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장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송용석,남기찬,유주영,김태원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0 No.3

        transport has been occupying the biggest part of the container transportation market. With regard to container terminal management, the planning technology and the space allocation system on the yard are very significant factors to secure the stability of ship an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schedules of ship throughout keeping barycenter of vessel by right loading and fast handling of cargoes.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llustrate the existing yard management systems such as Grouping method and Random Grounding method, and then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yard availability between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Grouping method) and Random Grouping which uses the forecasted inbound cargo volume at the gate by Time Base Operation. 컨테이너 운송에 있어서 해상운송은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관점에서 볼 때는 서로 중량이 다른 컨테이너를 선박에 고르게 적재(고중량 화물은 하단적, 저중량 화물은 상단적)함으로서 선박의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빠른 하역작업을 통한 선박의 정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장에서의 운영계획 (Planning)기술과 장치장 할당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적화물을 대상으로 터미널의 기존 야드 운영 방식을 설명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게이트(Gate) 반입 화물량 예측(Time Base 운영관리)을 통한 공간 할당 방식(Random Grouping)을 이용할 때의 장치장 활용도가 기존 방식에 비해 어느 정도 효율적인지를 비교 평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일본 서안 항만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물류비용 분석

        송용석,남기찬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6

        최근 들어서 부산항의 환적화물 처리량이 크게 감소하는 등 국내 항만 물동량이 예측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급증했던 환적화물 처리를 위해 계획된 국내 항만개발계획의 대폭적인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항만 물동량 유치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과 더불어 국내 항만의 2대 환적시장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입 화물을 부산항에서 환적 처리하는 경우 물류비 절감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서안지역 항만 화물운송 패턴을 3가지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물류비를 비교 분석하여 부산항을 이용할 경유 예상되는 물류비 절감효과와 화물유치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volume of transshipment containers in Busan Port has been declining significantly and domestic ports' throughput is shown far below the projected one. Accordingly, the national port development plan made to capture the sharply increasing demand in the past seems to be subject to an amendment, and inducing port container traffic becomes a key issue. In such situation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effect of logistics cost saving when Japanese import and export containers are transshipped in Busan port. For this we developed 3 scenarios for the movement of containers through the major container ports in western cost of Japan, analysed logistics costs together with cost savings and finally derived some implication for inducing the containers to Busan Port.

      • KCI등재

        CFS 입지에 따른 경제적 효과 평가

        송용석(Yong-Seok Song),남기찬(Ki-Chan Nam),곽규석(Kyu-Seok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1

        Container Freight Station(CFS)은 터미널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여러 화주의 소량(Less than Container Load; LCL) 화물을 컨테이너화시키거나, 수입된 컨테이너에서 내품을 인출하여 여러 화주에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CFS가 터미널 내부에 배치될 경우에는 LCL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일반차량의 운행이 증가하여 터미널 주변의 교통 혼잡, 높은 사회 비용 및 물류비용의 발생, 장치장의 장치 여건 악화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현재 개발 중인 부산신항만을 대상으로 CFS를 각 터미널 내부에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와 북측 컨테이너 부두 배후지에 거점화할 경우에 대해 총 비용 관점(사회적 비용과 물류비용)에서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which would be located inside terminal or outside, plays the role of consolidating less than container load(LCL) cargo gathered from multi shippers and deconsolidating full container load cargo into individual consignment. When CFS is allocated inside terminal it causes several problem such as traffic gam around terminal, high social and logistics cost and deterioration of terminal condition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CFS, inside and outside of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ocial and logistics costs.

      • CFS 입지에 따른 경제적 효과 평가

        송용석(Yong-Seok Song),남기찬(Ki-Chan Nam),곽규석(Kyu-Seok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Container Freight Station(CFS)은 터미널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여러 화주의 소량(Less than Container Load: LCL) 화물을 컨테이너화시키거나, 수입된 컨테이너에서 내품을 인출하여 여러 화주에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CFS가 터미널 내부에 배치될 경우에는 LCL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일반차량의 운행이 증가하여 터미널 주변의 교통 혼잡, 높은 사회비용 및 물류비용의 발생, 장치장의 장치 여건 악화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현재 개발 중인 부산신항만을 대상으로 CFS롤 각 터미널 내부에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와 북측 컨테이너 부두 배후지에 거점화할 경우에 대해 총 비용 관점(사회적 비용과 물류비용)에서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which would be located inside terminal or outside, plays the role of consolidating less than container load(LCL) cargo gathered from multi shippers and deconsolidating full container load cargo into individual consignment. When CFS is allocated inside terminal it causes several problem such as traffic gam around terminal, high social and logistics cost and deterioration of terminal condition.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CFS, inside and outside of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ocial and logistics costs.

      • KCI등재

        선박규모별 컨테이너 하역 비용가치 평가

        송용석(Yong-Seok Song),남기찬(Ki-Chan Nam),허윤수(Yun-Su Hur)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0 No.6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의 장비 및 시설 또한 대형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부산항, 상해항등 대형 Hub-Port의 역할을 수행하는 항만들의 항만 간 경쟁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6만톤(5,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로 부산항에 기항하는 대형선박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면, 중소형 선박들의 부산항 기항횟수 또한 증가하여 2만톤(l,500TEU - 2,000TEU) 이하인 중소형 선박의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놓고 볼 때 중소형 선박의 하역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나치게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장비 및 시설의 대형화는 높은 비용 투자로 인해 중소형 선박 작업 시 높은 하역원가가 적용되므로 중소형 선사는 하역비 부담, 운영사는 중소형 선박 기피와 같은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박크기, 크레인 규모와 수, 인력구조 등을 반영한 시간가치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선박 규모별 컨테이너 1개 (VAN)의 하역 비용가치를 분석하여 선박 규모별 투입 크레인과 인력구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Nowadays, vessel‘s size is tending to bigger, Therefore port facilitie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is trend, which has been shown in the competition of Hub-Port among the main ports such as Port of Busan and Port of Shanghai. However there are the limited number of large containerships more specifically so 70% of the total ships calling at Busan Port are small and medium sized ships which are less than 20,000 t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andling facilities of these ships which had been disregarded The big size of facilities increases handling cost because of high investment so it is possible for small and medium sized ships to have disadvantages financially and avoid calling.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propriety of utilization of crane and labor according to the size of vessels after analyzing time value cost, reflecting the size of vessels, size and number of crane and labor structure, and container handling cost value.

      • KCI등재

        컨테이너 터미널 선석길이 산정에 관한 실증 연구

        송용석(Yong-Seok Song),남기찬(Ki-Chan Nam),연정흠(Jeong-Hum Yeon),김정은(Jeong-Eun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2

        In order to mitigate the overcapacity of Busan port, Busan new port has, been developed as transshipment port which is capable of handling 8,000 TEU containership. Generally, design of transshipment port has to reflect the capacity of feeder because both mother vessels and feeders enter the planned por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existing plan of Busan new port capacity needs to be reexamined since the adopted capacity of each berth at new port, 300,000 TEU, does not seem to be enough to handle both mother vessels and feed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required number of berth and berth length by considering cargo handling capacity in terms of the ship size and this study makes some implications in relation with the terminal development plan. 부산항의 시설 능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중인 부산 신항만은 8,000 TEU급 대형선박의 입항이 가능한 환적항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항만의 경우 간선 항로를 운항하는 모선과 지선 항로를 운항하는 피더선이 동시에 입항하며, 터미널 설계 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하역 능력, 운영계획, 장비 사양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산 신항만은 선석당 30만 TEU를 기준으로 터미널이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 주요 항만에 입항하는 다양한 규모의 선박을 고려하여 하역 능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 접안 능력의 관점에서 실제 두 개의 터미널에 접안하는 선박의 규모별 적ㆍ양하량, 선박 길이 등을 반영해서 선석길이 및 선석 수를 산정하고 기존 터미널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의 기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규모 확대방안의 경제성 비교

        송용석(Yong-Seok, S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5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은 대부분 컨테이너 처리량에 비해 장치장 규모가 협소한 편이다. 장치장이 협소한 이유는 터미널 개발 시 적용된 이론적인 안벽 처리능력이 실제 처리능력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선박이 대형화 되면서 터미널들이 안벽장비를 추가 투입함으로써 안벽 생산성을 당초보다 크게 향상시킨 현실에 기인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터미널 운영 현실을 반영하여 하역 능력을 재산정하고 10,000TEU에 이르는 초대형 선박을 대상으로 하여 소요 장치장 규모를 산정 한 후 기존 터미널의 장치장 규모와 경제성을 비교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Most domestic container terminals are lack of container storage capacity compared to the throughput of container. The main reason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capacit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erminals and the real capacity of a berth Another reason seems to be the increase of the container crane in number per berth to match the need for the getting larger vessel, which is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the berth capacity from the start.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uggest the economic size of container yard by comparing the existing one. For this the berth capacity was recalculated, the required yard size derived considering up to 10,000TEU vessel and then cost comparison done.

      • 일반부두 및 자성대부두 재개발시 통행량 감소에 따른 효과 분석

        송용석(Song, Yong-Seok),강달원(Kang, Dal-Won),남기찬(Nam, Ki-Chan),허윤수(Hur, Yun-Su)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1

        부산항 북항은 일제 강점기에 축조된 일반부두(1,2,중앙,3,4)에서 시작하여 자성대, 신선대, 감만 부두 등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도심과 접한 항만의 입지적 특성으로 인하여 물류 활동 및 도시 활동 양 측면에서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장치장 부족으로 인한 부두밖 장치장(ODCY) 확대가 대표적이다. 이것은 물류비용 중가뿐만 아니라 우암로, 충장로 퉁 주요 간선 도로상의 화물 차량 비중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와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부두와 자성대부두 재개발로 인한 충장로, 우암로 등 인접 주요 간선도로의 통행량 감소 효과를 분석하고 그동안 차량 통행으로 발생된 교통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여 두 부두의 재개발로 인한 효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Since the North port in Busan started to operate in general pier (1, 2, central, 3 and 4), the business area had been expanded to Jasungdae, Shinsundae, Gamman zone and so on. However, these zones adjoin the Busan city and have caused problems to both logistics and city activities. The operation of Off-Dock Container Yard (ODCY) is a good representative example due to the limited sphere of Container Yard in this city. It increases logistics costs and causes serious social problems as a result of increasing traffic in the truck roads such as Uam and Chungjang road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duction in traffic of trunk roads in Chungjan, Uam road and so on, when General Pier and Jasungdae Pier are Re-developed. The effects of the reduction in social cost from traffic congestion are also analyzed. Finally, we predict and evaluat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re-development of two piers, north pier and Jasungdae p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