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작공간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6개 창작공간의 이용자를 중심으로

        송혜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past, our country's highly rapid economic growth led to a sudden and excessiv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in this background, our society was overflowing with an atmosphere in which people value materialistic satisfaction above everything else. However, as our country achieved a decent level of social and economic growth, people became interested in good quality of life, which led to the current tendency for people in general to pay attention to culture. Almost all the municipal governments, as if to reflect these needs of their citizens, began to plan local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competitively, starting to expand their policies and business based on culture. This is not a phenomenon restricted to our country, but rather can be seen as a global trend of taking interest in culture and actively taking advantage of it. Recently, there is a widespread tendency to provide space for creating art work to artists by turning idle space into culture space. As a result, the so-called art space that enables artists to secure stable workspace and thus to concentrate on art activity is under the eye of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artists in art space and citizens who use art space, and to work out policy based on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 surve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carried out in 6 art space in Seoul (Seogyo, Geumcheon, Yeonhui, Mullae, Seongbuk, Gwanak) for using the art space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survey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tic fram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n artis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space and facility comfort in art space on the part of the artists. It can be analyzed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each art space in Seoul was opened in 1-2 years, and a manager who take care of facility was assigned at every art space, thus the artists could enjoy pleasant surroundings, leading to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the survey on interaction between artists themselves, and between artists and citizens respectively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The reason why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interaction area is important is that the majority of artists considered interaction between artists to be the purpose of moving into art space, and quite many artists said they chose art space to interact with citizens as well. By this, it could be seen that artists wanted to interact lively through art space. Therefore, it seems that ways of vitalizing interaction which is in low level should be found. The survey on citizens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space and facility comfort, but it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raction with artists,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survey on artists. Meanwhile, artists and citizens showed their strong will to take part in art space. To be specific, artists showed their strong will to take part in the operation of art space, and citizens showed their strong will to participate in the use of art space, so it can be construed as a positive phenomenon in the development and invigoration of art space.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run art space that users can be satisfied with, and further to operate a customer-oriented policy. It is difficult for culture to work out as expected with short-term investment, so long-term and lasting support should serve as the base for future achievement. For this reason, the authority concerned sometimes makes a mistake of ending up as a mere display in the process.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citizens need in making policy to minimize such errors. Considering that artists' and citizens'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in the area of cul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as carried out from a user's perspective. ※ Keywords : Customer Orientation, Customer Satisfaction, User Satisfaction, Art Space, Seoul Art Space 과거 우리나라의 압축적인 고도성장은 급격하고 과도한 도시화, 산업화로 이어졌고,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사회는 전반적으로 물질만족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그러나 경제·사회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성장을 이루게 되면서 사람들은 윤택한 삶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이는 문화에 주목하는 현재의 모습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시민들의 욕구를 반영하듯 도시정부들은 앞 다퉈 지방축제, 이벤트 등을 기획하였고, 문화를 키워드로 한 정책 및 사업을 확대해나가기 시작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에 국한된 상황만은 아니며,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활용하는 이러한 경향은 세계적인 추세라고 볼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유휴공간을 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예술인들에게 작품 활동의 공간을 제공하고, 예술인들은 안정적인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품 활동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하는 창작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창작공간 내 활동예술인과 이용시민을 대상으로 창작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결과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만족 정도와 취약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는 서울시 창작공간 여섯 개(서교, 금천, 연희, 문래, 성북, 관악)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루어졌으며, 창작공간 내 활동 예술인 및 이용시민들을 대상으로 창작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틀에 따라 분석된 연구를 요약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예술인들을 대상으로한 만족도 조사 결과 예술인들은 창작공간의 공간·시설쾌적성 부문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 창작공간의 개관이 1-2년 내에 이루어졌고, 공간마다 관리인이 배치되어 시설관리를 맡고 있었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이 높은 만족도로 이루어 진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작가 간 교류, 작가와 이용시민 간 교류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조사된 교류 부문에서의 만족도는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교류부문의 만족도 결과가 중요한 것은 창작공간 입주 목적에서 예술인들의 가장 많은 수가 작가간의 교류를 목적으로 꼽았으며, 뿐만 아니라 시민들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입주했다는 의견 역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예술인들은 창작공간을 통해 활발한 교류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다소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 교류부문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용시민들을 대상으로한 만족도 조사에서 역시 공간·시설쾌적성 부문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작가와의 교류 부문에서 만족도는 가장 낮게 나타남에 따라 예술인들의 만족도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예술인들과 이용시민들은 창작공간에 높은 참여의지를 보였다. 예술인들은 창작공간 운영에, 이용시민들은 창작공간 이용에 높은 참여의지를 보임으로써 이는 창작공간 활성화 및 발전에 있어 긍정적인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다면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창작공간의 운영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창작공간의 고객지향적인 정책 운영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화는 그 특성상 단기적인 투자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성과로 나타나기까지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문화정책의 시행 과정에서 전시성(展示性)에 그치는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했다.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책과정에 있어 시민들의 만족도 및 요구를 파악하는 과정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에 덧붙여 문화영역에서 예술인과 시민들의 자주성은 최대한 존중받아야 한다는 주장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주 요 어: 고객지향, 고객만족, 이용자만족, 창작공간, 서울시 창작공간

      •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30~40대 기혼여성의 자기이해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송혜진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30∼40대 기혼여성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어떻게 자기이해의 경험을 해 나가는지, 그것이 주는 실존의 의미와 본질을 해석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의 취지를 알리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M시의 30∼40대 기혼여성 5명으로, 연구내용을 재차 알리고 동의한 참여자이다. 이들에게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10회기에 걸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종료 3개월 후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매 회기 집단에서 야기된 역동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의 주제가 끝나고 난 후 수퍼비전을 통해 다음 회기가 정해졌고, 모든 미술작품은 사진으로 기록 보관되었으며, 현장노트와 녹취된 내용은 전사되었고, 연구자의 현장노트를 작성하여 이러한 인공물을 통해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30-40대 기혼여성의 삶속에서 이해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야기되었다. 이들은 모두 ‘관계맺음을 갈구하였고’, ‘현재는 과거와 연결되어 있었으며’, 자신의 모습이 ‘집단을 통해 나를 보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는 내담자의 삶에 공명을 주었고’, ‘머리로 안 사실을 가슴으로 수용하기는 두렵고 힘들다’고 하였다. 그러나 집단원들과 함께 하는 집단 경험 속에서 ‘용기는 나를 이해시킨다’는 경험을 하였고, ‘나도 모르게 편해진 내 마음을 보다’라는 7개의 경험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언어로써 표현할 수 없는 그 이상의 것들을 작품으로 상징화 하고 시각화함으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자기를 수용하는 등 미술치료의 효과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의 선입견을 변화해 나갔다. ‘참여자들이 연구자 자신이 경험한 동일한 문제들로 고민하고 있을 것’이고, ‘집단미술치료가 종결되었을 때 효과가 있을 것’이며, ‘자신을 더 깊이 알아가면 자기이해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선입관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나의 방식과 인식대로 상대로 보았고’,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면 자기이해를 통해서 자존감도 높아질 것이라는 사고는 ‘척도지상의 수치로는 자기이해의 여부를 수량화 할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았다. 그리고 자기이해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치료 장면에 오지 않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이해의 과정’이고, ‘집단은 위험성도 있고 좋은 것도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치료자 자신의 역전이와 투사를 알아차리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결국 ‘자기 이해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가 연구자에게 주는 의미는 해석학적 탐구방법을 통해서 연구자 자신의 주관적 생각과 틀을 내려놓는 귀중한 시간이었고, 인간존재의 의미를 묻고 자기이해가 관계에 있다는 가치를 발견하는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how married women between 30∼40 years old experience self-understanding through group art therapy, the provided meaning and nature of existence. For this study, five married women between 30∼40 years old of M-shi have participated. Further, the participants have made consentment and been provided with the contents of this study repeatedly. Total ten times of group art therapy have been carried out on them from March to May in 2014 then they have received personal interview three months after the therapy. Group art therapy has been carried out centered at retro-actions from the group for each session. The next session schedule has been set through supervision after the end of topic of each session and all the art works have been recorded as pictures. In addition, site note and records have been transcribed. Further, researcher has prepared site note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interpretive study by using artifact. There have been seven experiences of self understanding of married women between 30∼40 years old through their life and they are as follows. All of them have shown desire for 'making relationship', 'connection between present and past' and experience in 'seeing themselves through their groups'. Further, they have reported that 'art therapy has given us with resonance' and 'it is fearful and hard to accommodate the knowledge of head by mind'. However, they also have reported 'courage gives me understanding' from group experience with the participants and 'I have become comfortable involuntari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understood themselves through symbolization and visualization of things, which cannot be expressed through language, through art therapy. Further, they have shown self acceptance. Researcher of the present study has supposed the following stereotypes including ‘All of the participants maybe concerned with the same problems of researcher’, ‘ Group art therapy will take positive effects on the concerns’, ‘Higher level of self-understanding will contribute to better self-understanding’. There have been, however, changes including 'I have looked the others through own way and perception' and the idea that self esteem will be improved through self-understanding through group art therapy has changed to 'The status of self-understanding cannot be quantified by using scale-oriented figure'. Further, it has been found that 'Not coming to therapy is also part of meaningful understanding' and 'Group therapy has both risk and merit'. Further, 'therapist needs to put own efforts continuously on figuring out counter-transference and projection' and 'Self understanding is inside relationship'. This study has been a precious opportunity for the researcher to leave subjective thought, framework an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 self-understanding.

      • 히스테리와 욕망으로 본 현대미술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경험에서 비롯된 작업에 관한 연구 논문으로, 본인 작업을 정신분석학의 '히스테리'와 '욕망'의 개념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설치작품과 회화작품의 제작 과정 및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미술은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되었다. 인류 문명 초기에 미술은 주로 주술적, 기록적, 상징적 행위로 사용되었으나 그 의미는 점차 넓어져 현대에 와서는 정치,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주제에서부터 자전적 경험을 다루는 분야까지 광범위하다. 그 중 개인의 자전적 경험은 현대 미술에서 빈번히 다루어지는 주제인데 현대 작가들은 개인의 성장과정에서 얻어진 사고와 경험을 자신만의 시각적 언어로 조형화한다. 구체적으로, 성장 과정 중 유년기 시절 기억과 당시 타인과 관계 및 의사소통에서 비롯된 좌절, 그로 인해 생겨난 결핍 등은 개인의 창작에 큰 영향을 준다. 본인 작업 또한 어릴 적 경험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제작된 작업은 정신분석학적 이론인 히스테리와 욕망이론을 통하여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비교 및 고찰될 수 있었다. 먼저 본 논문에서 살펴볼 히스테리는 역사적으로 19세기 여성들에게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히스테리컬한 여성들은 당시 팽배해 있던 '가부장적 세계관' 속에서 문제로써 비추어졌다. 즉 히스테리는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페미니즘의 관점을 동시에 가진다. 더불어, '히스테리컬하다'는 표현은 예술적 표현, 유혹, 과도한 욕구 등의 수식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히스테리는 어릴 적 외상에 의한 환상이나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논의할 '욕망'은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단어로, 심리학자 라캉은 '욕망'을 인간의 본질로 보았다. 그는 욕망 이론에서 욕망은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재생산하는 것에 있다고 보았으며 자신의 욕망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거울단계와 상징계의 진입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렇게 본인의 작업에 표현된 어릴 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기인한 심리적 불안과 욕망은 정신분석학적 개념인 '히스테리'와 '욕망'에 연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본인은 정신분석학적 이론들을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하면서 작품에서 표현되는 히스테리, 가부장적 분위기 속에서 나타나는 부모와의 관계, 자신의 욕망에 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논문을 통해 작품에서 주로 나타나는 반복적 형태 색채의 특징 그리고 특정한 재료의 사용 등 작업 속에 표현된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작품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과 형식을 통해 작품 제작을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본인은 에바 헤세(Eva Hesse, 1936-1970)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를 선행 작가로 선택하였고, 히스테리와 욕망이론을 통해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각각 어릴 적에 잊지 못할 외상적 경험과 어머니와 남다른 관계를 가졌다. 그들은 상상계에서 어머니와 동일시하는 경험을 하였고 그러한 경험은 작업에 반영되었다. 본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삶의 경험을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고찰하며 결과적으로 작품 안에 내재된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 논문에서는 작업에서 나타난 정신분석학적 개념의 히스테리, 상상계 분리화 과정, 그리고 욕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위 개념들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품을 해석함으로서 작업에서 표현된 내용들과 선행 작가들의 작품과의 연결성을 찾고자 한다.

      •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 모음집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 치료 활동들을 4가지 카테고리, singing, Songwriting, Movement, Instrument Playing 의 방법에 따라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의 과잉행동과 충동조절에 초점을 맞춰 활동을 계획하였다.

      •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재료사용 현황과 발전방향

        송혜진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흐름은 제1차 교육과정 시기에 서구의 미술교육사조를 처음으로 도입한 이래로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고 삶을 창의적으로 향유하며 미술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최근 미술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와 용구 또한 그 종류와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실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미술재료들을 보면 큰 변화가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창의적인 미술교육을 위한 재료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와 교육환경,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교과서에서 제시된 학생작품들의 재료 사용을 알아보고 어떠한 재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미술교육과정에서의 재료 사용과 창의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7종의 미술교과서의 재료를 3가지 자연물, 재활용품, 기성재료로 나누어 학생작품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 표현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재료에 따른 작품 사례들을 보며 다양한 재료에 따라 표현기법들이 다르고 작품들의 느낌이 달라진다. 3장에서는 2007년 개정 미술 교과서의 재료사용 분석을 하였다.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재료를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을 하고 각 영역에서 어떠한 재료들을 많이 사용하는지 통계를 내어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교과서 재료 활용은 어떻게 다른지 일본과 미국의 미술교과서의 재료분석을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미술교과서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모색하였다. 미술교과서의 재료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에는 어떤 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수업지도 개선방안을 모색해 학습자들의 미술교육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더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개선방안들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료 사용현황에 발전방향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영역별 재료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둘째, 미술교과서와 지도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적절한 재료 사용 및 활용 이해와 안전 교육이 제시되어야한다. 넷째, 자연과 친근한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런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다양한 재료 수업의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시대에 맞는 탈재료화 시도를 확대하고 재료에 대한 조사와 교사와 학생의 적절한 재료 사용 및 활용 이해의 교육이 필요하다. 다양한 재료의 수업을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발현하게하고 더 나아가 미술을 통해 사화와 소통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돕고 인재를 키울 수 있는 과정으로 발전시켜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구와 활성화를 위해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The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art in middle school has had diverse changes due to art educational trends in the west and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1st curriculum perio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t aimed to nurture students with all-around personalities who can understand subjects with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uition, enjoy life creatively, and inherit and develop art. Recently, the materials and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art class have developed a lot in type and quality. However, there is little significant change in the art materials which are presented in real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rt programs. From this perspective, new attemp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s in materials for creative art education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materials used in students' art works presented in existing textbooks and speculated on the current status of what materials are used most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se materials. Chapter 2 analysed the use of materials and the creative expression presented in the present art curriculum. The materials in seven different kinds of art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types: natural, recycled and ready-made to analyze students' art works and their creative expression. In looking at art works made with different materials, art works created using different materials give different feelings respectively. Chapter 3 analysed the use of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art textbooks. The materials in the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were divided according to area and what materials were used the most were presented with statistics using tables and graphs. Also, presented was how different materials are used in art textbooks in our country and in other countries, and materials in art textbooks in Japan and the U.S.A. were analysed and compared. Chapter 4 looked at the problems in art textbooks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problems with materials presented in art textbooks, and ways to overcome them. Then methods to improve teaching and education were researched to help students concentrate on art education further and have better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developmental strategies in the use of materials: First, the materials in each area should be diverse. Second, art textbooks and teaching manuals should be improved. Third, education on the use of appropriate materials and safety in their use should be presented. Fourth,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hould be used. To activate art class through using creative and diverse materials, de-materialization should be expanded, and a survey for materials and education on the use of appropriate materials for art class is needed. An art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nurture creativity through using diverse materials in which students can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be healed, and research on more effective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

      • 보존기록관 웹사이트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 사용편의성을 중심으로

        송혜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rchive provides archive service through the web site according to purpose of practical using in archives. Basis on that,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find out way of designing web site to meet web site visitor’s usability. Since usability of using archive can be an essential strategy to success of web site, I would like to provide following scheme as knowing this phenomenon. Also I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convenience in web sites U.K.’s TNA(The National Archives), U.S.A's NARA(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and N.A.K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alyze elements are based on general comments. The elements are interface, system contents, navigation and searching system. To make this Web site be more serviceable, Web 2.0 is selected as it has technological advantage. As a result, TNA is designed as having convenience in visualization, recognizing and transfer. NARA is having a strong point in access to information however depth of class structural form is not fit to Korean web styl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not only providing information but also specializing in Web site. On the other hand, since information Architecture systematization is not quite satisfied, there is inconvenience about transferring information and prediction. Likewise in the thesis, I arrange the elements of advantages from Web site visitor’s view.

      • 이산화티타늄과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의 제작공정 및 가스센서 응용연구

        송혜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제조, 수송, 저장, 이용 등의 전 과정에 걸쳐 센서의 사용일 필수적이다. 다양한 가스 중에서 수소가스는 연소 및 연료전지 물질, 미래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수소를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는 대기 중 농도가 4% 이상일 경우 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소의 이용을 위해서는 가스센서의 사용은 불가피하다.[1,2] 가스 센서 중에서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가스에 대한 감도가 높고, 빠른 응답속도,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수소와 같은 가연성 가스의 검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다양한 가스분위기에 따라서 변화하는 금속산화물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다.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과 같은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가스센서의 제작은 이미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들 물질을 이용한 가스센서는 높은 감지특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불안정성, 선택성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은 여전히 풀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3-5] 이산화티타늄(TiO2)은 열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이며, 최근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수소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여 가스센서를 제작하는 방법에는 스퍼터링(sputtering), screen printing, 티타늄 plate의 열 산화 및 양극산화등과 같은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6-9] 특히 양극산화 법을 이용하여 나노구조의 이산화티타늄 튜브를 제작, 수소에 대한 높은 감지특성은 보고됨으로써, 이산화티타늄의 수소센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리적기상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중 하나인 스퍼터링(sputtering)은 우수한 재현성, 필름의 두께조절이 용이하고 함께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갖는다. 또한 스퍼터링은 evaporation과 같은 다른 PVD법에 비해 우수한 step coverage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이산화티타늄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10] 탄소나노튜브는 대표적인 나노물질로서 넓은 비표면적을 갖는 물질이다. ‘In-situ arc discharge'법으로 기판위에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할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넓은 비표면적과 함께 porous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1] 본 실험에서는 스퍼터링 법과 이후의 산화공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타늄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또한 이산화 티타늄이 갖는 수소 가스에 대한 높은 반응성과 탄소나노튜브의 구조를 이용하기 위해서 in-situ arc discharge법에 의해서 기판에 제작된 탄소나노튜브를 형틀(template)로 사용하여 나노 구조를 갖는 이산화티타늄과 탄소나노튜브의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후의 산화공정을 통해 센서 물질로 사용될 이산화티타늄 필름과 나노구조의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이산화티타늄 필름과 나노 복합체의 수소가스에 대한 반응성을 확인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수소가스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Role of a spliced ZNF268 in TNF-α-induced NF-κB activation

        송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NF-α-induced NF-kB activation plays a key role in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The IKK complex, consisting of two catalytic subunits, IKKα and IKKβ, and a regulatory subunit NEMO, plays major roles in signal-dependent activation of NF-kB. In an effort to identify additional components of IKK complex, we previously isolated the splice variant of ZNF268 as a novel IKK-interacting protein. ZNF268 is a protein of an exceptionally long repeated domain containing 24 C₂H₂ zinc finger motifs. Here, I show that only expression of zS4 (spacer/first 4 C₂H₂ repeats) is sufficient to increase the NF-kB transcriptional activity. A series of truncated mutants containing only 4 C₂H₂ repeats were generated. Upon stimulation by TNF-α, C₂H₂ #8 (amino acids 838 to 942) significantly enhances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B. Furthermore, the results of in vitro kinase assays revealed that the truncated mutants modestly increased the IKK activation. Particularly, the N-terminus of ZNF268s mainly increases IKK activity.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lice variant form of ZNF268 plays a positive role in TNF-α-induced NF-kB signaling pathway.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a, TNF-a)에 의해 유도되는 NF-kB의 활성화는 선천성 면역 반응 혹은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F-kB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IKK complex는 700-900 kDa의 단백질 복합체로서 core protein은 IKK α, β, γ의 3 가지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IKK complex의 구성 단백질을 찾는 것은 NF-kB 신호전달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앞선 논문에서 immune-affinity proteomic 방법으로 IKK complex의 또 다른 구성 단백질인 zinc finger protein 268 (이하 ZNF268)를 새로이 찾아 보고한 바 있다. ZNF268은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N-말단은 kru‥ppel-associated box (KRAB) domain이 없고, C-말단은 2개의 cysteine과 2개의 histidine이 24번 반복되는 구조를 갖는 단백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zS4 (spacer/first 4 C₂H₂ repeats)의 발현만으로도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가 증가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TNF-a 자극을 주었을 때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의 증가가 더욱 증폭되었다. 이는 ZNF268이 NF-kB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ZNF268의 24개의 zinc finger motifs 중 각각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와 IKK activity에 관련 있는 부분을 찾기 위해 ZNF268을 C₂H₂가 4번 반복하도록 8개의 fragment로 나눠서 cloning하였다. TNF-a 자극에 따라 8번 째 4-C₂H₂ fragment에 의해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8개의 4-C₂H₂ fragment 중 C₂H₂ #2, C₂H₂ #3이 IKK activity를 증가시킴을 보았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IKK complex의 구성 단백질로 찾은 ZNF268이 TNF-α 자극에 의한 NF-kB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혜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중 학교생활 부적응의 문제를 안고 있는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함으로써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에게 부적응학생의 학습태도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지도 방안과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 학생의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새빛시 소재 한울초등학교(가칭) 5학년 1개 학급(30명)을 대상으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프로젝트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중 학교생활 부적응학생 3명을 대상으로 집중 연구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 관찰, 비구조화 반구조화 된 질문을 통한 심층면담, 포트폴리오, 사진, 일기, 녹화 등의 방법으로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변화 과정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활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 학생의 학습 태도 중 학습 적응력 신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젝트 활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 학생의 학습 태도 중 친구와의 협력관계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활동은 초등학교 고학년 부적응 학생의 학습 태도와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기업지배구조가 감사인선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지배구조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송혜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감사인선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기업지배구조가 감사인 교체의 유인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기간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계속 상장된 기업 중 기업지배구조센터(CGS)의 평가점수가 있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먼저 기업지배구조는 감사품질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이 관찰되었다. 기업지배구조의 대용변수인 지배구조 평가점수가 높을수록 고품질의 감사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 교체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 교체는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관찰되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 교체방향에 대한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할 경우 하향교체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감사품질 그리고 감사인 교체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영향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를 측정함에 있어 단편적인 대용변수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 아니라 보다 객관적인 지표인 기업지배구조센터(CGS)의 평가점수를 대용변수로 기업지배구조를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평가점수를 사용함으로써 기업지배구조의 대용변수 선정에 대한 향후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 공헌점을 가진다. This study examine whether or not corporate governance choose high quality audits. Also,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i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or change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3,540 firm-years)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4-2009.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xy of audit quality. This mean that firms with a high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are more likely to hire high quality auditors. Second,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show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variable of auditor changes. This mean that firms with a low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have a tendency to easily change the auditor. Also, we foun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auditors changes from higher-quality auditors to lower-quality audi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ms with low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index may change auditors to more lenient one who allow managers to exercise their discretion to manage income opportunistically. This research make a contribution in the aspects of proposing the influence of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empirical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quality, auditors changes. Also, this research used the measurement index of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o objectively measure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compared with prior researches. In summary,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importance of transparent corporate governance to the regulators and Auditor to pay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