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산 활엽수 특성에 맞는 목재건조 기술 개발(Ⅰ)

        송주훈 ( Joohoon Song ),유근복 ( Geunbok Yu ),김준호 ( Junho Kim ),강석구 ( Seoggu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2018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산림청, 2019)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산 원목 중 가장 많이 이용된 원목은 참나무류(13.4%)로 발표되었으며 주로 목재칩, 목탄 및 목초액, 표고버섯 재배업에 이용되고 있음. 이러한 실태의 원인은 국내의 주요 수종이 활엽수종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운 부분이 가장 크며, 가공기술이 부족하여 고부가가치화하기 어려운 점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참나무와 활엽수 건조에 특화된 건조설비 제작과 수종별 건조스케줄을 개발하였다. 또한 참나무류 건조시간 단축을 위한 건조스케줄의 개선을 수행하였다. 건조기의 설비형식은 상부송풍형이며, 내부규격은 35㎥, 지게차 입출로 방식으로 전자동제어, 컴퓨터연동 모니터링 제어, 프로그램방식으로 운영된다. 건조가 가장 까다로운 국내산 참나무의 건조에서 균일한 함수율, 안정된 건조목 품질과 빠른 건조속도를 나타내었다. 목재의 두께는 33∼100㎜까지의 활엽수를 건조하고 있다. 천연건조 후의 함수율에 따라서 적정 건조스케줄을 개발하였으며, 수축률, 함수율, 굽음, 할렬을 측정하여 수종별로 비교하였다. 대상 수종은 참나무류, 자작나무, 벚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박달나무, 오동나무를 사용하였다. 건조온도는 초기함수율, 수종, 두께에 따라 65∼77℃를 적용하였으며, 소요시간은 8일∼17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국산 활엽수 특성에 맞는 건조기 제작과 건조스케줄 개발로 할렬예방과 건조시간 단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전시-P-04 > 국내 유통 목재의 수종 식별

        송주훈 ( Joohoon Song ),양원모 ( Wonmo Yang ),전우석 ( Wooseok Jeon ),이현미 ( Hyunmi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목재가구센터에서는 목재 및 가구분야 KS·KC인증, 조달검사, 환경마크 등과 공인시험과 검사업무, 목재분야 조달 전문검사기관 지정 검사업무 기관으로서 R&D 연구과제 등을 주요사업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목재의 해부학적 관찰을 통해 수종감정 실시하고 있다. 목재 수종감정은 목재를 용도에 맞게 이용하기 위한 기본사항으로, 목조 건축물, 문화재 수리·보수를 위한 수종확인, 목재 활용 적합성 및 수입 금지목재 판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목재 수종감정 결과의 추이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목재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종감정을 위해 목재 3단면을 활주식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으로 20∼25㎛ 두께의 절편을 제작한 뒤, 1% 사프라닌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염색된 절편을 알코올 시리즈(50%, 70%, 90%, 95%, 99%)로 탈수 후, 봉입제를 이용하여 영구프레파라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영구프레파라트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3단면 관찰한 뒤, 수종식별을 실시하였다. 수종식별 결과, 주로 활엽수재로 진자우드(Gindja udu), 방킬라이(Bangkirai), 아피통(Apitong), 멀바우(Merbau), 바스라로커스(Basralocus), 시우리(Siuri), 메란티 바투(Meranti batu), 자토바(Jatoba), 부켈라(Burckella), 마사란두바(Masaranduba), 이페(Ipe), 꾸마루(Cumaru), 빨라피 바투(Palapi batu), 꾸메아(Kumea), 울린(Ulin), 메이플(Maple), 오크(Oak), 그라피아(Grapia), 모말라(Momala), 딜레니아(Dillenia) 및 네둠(Nedum) 등이, 침엽수재로는 더글라스 퍼, 적삼목, 낙엽송 및 뉴송 등이 식별되었다. 주요 국내 유통 수종의 식별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수종감정을 진행하여 국내 주요 유통 목재의 현황 및 신규유입 수종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실내공기질관리에 따른 목질판상제품의 VOCs측정 현실화 연구

        송주훈 ( Joohoon Song ),신승훈 ( Seunghoon Shi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대기 중으로 휘발되어 광화학 반응을 통해 미세먼지 및 오존으로 전환, 대기 중에 정체되어 미량으로도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질판상제품의 경우 TVOC 측정시 목재 고유의 휘발성분으로 인해 기준치 이상의 값이 측정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환경표지인증(EL723. 목재 성형 제품) 취소 등 불이익이 발생하고 있다.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 또한 대폭 강화되고 기준 항목이 세분화되고 있으며, 22년 1월부터 TVOC 방출량 기준을 0.8 mg/㎡h에서 0.4 mg/㎡h로 낮추면서 실내에서 목재제품이 사용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위 제도들은 목재 기반 천연휘발성유기화합물을 고려하지 않아 불합리하므로 TVOC가 아닌 목재제품에서 유래되는 VOC를 제외한 인체에 유해한 VOC만을 산출하는 합리적인 새 기준을 마련하는 목적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기준 관련 과학적 데이터 확보를 위한 목재 과학 및 산업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 국내 유통 목재의 수종 식별Ⅱ

        송주훈 ( Joohoon Song ),전우석 ( Wooseok Jeon ),이현미 ( Hyunmi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2

        한국건설생활환경실험연구원 목재가구센터에서는 목재 및 가구분야 인증, 공인시험 및 R&D 연구과제 등을 주요사업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목재의 수종감정을 실시하고 있다. 목재의 수종감정은 목재를 사용함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다. 특히, 목조 건축물이나 문화재의 수리·보수, 목재 활용 적합성 및 수입 금지 목재 판별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 수종감정 결과를 통해 국내에서 유통 되고 있는 수종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종감정을 위해 목재의 횡, 방사, 접선단면을 활주식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을 이용하여 20∼25㎛ 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였다. 절편을 1% 사프라닌을 이용하여 염색한 뒤, 영구프레파라트를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수종식별은 국립산림과학원 목재표본실에 보유하고 있는 재감 및 문헌들과 대조하여 확인하였다. 수종식별 결과, 울린(Ulin), 타운(Taun), 레드오크(Red oak), 아조베(Azobe), 아스펜(Aspen), 라우로 베르멜호(Lauro vermelho), 엘더(Alder), 유칼립투스(Eucalyptus), 메란티 메라(Meranti merah), 셀랑간 바투(Selangan batu), 모말라(Momala), 멀바우(Merbau)로 확인되었다. 지속적인 수종감정을 진행하여 국내 주요 유통목재의 현황 및 신규유입 수종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건조효율 평가

        송주훈 ( Joohoon Song ),신지훈 ( Jihoon Shin ),강석구 ( Seoggu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효율을 토대로 Pilot scale로 규격을 확대하였을 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조기의 내부용적 크기를 1,000㎜(W) × 1,500㎜(L) × 1,000㎜(T)로 확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벽체 두께를 50㎜로 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30㎜로 하고 외벽과 내벽에 사용되는 목재는 10㎜로 재단하여 결합하였다. 내부에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와 동일하게 흡습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칸막이를 제작하였다. 건조 열원으로는 원적외선히터 2kW 2개와 전기난방 보일러를 설치하여 운용하였다.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하여 팬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의 풍속이 1.5㎧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제작된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 내부에 국산 참나무류 제재목 판재 110㎜(W) × 900㎜(L) × 33㎜(T) 60개를 Lab scale과 동일한 용적률로 투입하고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와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건조스케줄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건조효율 평가

        송주훈 ( Joohoon Song ),신찬웅 ( Chanung Shin ),강석구 ( Seoggu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효율을 토대로 Pilot scale로 규격을 확대하였을 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조기의 내부용적 크기를 1,000㎜(W) × 1,500㎜(L) × 1,000㎜(T)로 확대하여 실험을 실시 하였다.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의 벽체 두께를 50㎜로 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30㎜로 하고 외벽과 내벽에 사용되는 목재는 10㎜로 재단하여 결합하였다. 내부에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와 동일하게 흡습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칸막이를 제작하였다. 건조 열원으로는 원적외선히터 2kW 2개와 전기난방 보일러를 설치하여 운용하였다.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하여 팬을 설치하여 건조기 내부의 풍속이 1.5㎧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제작된 Pilot scale 바이오 건조기 내부에 국산 물푸레나무,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산벚나무, 느티나무를 Lab scale과 동일한 용적률로 투입하고 Lab scale 바이오 건조기와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건조스케줄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 전북지역 수도수 중 잔류 알루미늄에 관한 연구

        임제빈,이희보,송주훈 全北大學校 附設 都市및環境硏究所 1995 都市 및 環境硏究 Vol.10 No.1

        In our country,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dopted the WHO standard from December 1993. However, the standards have not been monitored carefully throughout the province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luminum on people's health and management of cleaning bed. In this research, we measured Al in raw and treated water of major cleaning beds of chonbuk province and got the situation of contamin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nge of the aluminum concentration in row water is from ND(non-detected) to 0.08㎎/ℓ, to average is 0.03㎎/ℓ, and it is the highest figure at 0.08㎎/ℓ in Wal-Iock bed of Nam-Won district. 2. The major concentration extent from ND to 0.009㎎/ℓ, ranks 35% and its average is 0.07㎎/ℓ. 3. When we analyzed the aluminum concentration over the passage of time, we found a lot of A1 in samples that were taken from P.M 10 to A.M.I. 4. There are no samples exceed 0.2㎎/ℓ which is the drinking water standard of WHO. 5. It is reveal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is 0.15㎎/ℓ in big cities whose population supplied water is more than 500,000. 6. Investigating the effect on the coagulant, we knew the factors that the residual Al concentration. In the place where no coagulant was used Al concentration is 0.04㎎/ℓ on the average. The ones using the aluminum sulfate and activated carbon is 0.09㎎/ℓ on average. So the one using Al_2(SO_4)_3 is 0.11㎎/ℓ on average. 7. The concentration fluctuate with the seasons : Jenuary is 4 times as much as July. 8. It is also connected with the other water pollution the consumption of KmnO_4, NO_3-N, SO_4^2- ect.

      • KCI등재

        Do Blebs or Bullae on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Predict Ipsilateral Recurrence in Young Patients at the First Episode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박성준,장효준,송주훈,배소영,김혁,남승혁,이준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1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2 No.2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bullae and pneumothorax recurrence is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role of blebs or bullae in predicting ipsilateral recurrence in young patients experiencing their first episode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PSP) who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Methods: A total of 299 cases of first-episode PSP were analyzed. The status of blebs or bullae was reviewed on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The dystrophic severity score (DSS; range, 0 to 6 points) was calculated based on HRCT. Results: The 5-year recurrence rate was 38.2%. In univariate analysis, age (<20 years), body mass index (<20 kg/m2), a unilateral lesion, and intermediate risk (DSS 4 and 5) were associated with recurrence. Sex; smoking history; and the presence, number, and maximal size of blebs or bullae were not related to recurrence. In Cox regression, age and intermediate risk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High risk (DDS 6) was not an independent risk factor. Conclusion: The presence, number, and size of blebs or bullae did not affect ipsilateral recurrence. DSS failed to show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and recurrence. The decision to perform surgery in patients experiencing their first episode of PSP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severity of blebs and bullae.

      • KCI등재

        Correction - 상악 완전무치악에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변재준,장은선,공대룡,송주훈,이경제 대한치과보철학회 202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61 No.1

        The article ‘The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with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using a zirconia framework: A case report’ authored by Jae- Joon Byun, Eun-Sun Jang, Dae-Ryong Kong, Joo-Hun Song and Gyeong-Je Lee, published in October issue [Vol 58, No 4]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correction. In the above article, the financial grant has been erroneously omitted, so it would be disclosed as below. Fund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2020. The article ‘The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with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using a zirconia framework: A case report’ authored by Jae- Joon Byun, Eun-Sun Jang, Dae-Ryong Kong, Joo-Hun Song and Gyeong-Je Lee, published in October issue [Vol 58, No 4]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correction. In the above article, the financial grant has been erroneously omitted, so it would be disclosed as below. Fund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2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