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parative Study of Chitosan/Fibroin-Hydroxyapatite Membrane and Collagen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on Rat Calvarial Defects : Micro CT Analysis

        송재민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골치유와 골재생은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 하나로, 골유도 재생술은 차폐막을 사용하여 섬유성 결합조직이 골결손부로 침범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신생골을 만드는 술식이다. 이러한 골유도재생술시 사용되는 차폐막은 생채활성(골유도), 생분해, 생체적합성 및 세포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유지하는 성질을 지녀야 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생체 고분자 물질중 키토산은 생체분해성, 비독성, 항균효과 및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견사는 좋은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효소가 기질에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고, 젖은 상태에서 용존 산소 투과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산화 인회석은 뼈를 구성하고 있는 무기질로 골전도 및 생체친화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체 매식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물질들을 이용하여 골유도 재생술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차폐막을 제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폴리글루코사민계 생체 고분자와 수산화인회석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과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교원질 막의 골형성능을 백서의 골결손부에서 마이크로 씨티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생성된 골 부피, 골밀도등에서 폴리글루코사민계 생체 고분자와 수산화인회석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과 교원질막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골유도 재생술시 사용되는 차폐막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복합생백신용 재조합 독감바이러스의 제조와 특성 연구

        송재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감바이러스(influenza virus)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감염에 의한 질병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복합생백신용(complex live vaccine) 재조합 독감바이러스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독감바이러스의 neuraminidase의 stalk region은 길이에 다양성이 있어 외부 단백질 삽입의 여지가 있으며 그 부분의 변이에 따라 바이러스의 약독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독감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인 neuraminidase에 외부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PCR을 이용하여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만들고 여기에 합성한 B형 간염바이러스의 epitope을 삽입하였다. 이렇게 만든 neuraminidase 유전자가 세포 내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RNP복합체를 만들어 이를 helper virus와 함께 세포 내로 도입시켰다. 여기서 만들어진 재조합 바이러스는 helper virus의 세포특이성을 이용하여 선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Plaque assay를 통해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독감바이러스만을 분리해 내었다. 여기서 삽입한 HBV의 항체인 식부위는 HBV 표면 단백질의 하나인 surface단백질의 epitope부위와 Presurface단백질의 epitope부위가 들어간 2가지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만들어 내었으며 이들 재조합 바이러스의 성장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세포종류와 배양온도, 감염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외부로부터 도입된 유전자가 바이러스의 성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재조합 바이러스의 표면에 발현한 HBV 항원을 실제로 항체가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HBV 항체를 이용하여 ELISA를 통해 확인한 결과 삽입되어진 epitope이 항체에 의해 인식 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독감바이러스의 표면당단백질의 하나인 neuraminidase의 stalk region에 외래유전자의 도입가능성과 이를 이용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백신용 재조합 바이러스의 제조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The neuraminidase(NA) molecule of influenza virus contains stalk region that shows a great deal of variability in both amino acid sequence and length. We generated a chimeric influenza viruses which contained within the stalk region 22-amino acid peptides derived from the surface and pre-surface protein of Hepatitis B virus. We successfully generated the transfectant chimeric virus utilizing the selection protocol based on the use of WSH-HK reassortant helper virus. The growth kinetics of the recombinant viruses was studied at various temperature after infection of MDBK and MDCK cells. In general, the HTWN-PreS66 virus showed higher titer than other viruses. Especially, it revealed on extreme variability in HAU, up to 1000 fold differences between 37℃ and 30℃, plaque formation wa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The virus was incubated at 37℃ had only 10 fold higher PFU than others and they had nearly same shape and size between 37℃ and 30℃. We also confirmed the presence of HBV epitopes in the chimeric viruses by ELISA assay using anti-HBV polyclonal antibody. When the ratio of recombinant virus / wild type virus was calculated by ELISA, recombinant viruses exhibited 2 fold higher values than the wild type vir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luenza virus can rescue as a vehicle for expressing foreign antigens, as a prototype of complex live vaccine.

      • 지방사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지방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겸하여

        송재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는 다양한 주체들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그 주체에는 왕이나 중앙권력자들을 포함하여 역사에 자주 등장하지 않는 일반 평민이나 지방민들, 여성 등이 있다. 이렇게 역사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주로 왕, 지배계급, 중앙권력이 주체가 된 역사를 접해왔으며 그런 역사를 국가사 내지는 민족사의 이름으로 배워왔다. 권력자들의 역사를 국가사라는 이름으로 가르치는 현재의 국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였다. 왜냐하면 그러한 역사는 학생들의 삶과 별개의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고 국사는 단순히 먼 옛날의 사실을 암기하는 과목으로 여겨지게 된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에 대한 흥미를 찾게 하고 역사와 자신의 삶을 구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것이 지방사 교육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보았다. 지방사는 국가로부터 떨어져 그 자체로서 하나의 총체적 구조를 가지는 지방의 역사이다. 지방사는 국가사에 보조적인 의미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 들어 지방사에 고유성과 독립성을 부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리고 지방사 역시 국가사나 세계사와 대등한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소개되어지고 있다.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방의 역사를 접하는 것은 자신의 삶에 보다 가까운 역사를 접하는 것인데 공간적으로 가까워진 역사는 그만큼 학습자의 삶과 가까워지고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흥미와 관심을 강조한 나머지 지방사를 역사적 사고력이 부족한 초등학교에 주로 배치하고 중등학교에서는 지방사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은 개선되어야 한다. 지방사를 배움으로 해서 역사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기를 수 있는 시기는 중등학교이며 특히 입시에 영향을 적게 받아 재량학습이 가능한 중학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사 교육을 통하여 국가사 위주의 국사교육을 보완하고 역사의식 함양이라는 역사교육의 의의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초, 중등학교의 지방사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지방사 교재와 수업 지도안을 통한 지방사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덧붙여서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지방사 교육은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지방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도록 하여 문화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것임을 밝혔다. History is formed with various members, not only kings and men of power but also the common people who rarely appear in history. Against all appearance, we have only accepted kings and men of power as main members in history and studied this history in the name of national history. Present history education which consider men of power as historic heros caused student to lose interest from history. Because it is apart from students' real life and regarded as just long time ago story. The method has researched to make students take interest in Korean history and intertwine their life with Korean history. as a result, teaching local history is regarded as one solution to make it possible. Local history is the history of local area independent from country in completen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secondary of national history, but recent researches put a characteristic and importance on it. Therefore, it also has equal gravity with nation history and global history. When we come in contact with local history on the area we live in, we can understand history closer to our life and take interest and curiosity. But, It has to be changed that the primary education focuses on interest and curiosity too much in local history class but the secondary education does not take chance to study local history. Secondary education needs local history class much more than primary education. To improv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local history education is available in secondary educ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are not under entrance exam pressure so that the teaching local history can be more practical with the field study. This research has a goal to revise national history by local history and promot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this, It is tried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researched that local history teaching method with teaching materials and lesson plans. Additionally, in 21 century, age of culture, local history education can promote recognition of local culture heritage as tourist attraction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뇌실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백질 고음영 신호의 분류와 인지 기능과의 연관성

        송재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 우리나라가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이후 노인인구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퇴행성 노인 질환인 치매는 그 중요성이 매우 대두되고 있다. 치매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치매 중에서도 가장 유병률이 높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의 위험인자와 생체지표(biomarker)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노인의 뇌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관찰되는 백질 고음영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의 증가는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및 환자의 인지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다. 최근, 뇌실 표면에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백질 고음영 신호(WMH)의 발생 기전이 다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백질 고음영 신호(WMH)가 뇌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이 대두되었다. 백질 고음영 신호(WMH) 위치에 따른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 일관된 결과는 없다. 본 연구는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과 뇌실 표면에서부터의 거리에 따라 분류된 백질 고음영 신호(WMH)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분류된 백질 고음영 신호(WMH)가 알츠하이머병의 예측인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 총 28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정상 인지군이 112명이고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이 171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CERAD 신경심리검사와 뇌 자기 공명 영상(MRI) 검사를 실시하였다. NINCDS-ADRDA 진단 기준에 따라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을 선정하였고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대조군으로 정상 인지군을 선정하였다. 뇌 자기 공명 영상(MRI)에서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을 측정하고 뇌실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뇌실곁(juxtaventricular), 뇌실주변(periventricular), 심부(deep) 백질 고음영 신호(WMH)로 구분하였다. 뇌실곁 백질 고음영 신호(juxta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JVWMH)는 뇌실 표면에서 3mm미만의 거리에 위치하고 periventricular caps와 halo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정의하였다.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PVWMH)는 뇌실 표면에서 3mm이상 13mm 미만의 거리에 위치한 부분으로 정의하였으며,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eep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DWMH)는 뇌실 표면에서13mm 이상 떨어진 부분에 위치한 백질 고음영 신호(WMH)로 정의하였다.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 값을 정규분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log 변환(logarithmic transformation)하였으며, 뇌실곁 백질 고음영 신호(JVWMH) 용적,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PVWMH) 용적,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WMH) 용적도 log 변환(logarithmic transformation)하였다. 알츠하이머병의 연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 및 그 위치와 각 신경심리검사 수행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선형 회귀 분석(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은 평균20.7±18.2ml로 정상 인지군의 6.8±8.1ml보다 컸다(p<0.001, t-test). 알츠하이머병의 연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결과,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 비율 log 값의 승산비(odds ratio)가 5.967(95% confidence interval [CI]=1.550-22.986)로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이 10배씩 증가할수록 알츠하이머병 위험은 5.967배 증가하였다.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PVWMH) 용적 비율 log 값의 승산비(odds ratio)는 4.021(95% CI=1.592-10.156)로 백질 고음영 신호(WMH)와 유사하게 알츠하이머병 위험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WMH) 용적 비율 log 값도 알츠하이머병 위험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odds ratio=2.873, 95% CI=1.227-6.731).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결과,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총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은 언어 유창성 검사(p=0.008), 단어 목록 기억 검사(p=0.023)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을 뇌실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뇌실곁 백질 고음영 신호(JVWMH) 용적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언어 유창성 검사(p=0.013), 바로 숫자 외우기 검사(p=0.037)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PVWMH) 용적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언어 유창성 검사(p=0.011)와 단어 목록 기억 검사(p=0.02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WMH)는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인지 기능 검사와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총 백질 고음영 신호(WMH) 용적 그리고 뇌실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분류상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PVWMH) 용적과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WMH) 용적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연관성이 있었다. 뇌실곁 백질 고음영 신호(JVWMH),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 (PVWMH) 용적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즉시 기억과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등 전두엽(frontal lobe) 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쳤다.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DWMH) 용적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는 연관성이 있었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세부적인 인지 기능 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해마(hippocampus)와는 독립적으로 백질 고음영 신호(WMH)는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인지 기능 저하에 영향을 주었고, 백질 고음영 신호(WMH)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뇌실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주요어: 알츠하이머병, 백질 고음영 신호, 뇌실곁 백질 고음영 신호, 뇌실주변 백질 고음영 신호, 심부 백질 고음영 신호, 실행 기능, 인지 기능 Objective: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WMH) i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are common among the elderly. WMH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of Alzheimer’s disease (AD). AD is a critical public health concern in Korea. Hence, determining the biomarkers and risk factors of AD is crucial to its prevention and early-stage treatment. Although WMH contribute to AD pathology, their clinical implications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WMH predict AD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WMH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entricular surface and cognitive function in A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283 participants, consisting of 171 patients with AD and 112 subjects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AD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NINCDS-ADRDA criteria with probable AD or possible AD. All participants underwent clinical evaluations including brain MRI study, neuropsychological tests using the CERAD-K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and a genetic test. In addition,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Charlson comorbidity index,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rom were administered. WMH volume was calculated using automated quantification method with SPM and MATLAB image processing software. WM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entricular surface. WMH located in juxtaventricular areas, within 3 mm from the ventricular surface, were classified as juxtaventricular with matter hyperintensities (JVWMH). WMH located within 3-13 mm or farther than 13 mm from the ventricular surface were classified as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PVWMH) or deep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DWMH), respectively. WMH volume data were right-skewed. Consequently, WMH volume data were logarithmic transformed. Results: The AD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WMH volume(20.7 ± 18.2 ml) than the NC group(6.8 ± 8.1 ml; p < 0.001,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og total WMH volume was associated with AD (odds ratio = 5.967, 95% CI = 1.550-22.986). Log PVWMH (odds ratio = 4.021, 95% CI = 1.592-10.156) and log DWMH volume (odds ratio = 2.873, 95% CI =1.227-6.731) were also linked to AD. However, JVWMH was not.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otal WMH volume in AD was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in categorical verbal fluency test (p = 0.008) and word list memory test (p = 0.023). JVWMH volume in AD was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on categorical verbal fluency test (p = 0.013) and digit span test forward (p = 0.037). PVWMH volume in AD was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on categorical verbal fluency test (p = 0.011) and word list memory test (p = 0.021), whereas DWMH volume showed no association with cognitive dysfunction in AD. Conclusion: Total WMH, PVWMH, and DWM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 risk. Total WMH, JVWMH and PVWMH were associated specifically with executive function, immediate memory, and working memory, independently of hippocampal atrophy in AD. WMH were associated with AD risk and cognitive dysfunction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entricular surface. Keywords: Alzheimer’ s disease,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juxta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deep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executiv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 전층 창상에서 하이알룬산 제재의 치유효과

        송재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Hyaluronic acid(Connettivina) is a major carbohydrate component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can be found in skin, joints, eyes and most other organs and tissues. First described in 1934, it has since been used across a wide variety of medical fields as diverse as neurosurgery, cutaneous wound healing and cosmetic surgery. It creates a hydrophilic environment; controls water retention, ionic and molecular diffusion; forms 3-dimensional structur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tissue repair. We used Connettivina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se dressing materials on wound healing and compared them with other dressing materials through the animal experiment. 40 Sprague-Dawley(SD) rats with full thickness wounds were treated with Connettivina pad, Connettivina gel, Bactigras and Gauze. Four round(diameter 2cm) full thickness skin defect were made on the dorsal aspect of the SD rat’s trunk. We divided the wound into four groups of dressing material: Group A with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 Group B with Connettivina (Gauze pad type) only, Group C with Bactigras , Group D with Gauze as a negative control group. We compared each group with gross findings by means of percentage of wound contraction, percentage of wound epithelization and percentage of total wound healed area by tracing the remained wound area on the 0, 4th, 6th, 8th, 10th, 14th, 17th and 21th day after wound formation. Wound biopsy were performed on the 4th, 6th, 8th, 10th, 14th, 17th and 21th day after wound formation.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 group(Group A) and Bactigras (Group C) shows statistically higher percentage of wound contraction and higher percentage of wound healed than the other groups. In histologically,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 group(Group A) and Connettivina (Group B) show les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faster and more prominent angiogenesis than the others in early inflammatory period. On the 21st day after wound formation, more matured, thickened reepithelization and regularly aligned collagen formation were seen on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 group(Group A). This study suggest Hyaluronic acid(Connettivina) induces stable reepitheliz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and is expected as one of effective dressing material for treatment of wound healing 저자들은 인체 세포외 기질의 주성분이며, 창상 치유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하이알룬산(Hyaluron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드레싱 재료인 Connettivina�� 를 이용하여 백서의 전층 창상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드레싱 재료인 Bactigras�� 및 고식적인 거즈의 창상치유 효과를 육안적, 조직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창상 치유 초기 삼출물의 흡수는 거즈를 사용하여 드레싱 한 군을 제외한 군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소견을 볼 수 있었고, 창상 수축율 및 창상 치유율은 다른 군에 비해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을 함께 사용한 군과 Bactigras�潁� 사용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Connettivina�� (Gauze pad type)와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을 함께 사용한 군과 Connettivina�� (Gauze pad type)를 사용한 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염증세포가 조기에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생혈관 및 교원질형성도 다른 군에 비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드레싱 재료인 Bactigras�� 를 사용한 군에 비해 손색없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재상피화는 Connettivina�� (Gauze pad type) and Connettivina�� 0.2% Gel (Gel type, 30g)을 함께 사용한 군에서 Bactigras�潁� 사용한 군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onnettivina�� (Gauze pad type)를 사용한 군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패드 타입 및 겔 타입의 Connettivina�潁� 이용한 드레싱은 삼출물의 흡수성이 우수하고, 창상 치유 초기 염증단계를 가속화 시켜 다음단계로의 이행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빠른 치유율을 보임으로써 창상치유 기간을 단축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Connettivina�瑛� 창상 치유에 있어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드레싱 제재를 대체 및 보완할 수 있는 치료제로 생각된다.

      • 3D 프린팅 PCL/TCP 인공지지체(scaffold)와 인간 골수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stem cell)를 이용한 두개골 결손 누드마우스에서 골 재생 연구

        송재민 慶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There are many options for critical sized bone defect, including autologous bone graft, allograft, xenograft, artificial materials. However, it has several limitations.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that human bone marrow stem cells (hBMSCs) have the potential to undergo osteogenic,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The use of hBMSCs together with a 3D printed scaffold is an attractive option that may facilitate new bone forma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steogenic capacity of undifferentiated hBMSCs, seeded into three-dimensional printed PCL/TCP scaffolds of mice. Materials and Methods: The hBMSCs were isolated from human iliac bone. Nude mice (n = 3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5mm sized circular calvarial defects were created in the parietal bone of mice. There were three groups of nude mice in this study: Group A, scaffold alone; Group B, scaffold with hBMSCs ; Group C, no treatment as a blank control. Mice were euthanized at 2, 4 and 8 weeks after the procedure. Micro-computed tomographic (Micro-CT) scanning, Immunohistochemistry stain, Flow cytometry and Real-Time PCR (RT-PCR) were performed. Results: After 8 weeks, it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new bon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osteogenic markers in Group B,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s: The hBMSCs enhance the new bone 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pre-differentiation. This study supports that hBMSCs direct seeding in scaffolds c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human skeletal defects.

      • PERSONAL WORK STATION 가구의 SYSTEM화에 관한 연구

        송재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at we meet the great transitional period of the industrial structure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office is being transformed into the creative space to double Productivity and establish the direction as the center of information Production, not the Place for handling existing simple affairs. The change in this office environment has l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office to extend into the residential space, which involves even the condition for the user to be able to exhibit creativi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office is the very expression of corporate activity at Present and the picture of the office is the picture of the corporation. The organization, of course, is requiring each individual's creativity amidst the change in diverse so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more rapidly changing labor-view and way-of-thinking trends than technical innovation centering around economic trends and market trends toward the new media era, managerial theory or organizational theory newly continually propounded, electronics, and so on. In light of this changing situation, the office means the group(place) that some persons work together, but the future drastic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enable one computer to perform every affair and possess information. In this situation, along with the phemonenon of de-urbanization the form of the office is changed from the form that the worker goes to the office and processes affairs to the small-scale and individualized form by weakening the need to have direct access to all kinds of urban services such as home office or freelancer's personal office, inducing many corporations toward do-centralization, decentralizing their activities, and deviating from existing large-scale and collective type of work. According,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furniture system capable of maximizing the utility value of the working environment as the space that individual employees can maximize their creativity and that is human-centered as well as more comfortable by fresh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personal workstation and Inquiring into its meaning. On the Premise that the quality of the working space is determined by furniture, the conclusion wa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ly, since the personal workstation is the primary working space, the furniture system should allow the user to use it efficiently and reasonably. And it should enable the us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is affairs due to stability and confort. Secondly, the furniture system of the personal workstation should be in the form that the burden of the area and volume occupied by furniture is small with regard to the working traffic line and limited working space, and should be made so that unit compatibility, expansion and downsizing may be made easy. Thirdly, the furniture system of the Personal workstation should be made the one well-suited to the user's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tudy of the user's working content and of the resulting electronics. Fourthly, since the furniture system of the personal workstation is the one that the individual user uses within the limited space, the color planning should be made for the user to be able to feel its softer form and sentimentality capable of representing the individual's emotions as well as durability. use of its material and finished manufacture. Fifthly, as professional practitioners capable of working in home office or Personal officer such as officers in the corporation, high-income freelancers, lawyers, doctors, and so on were selected as the object for the use of the furniture system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furniture system of the personal workstation should be designed in a more enterprising and sensory form than in a uniform and conservative form. It should be designed in a form allowing the variable furniture system. With an aim at the Point that the furniture designed by the above concept can achieve the maximum efficiency in the minimum area, this study presented the furniture system of the personal workstation that will rapidly spread in the furniture. The Personal workstation will become the nearest and intimate space for the contemporary people to liv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ra. The 21th century will become the era that diversified information will be transmitted at a high velocity. With the Practical use of the multi-media through which diversified information such as picture character, sound and so on is disseminated through the computer, the social arid industrial structure as well as the human's conscious world is innovatively changed. At this point of time, this study focused on the maximization of the utility value of the working environment by prosp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inherent in the personal workstation an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suggesting the consequent furniture system. In the future, the personal workstation will have to be established as the functional space, and furthermore as the human space and as the living space in terms of its essential concept, and the furniture system will have to be integratively design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human, appliance, and the environment.

      • 시험포에서의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한국형 토양유실공식의 적용

        송재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oil erosion is one of major issues worldwide. Soils are valuable natural resources as it is, once it is transported into streams it is deemed water quality degradation factor. Soil erosion therefore is need to be controlled to prevent water body protection and to preserve as important resourc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made ‘A bulletin on the Survey of the Erosion of Topsoil’ in 2012 and implement the enforcement ordinance since 2013. The bulletin is based on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in the procedures, but USLE is not appropriate for entire procedures due to inborn limitation of the equ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bulletin so that measured and estimated soil erosion can be compared. Korean Soil Loss Equation (KORSLE) was selected to estimate soil loss and was applied into two fields to evaluate an approach to revise the bulletin. The estimated soil erosion provided reasonable criteria in comparison to measured soil erosion in calibration and validation. One of most remarkable results is that it was allowed to compare measurements to estimates by KORSLE with several years of monitoring periods, while it wasn’t possible with USLE.

      • 의료용 고주파 전기소작기의 사용적합성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적용 및 효과 연구

        송재민 아주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고령화에 따른 의료 수요 확대로 인해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수의 의료기기가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기는 사용할 때 발생하는 사용상의 오류, 기기의 고장 등으로 환자에게 크고 작은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특히, 전기를 사용하는 의료기기의 경우 기기의 결함 등에 따라 환자 및 사용자에게 더욱 더 치명적인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조직의 절개 및 응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고주파 전기소작기의 사용적합성엔지니어링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기기의 사용 오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 정한 전자의료기기의 기본안전에 관한 요구사항 IEC 60601-1 3판의 보조규격인 사용적합성(IEC 60601-1-6, Usability)을 근거로 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의 전기∙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실무안내서, p. 1, 2017 2017년 4월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에 걸쳐 형성평가(Formative test) 및 총괄평가(Summative test) 두 차례의 사용적합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장소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 혁신 파크(HIP) 사용적합성 시험실에서 진행되었다. 시험 참가자는 관련분야에서 경력이 1년에서 15년까지, 나이는 20대부터 60대까지, 전기소작기를 임상에서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의료진이 참여하였으며, 참가자 수는 형성평가 8명, 총괄평가 15명이었다. 형성평가를 통해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사용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설계 단점들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기기 본체의 버튼, 디스플레이 등의 디자인을 변경하였으며, 총괄평가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 증가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적합성 평가를 통한 기기의 설계 개선은 사용자가 의료기기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오류를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사용관련 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