 대외교섭은 하나의 생존전략이었다. 가야 제국은 어떤 방식이든 힘을 합치는 과정을 가져본 역사적 경험이 적었고, 압도적 주도권을 쥔 나라가 없었기에 각국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외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대응 방식을 통해 가야 제국이 백제와 신라라는 강대국 사이에서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독자 세력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다. 각국의 대외교섭력이 백제와 신라가 쉽사리 가야 지역을 공략할 수 없는 저력이 되었다. 이처럼 ‘연맹’이나 ‘연합’ 방식이 아니더라도 가야 각국의 역량대로 나름의 전략과 진로 모색을 통해 존립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versity of political bodi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ims at restor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alignment by time period by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bodies called “Gaya”. It is confirmed that each state had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 forc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nd interests depending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Gaya countries has been regarded as “groups sharing a common destiny” due to the common name “Gaya”, however, it is unclear if “Gaya” which today refers a name that embraces various states was being used at that time. This article, departing from the existing “confederacy” perspective, gives attention to each state’s own interests by closely reviewing how the major states, Geumgwangaya(金官加耶), Daegaya(大加耶), and Aragaya(阿羅加耶),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negotiations between Silla, Baekje, Goguryeo, and Wa(倭) over the course of time, and tries to find the reason why Gaya countries were not integrated into a single political body. Geumgwangaya developed from the early stages through its role as an iron distributing center and a base port of call, but failed to build a single network centered on its own state. After Nangnanggun(樂浪郡) and Daebanggun(帶方郡) were absorbed by Goguryeo in the early 4th century, Geumgwangaya was behind Silla in the new trading system developed around Goguryeo and Silla. The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Silla’s advance on the Nakdong River basin. It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external impact in the history of Gaya, but technically, it directly affected only Geumgwangaya, and other Gaya forces including Aragaya were outside of its influence. Gaya countries had already been changing before 400, and the reason of change was because of Silla that was trying to expand to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decline of Geumgwangaya that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is situation. As Silla took the initiative in the trading right of Nakdong River estuary by having Goguryeo in the back, each state was forced to seek new paths. After 400, the trend of the Gaya countries appears in two main flows. First, they remained closely related to Silla and were either incorporated into Silla or subjugated to the trading righ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led by Silla. Otherwise, they tried to negotiate independently with Wa or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Baekje without confronting directly with Silla. In the case of Daegaya, the process of expanding its area to the Seomjin River basin is confirmed. Although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Daegaya progressed as an “ancient state” or not, but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spreading Daegaya style earthenware and burial system shows that the state had different ways of governing depending on the region. There were areas in Daegaya, such as Dara(多羅) and Gimun(己汶), that had loose subjugation, and areas where central control was strong enough to be recorded as "Hyeon (縣)". Daegaya occupied the largest area of the Gaya countries, but did not become a pivot which binds Geumgwangaya, Aragaya, and Sogaya(小加耶) together. In the process of Dagaya’s advance on the Seomjin River basin or the process of fighting over Gimun(己汶) and Daesa(帶沙) with Baekje, Geumgwan Gaya and Ara Gaya did not cooperate with Daegaya. Since Daegaya was in competition with Ara Gaya, the two states carried out foreign negotiation, respectively. Through the title “Bogukjanggun Bongukwang(輔國將軍 本國王)” received from Southern Qi(南齊) and the Twelve Songs of Ureuk(于勒),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velop aspect of Daegaya, but it i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ngle “network” centered on Daegaya. Before the 6th century, neither Baekje nor Silla had overwhelming military power to destroy the Gaya countries, so the confederacy did not join forces and jointly respond to Baekje and Silla. I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Baekje and Silla, the Gaya countries promptly responded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ir own way and sought their paths. However, after Goguryeo captured Hanseong(漢城) of Baekje, the competition between Goguryeo, Baekje and Silla intensified. In the 6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faced the invasion of Baekje and Silla, and the entire Gaya region was in a perilous situation. Baekje advanced towards the Seomjin River basin and occupied some areas of Daegaya, and Silla advanced towards west of the Nakdong River to destroy Geumgwangaya, Takgitan(㖨己呑), and Taksun(卓淳). At Sabi conference, measures to stop Silla's advance towards Gaya were discussed, but instead, Gaya confederacy began to turn toward Silla. The Gaya countries faced a major change as the power balance between Baekje and Silla collapsed through the battle of Gwansan Fortress. Silla occupied the Han River basin, and attained superiority over Baekje in advance on the Gaya region. Silla not only put military pressure on the surrounding forces, but also carried out conciliatory measures, such as awarding prestige goods(威勢品). The case of Geumgwangaya, which surrendered to Silla first,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other Gaya forces. However, Baekje could not afford the military support for Gaya. The Gaya countries had no historical experience working together to counter external enemies, and the Daegaya or Aragaya did not play the role as the “pivot” of the Gaya countries. Eventually, the Gaya countries were forced to choose Silla rather than Baekje. Due to the pressure and conciliatory measures of Silla, the rest of the states were unable to resist and disappeared except Daegaya. For the Gaya countries, foreign negotiation was a survival strategy. Gaya countries were les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in any way, and no state took the overwhelming initiative, therefore, each state engaged in intern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s. Through this way of response, the Gaya countries were able to exist as an independent power without being biased to either side for quite a long time between the great powers of Baekje and Silla. The foreign negotiating powers of each state became the power that made it impossible for Baekje and Silla to easily attack the Gaya region.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survive through their own strategies and seeking paths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each state without the “confederacy” or “alliance” way.

      • 철강 부산물 재활용 시 전과정평가를 통한 철강산업-시멘트산업 간 환경적 이득 할당 방법론 연구

        신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s steel by-products and steel scrap emerge as key materials in resource-circulating industries. The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for allocating environmental benefits in the recycling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BFS), a steel by-product, to highlight the environmental advantages of steel.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benefits and burdens resulting from recycling is Life Cycle Assessment(LCA). LCA encompasses various aspects such as defining system boundaries, selecting allocation procedures, addressing multifunctionality, and identifying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and scope of the LCA study. However, there currently needs to be a consensus on the generally recognized allocation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in all situations. In particular, despi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allocation procedures on the results of LCA,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aterial recycling, practitioners often select and apply them arbitrarily. Internationally recognized guidelines and standards such as ISO 14040, 14044, 14067, 20915, and 21930, International Reference Life Cycle Data System(ILCD) Handbook, 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PEF) Guide, Greenhouse Gas (GHG) Protocol, 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PAS) 2050, and Product Category Rules (PCR) also recommend different allocation methods. The methodology of LCA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wo approaches: Attributional LCA(ALCA) and Consequential LCA(CLCA). ALCA focuses on evaluating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out the value chain, from raw material acquisition to manufacturing, use, and disposal, with a product-centered perspective. It seeks to identify the causes of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the current reality and provides an approach to assessing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other hand, CLCA is an approach that examines the socio-economic changes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considering a future time frame as the reference point. It aims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may arise from product systems in the future. This study applied ALCA and CLCA based on scenarios to distribute the environmental benefits between the steel and cement industries when Portland cement is replaced with slag cement by recycling GBFS as follows: 1) ALCA: System expansion(Allocation avoidance) – No allocation; 2) ALCA: Cut-off approach(Mass-based); 3) ALCA: Cut-off approach (Economic value-based); 4) CLCA: End-of-life(EOL) approach; 5) CLCA: Circular Footprint Formula(CFF); 6) CLCA: Market price-based allocation; and 7) CLCA: 50-50 method. The LCA results showed that recycling GBFS resulted in overall environmental benefits to the steel and cement industries. Among the CLCA approaches, the 50-50 method, end-of-life approaches, and market price-based allocation(Scnario 7, 4, and 6)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benefits in that order with 1.18E+06, 1.46E+06, and 1.87E+06 respectively. However, these three methods allocate the environmental burden of material production at the final disposal phase in a way that shares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material production and final disposal between the first and last life cycles. Therefore, when selecting allocation method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valuate the accuracy,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data, taking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and factors. Based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sults, the environmental benefits were allocated to the steel and cement industries separately using the ALCA and CLCA approaches. The end-of-life (EOL) approach(Scnario 4) was the most advantageous allocation method for the steel industry, showing environmental benefits of up to 81%. The 50-50 method(Scnario 7) was the most advantageous allocation method for the cement industry, receiving 72% of the environmental benefits. Furthermore, when applying CFF, Market price-based allocation, and 50-50 method(Scnario 5 ~ 7), excluding the EOL approach(Scnario 4), it was found that the CLCA approach allocated environmental benefits at equal proportions between the two industries, with 9%, 56%, and 72%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CLCA approaches, except for the EOL approach, distributed environmental benefits equally between the two industr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rious allocation method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isting allocation method based on the Cut-off approach, which allocated environmental benefits only based on economic value, did not properly evaluate the environmental benefits, i.e., avoided impact, resulting from the substitution of recycled materials for virgin materials.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benefits are not adequately assessed. By diversifying the allocation methods and providing appropriate incentives for recycling, the steel industry can benefit from recycling steel by-products, which have been proven to be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contribute to the circular economy. In this study, the CLCA approach was applied, considering only short-term avoidance effects. However,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focus on the market changes resulting from the long-term shifts in supply and demand, and indirect non-market effects such as changes in energy mix,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policy influences due to the recycling of steel by-products. By addressing these aspects,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steel by-products is anticipated to be enhanced. 본 연구의 목적은 철강 부산물 및 철스크랩이 자원순환 산업의 핵심소재로 부상하는 가운데 철강의 친환경성을 증명하기 위해 철강 부산물 중 고로 수재 슬래그(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BFS) 재활용 시 철강산업 – 시멘트산업 간 환경적 이득(Environmental benefit) 할당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적 이득 및 환경적 부담(Environmental burden) 정량적 산정을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이다. LCA는 LCA 목적 및 범위설정에 따라 시스템 경계 정의, 할당 절차 선정, 다중기능성(Multifunctionality) 처리 및 환경 영향 범주 식별 등이 다양하게 선정되므로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물질 재활용 시 할당 절차는 적용 방법론에 따라 LCA 결과값에 큰 영향을 주는 데도 불구하고, 실무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인증된 지침 및 표준인 ISO 14040, 14044, 14067, 20915, 21930 및 International Reference Life Cycle Data System(ILCD) Handbook, 제품 환경 발자국(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 PEF) Guide, Greenhouse Gas (GHG) Protocol, 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PAS) 2050, Product Category Rules(PCR)에서도 각각 다른 할당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LCA의 방법론은 크게 귀인적 접근방법(Attributional life cycle assessment, ALCA)과 결과적 접근방법(Consequential life cycle assessment, CLCA)으로 구분된다. ALCA는 제품을 중심으로 원료 취득에서부터 제조, 사용 폐기까지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 따라 발생하는 잠재적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재의 사실에 근거하여 환경 영향의 원인을 찾아가는 접근방식이다. 반면, CLCA는 미래 시점 기준으로 제품 시스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변동량을 규명하는 접근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 부산물 재활용하여 슬래그 시멘트 제조 시 포틀랜드 시멘트를 GBFS로 대체할 경우, 보다 심층적으로 환경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LCA 접근방식과 CLCA 접근방식을 통해 표준/지침에서 권장하거나 주로 적용되는 할당 방식을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환경적 이득을 철강산업과 시멘트산업에 할당하였다. 시나리오는 ALCA 접근방식을 적용한 3가지 방식과 CLCA 접근방식을 적용한 4가지방식으로 구분되며, 1) ALCA: 시스템 확장(할당 회피) – No allocation, 2) ALCA: Cut-off approach(질량 기반 할당), 3) ALCA: Cut-off approach (경제적 가치 기반 할당), 4) CLCA: End-of-life(EOL) approach, 5) CLCA: Circular Footprint Formula(CFF), 6) CLCA: Market price-based allocation, 및 7) CLCA: 50-50 method 등 7가지 시나리오가 적용되었다. 그 결과, GBFS를 재활용함으로써, 철강산업 및 시멘트산업에 전반적으로 환경적 이득이 발생하였다. CLCA 접근방식(시나리오 7, 4, 및 6)의 50-50 method, EOL 접근방식 및 Market price-based allocation이 각각 1.18E+06, 1.46E+06, 및 1.87E+06으로 가장 환경적 이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3가지 방식은 최종 폐기단계에 원료생산에 대한 환경 부하를 부담하게 하는 방식으로 원료의 생산 및 최종 폐기 처리의 환경영향을 첫 번째 수명주기와 마지막 수명 주기 사이에 공유하므로 할당방법 선정 시 다양한 변수와 요소를 고려하여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 적절성 등을 신중하게 평가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환경영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ALCA 접근방식과 CLCA 접근방식으로 구분하여 환경적 이득을 철강산업과 시멘트산업에 각각 할당하였다. 철강산업에 가장 유리한 할당방식은 CLCA 접근방식의 EOL approach(시나리오 4)로 81%에 달하는 환경적 이득을 나타냈다. 시멘트산업에 가장 유리한 할당방식은 50-50 method 할당방식(시나리오 7)으로 72%에 해당하는 환경적 이득을 할당 받았다. 또한, CFF, Market price-based allocation 및 50-50 method 할당방식(시나리오 5 ~ 7) 적용 시, 각각 9%, 56%, 72%으로 EOL 접근방식을 제외하고 CLCA 접근방식이 양 산업에 양 산업 간 동일한 비율로 환경적 이득을 할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EOL approach를 제외하고 CLCA 접근방식 적용이 양 산업간 환경적 이득을 동등하게 분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다양한 할당 방식을 고려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존에는 경제적 가치에 기반한 Cut-off approach에 의한 할당방법을 통해서만 양 산업간 환경적 이득을 할당하여, 재활용으로 인한 신재(Virgin mateirial) 대체에 따른 환경영향 회피효과(Avoided impact)는 고려하지 않아 환경적 이득이 제대로 평가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당방식을 다각화하고 재활용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철강산업은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임이 입증된 GBFS 재활용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LCA 접근방식 적용 시 단기적인 회피 효과만을 고려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철강 부산물 재활용으로 인한 슬래그 시멘트 점유율 상승 등 수요-공급의 변화로 인한 시장의 변화, 에너지 믹스 변화, 기술개발 영향 및 정책적 영향 등 비시장적 간접 영향에도 초점을 두고 후속 연구를 진행하면 철강 부산물의 가치 평가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신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SNS 중독경향성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25세 남녀 40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SNS 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 간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문제를 제외한 모든 잠재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SNS 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에서 여자집단이 남자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간 관계를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불안에서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와 애착불안에서 대인관계문제를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를 순차적으로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유연한 정서의 조절과 대처를 어렵게 하며,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이 대인관계문제를 증가시켜 결국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로에서, 개인의 특성으로서의 애착불안, 정서적 요인으로서의 정서조절곤란,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대인관계문제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치료적 개입 마련에 있어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는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측면이므로 이를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애착불안이 개인의 정서조절의 어려움,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애착의 중요성을 다시금 입증하였다. 이는 개인의 내적작동모델이 긍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했을 경우, 개인의 삶에 다양한 측면에서의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대학생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성인진입기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들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긍정적인 내적표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를 통해 SNS 중독경향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xiety,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Dysregulati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tudy participants(403 college students)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other variables. Second, as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test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Dysregulation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three latent variable than men. Thir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Fourt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he dual-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xiety can increase the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uch high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can increase interpersonal problems, leading to SNS addiction proneness. Out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research confirmed the connecting path from environmental factor, emoti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to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confirms that SNS addiction proneness is an experienced result of attachment, an internal traits, along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 emotional factor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 social factor. Therefore, give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xiety o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ts dual-medit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 preven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 AHP분석법을 통한 회복력있는 주거단지 조경 계획 요소의 중요도 분석

        신가영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riority elements for planning resilient residential landscape to urban heat island. To do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eps as follows: first, I constructed the framework of landscape planning in residential build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I derived the priority elements of landscape planning in residential building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ird, based on the priority elements, I suggested resilient residential landscape planning to urban heat island. In the first result, the framework of landscape planning in residential building was composed of four main dimensions including ‘land use’, ‘ecological environment’,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resources and environmental load’. In the second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landscape planning elements in residential building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land use’, ‘ecological environment’,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resources and environmental load’. Specifically, in the land use dimension, ‘constructing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selected as a key element.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dimension, ‘constructing green space in residential building’ was selected as a key element. In the indoor environment dimension, ‘air condition’ and ‘temperature’ were selected as key elements. In the energy resource and environmental load dimension, ‘energy’ was selected as a key element. Based on these key elements, I suggested four strategies for resilient residential building to urban heat island as follows: (1) building cool roofs to reduce heat sensitivity; (2) installing cool pavements to reduce heat exposure; (3) Increasing canopy cover and vegetation to reduce heat exposure; (4) Raising awareness and preparing for extreme he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basement information for landscape architectural researchers who study the urban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