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공공콘텐츠 개발 및 적용: 수원시를 대상으로

        송화성,김미성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5

        Research Purpose: Along with the trend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public sector is also trying to adopt metaverses, but there is a problem of low usage rate due to poor, unsuitable, and unattractive content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stomized public metaverse contents for users and region.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an implementing direction and developing contents, as a user,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itizens composed of various members such as children, young people, and adults were conduc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ublic contents and the priorities of the indicators were evaluated by public official from the information department of Suwon City, as a suppler. Results in Research: As a result, 16 main contents were identified in the fields of administration, health and welfare, MICE, and tourism.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that metaverse implementation is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order: health/welfare, leisure/tourism/culture, administration, and MICE. Research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various metaverse contents at the public level.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d metaverse contents and businesses that citizens want and public officials value. I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business model implementation and education to build a customized metaverse suitable for the Suwon. 코로나19 발병 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며, 공공분야에서도 메타버스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 메타버스는 단순하게 공간을 구현하는 데 그치며, 제반적으로 콘텐츠가 빈약하여 이용자가 적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요자와 지역에 맞는 맞춤형 공공 메타버스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수원시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정책 및 유관계획, 사례 등을 살펴보고 수요자 의견조사를 종합하여 수요자 체감형 공공 메타버스 콘텐츠를 제안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공급자의 적정성 평가를 통해 우선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사례 및 시민의견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행정, 보건·복지, MICE, 관광 분야의 16개 추진사업을 도출하였다. 이후 시정현안관련성, 정책중요성, 수요자 공감성, 정책효과성을 기준으로 하여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도출된 사업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보건·복지, 여가·관광·문화, 행정, MICE의 순으로 메타버스 구현이 적정하다고 평가되었다. 해당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수요자인 시민이 원하고, 실제 집행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메타버스 콘텐츠 및 사업을 도출하였으며, 일부 사업들의 평가 내용을 기반으로 보다 수원에 적합한 맞춤형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화관광 분야의 전문화(specialization)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 수원화성 방문객을 대상으로 -

        송화성,윤자연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6

        Koreas' interest in traveling to culture sites has increased, thus, there may be types of tourists who progress from general tourists to specialized cultural tourist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which dimensions of culture specialization exist in Korean tourists. As a methodology, ground theory has been used throughout this paper to explain the experience of culture tourists based on their specialization process.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f eight culture tourists who visited to Suwon Hwaseong castle frequently. Results show that the culture tourists tended to progress over the time period in terms of specializat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Suwon culture tourists are prominently featured in accumulation of social and physical skill, investment of time and effort, and desires for difference and luxury. Interestingly, compared to American culture tourist, the network within culture tourists is found in Suwon culture tourists. 국내 문화관광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국내 문화관광객은 일반 나들이객(general tourist)에서 전문화(specialization)된 문화관광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관광객에게 문화 전문화의 어떠한 측면(dimension)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화 과정을 바탕으로 한 문화관광객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일환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사용하였으며, 수원시의 대표적인 문화관광지인 수원화성 및 관련 문화관광지를 방문하는 답사프로그램인 ‘화성학교’ 참가자 및 기존 수원화성 문화관광에 참여한 일반문화관광객을 포함하여 총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관광객들이 시간에 기존에 해외의 야외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주로 적용․연구되어 왔던 전문화 개념의 국내 문화관광 분야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수원문화관광객은 기존 야외 레크레이션 전문화 구성개념 및 해외 문화관광객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신체적․사회적 기술의 축적’인 ‘인맥’, 차별화․고급화의 욕구’, 그리고 ‘비용․시간․노력의 투자’면이라는 새로운 전문화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KCI등재

        여행경력패턴(Travel Career Pattern)에 따른 수원 관광객의 유형과 특성 -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

        송화성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avel career pattern of Suwon tourist by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classify them based on measurements such as latent clas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Data from 1,000 tourists at main tourism destination in Suwon city were surveyed with person interview then analyzed. LPA identified three subgroups: (1) core motives oriented type with lowest motivation, (2) mid-layer motives oriented type with highest motivation, and (3) general type with relatively regular mo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cross-tabulation and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gender, age, number of travel times of Gyonggi do, the purpose of visit, intention to recommend,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tourism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ree groups whereas number of travel times of Suwon and aborad did not.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LPA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identifying subgroups of individuals who have engaged in particular sets of tourism activities with multiple motivation dimen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을 활용하여 수원 관광객의 여행경력패턴 이론에 따라 어떤 잠재계층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그 특성과 구조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주요 관광지점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인면접 방식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1,000명의 자료를 획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1) 전체적인 동기는 전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신기성’, ‘일상탈출/휴식’, ‘관계’ 중심적인 핵심동기형 집단, (2) 전체적인 동기는 전반적으로 가장 높으나, ‘외적 자기개발’과 ‘내적 자기개발’, ‘성취’ 중심적인 내적동기형 집단, (3) 두 집단 대비 전반적으로 고른 동기를 지닌 일반형 집단의 세 개의 하위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세 개의 하위유형을 결정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성별, 연령, 경기도 여행횟수, 방문목적, 추천의사, 재방문의사 그리고 관광만족도 부분에서 세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행경력을 측정하는 수원여행횟수와 해외여행횟수 부분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차원적인 동기로 다양한 관광활동에 참여하는 잠재그룹을 확인하는 데 있어 LPA가 유용한 툴인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장소애착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특성 분석 : 수원화성문화제 방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송화성,강영애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potential groups exist depending on locals’ place attachment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Data were collected though the personal interview with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51th Su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there are three latent profiles with regard to the place attachment of 268 individuals in Suwon City and they are named as follows: low attachment group, intermediate attachment group and high attachment group. Using cross-tabs and one-way ANOVA, this study identified the variables that determine those 3 sub-categories and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length of residence in Suwo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on festival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revisit.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장소애착에 따라 어떤 잠재계층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그 특성과 구조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51회 수원화성문화제를 방문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인면접 방식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268명의 유효표본을 획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수원시민 장소애착에 대한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애착정도에 따라 그룹명은 ‘저애착’, ‘중애착’, ‘고애착’으로 명명하였다.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세 개의 하위유형을 결정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집단 간 연령, 수원거주년도, 수원화성문화제 참여횟수, 만족도, 축제성과 인식 및 재방문의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유산 관광객의 가치형성 요인 분석

        송화성,조경신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tributes and benefits on place val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sual relationships in the value formation of heritage tourists by using the Means-End Chain theory. Assessment of value perception was done at Suwon Hwaseong Fortre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done on survey data obtained from a sample of 656 tourists. As a result, the tourism benefits of daily escape, health promotion, and social bonding based on walking amenity attributes, as well as experiential benefits including experiential attributes, were perceived as visit benefits, ultimately confirming visitors’ pursuit of recreation,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aesthetics, and education value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strengthen walking amenities such as the control of crowding and course stability.

      • 라이프스타일이 농촌어메니티자원 선호 및 농촌관광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송화성(Song Hwa-Sung),박석희(Park Suk-Hee)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06 농어촌관광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 effect among the users' lifestyle, preference for the rural amenity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activity and figure out the implication for revitalization of the rural touris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Boramae Park and Uldong Park as the survey sites to obtain the citizens' various characteristics. Total of 475 samples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analyzing data,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Ver. 12.0.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 for rural amenity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activity have a correlation and causality. For the future study, however,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attributes of the destination focusing on the rural amenity resources and rural tourism activity.

      • KCI등재

        연구논문 : 축제 방문객의 장소애착 수준별 집단 특성 분석 -수원화성문화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송화성 ( Hwa Sung Song ),윤자연 ( Ja Yon Yu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기존 문화관광축제의 양적 평가체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축제 방문객의 장소애착 수준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각 시장별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준의 장소애착 집단의 경우, ‘방문객 참여 증진’의 요구가 강하게 나타나 수원에서 장기거주하며 축제와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특성으로 인해 장소에 대한 개인 차원의 만족에서 나아가 외부에까지 애착의 범주를 확대함을 짐작할 수 있었다. 애착수준 ‘중’ 집단은 ‘철저한 품질 관리’에 대한 요구가 크게 나타나, 축제 전문가로 주로 구성된 특성으로 인해 다른 집단에 비해 축제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애착수준 ‘하’ 집단의 경우는 축제 첫 방문객으로 구성된 탓에 세 집단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관광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선’ 이외에 특징적으로 나타난 요구사항이 없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detail and actual needs per each market by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standard of place attachment of festival visitor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to complement quantity assessment structure of existing festivals. As a result, concerning the group with high standard of place attachment, it was assumed that the group expanded the range of attachment to outside from personal attachment with the place because of their characteristics having various experiences with festivals during their long residence. Regarding the group with moderate standard, it was indicated that original quality of festival was more discussed than other groups because most of the members were festival experts. For the low group, most members have been to festival for the first time so no particular characteristic was shown other than ‘improvement of travel service and program’ which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thre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