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동농촌소설이 꿈꾸는 중국몽: 《우링위엔에 살아요(家住武陵源)》와 《달리는 다이얼뉴(奔跑的岱二牛)》의 성장 서사를 중심으로

        송연옥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4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ultural status and role of Chinese rural children’s novels in the process of Chinese Dream being actualized and shared in reality.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considered China’s rural policy from the 1980s to 2018 and the changes in spatial images and children’s figures in children’s rural novels. The result shows that children’s novels have used rural and rural children’s figures in a way that suited national ideology, actively embracing the government’s policy of dualization of urban and rural area rather than reflecting the actual reality of rural areas. I then analyzed We Live in Wu Ling Yuan(家住武陵源) and Running Dai Erniu(奔跑的岱二牛) as texts for the new-era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The Rural Dream in children’s rural novels embodies the current problems of rural area and the concerns related to the growth of children, and solves them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In the process, readers who indirectly experience the inner growth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ontological and epistemic changes share the ideological fantasies of the Chinese Dream and form a rational and emotional consensus. However, urban and rural hierarchies still exist in the new-era rural children’s novels, which also applies to the Han, China’s main nationality, and ethnic minorities. ‘Improvement and education’ are required for the Han male children and ‘conservation and conformity of traditional culture’ for minority ethnic female children. The mechanism is naturally internalized in the text and forms a strong deep structure, roughly and arbitrarily combining ‘child growth’ with ‘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this way, China’s Rural Dream is incarnated in the novels, taking root in the min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본 연구는 중국몽이 현실에 전사되고 공유되는 과정에서, 당대 중국의 농촌아동소설이 위치하고 있는 문화적 심급과 그 작용을 고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1980년대부터 2018년까지의 중국의 농촌정책과 아동농촌소설 속 공간적 이미지 및 아동 형상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아동소설은 농촌의 ‘실제 현실’을 반영하기보다는 정부의 도농이원화 정책을 적극 수용하여, 국가 이데올로기에 적합한 농촌과 농촌아동형상을 탄력적으로 소비하고 있었다. 이어 신시기 농촌소설 텍스트로 《우링위엔에 살아요(家住武陵源)》와 《달리는 다이얼뉴(奔跑的岱二牛)》를 분석하였다. 아동농촌소설에 파종된 농촌몽은 현 중국 농촌의 해결과제 및 아동의 성장과 관련된 고민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해결해나간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의 내적 성장과 존재론적⋅인식론적 변화를 간접체험하는 독자층은 중국몽의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공유하며 이성적⋅감성적 공감대를 이룬다. 하지만 신시대 농촌아동소설에서 도시와 농촌의 위계는 여전히 존재했으며 이는 한족과 소수민족에도 적용된다. 한족 남자 아동에게는 ‘향상성과 교육’이, 소수민족 여자 아동에게는 ‘전통문화 보전과 순응’이 요구된다. 이 기제가 텍스트 안에 자연스럽게 내면화되는 동시에 ‘아동의 성장’과 ‘농촌의 발전’으로 봉합되며 강력한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중국의 농촌몽은 소설 속에 구체적으로 육화되며 아동청소년의 내면에 뿌리내리고 있다.

      • KCI등재

        드라마의 게임화, 게임의 드라마화 — 중국 TV 드라마 <미미일소흔경성微微一笑很傾城>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송연옥,문현선 중국문화연구학회 2020 중국문화연구 Vol.0 No.47

        In the digital cultural environment of the current generation, the convergence between media is no longer strange.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mechanism of the crossover storytelling, its effect and its in-depth meaning, focusing on the interactive media associated with the game in the storytelling of the drama. This is because I think the mechanism and its medium of g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ultural genres, will be a part of a new strategy in the expansion of drama storytelling. When considering the storytelling of the game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drama, the two basically matched the hero’s narrative but showed a differentness in the second act. This is because storytelling elements, such as the setting of characters and events, showed self-selected and repeated characteristics by users in the game. When analyzing the story of the game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drama, the back story is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pisode of the drama, and the ideal story corresponds to the ending of the drama. However, the game’s random story is individual and nonlinear narrative, which is unique characteristic of game. As such, games and drama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spectively, showing the potential for media crossing possibilities among the media. This paper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Chinese TV drama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and that of the online role-playing game <A Chinese Ghost Story(新倩女幽魂)>. The drama uses the game-playing elements of “Tutorial, Ludus-type Competition” as a plot, turning the Playing Media into Showing Media. Meanwhile, in the game <A Chinese Ghost Story(新倩女幽魂)>, the sim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layers of random story portrays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drama and creates conflicts in the case. Game simulations advocate ‘dramas for games’ while actively engaging in the drama’s values and worldviews. The drama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is the attempt of both the ‘game-style storytelling of dramas’ and the ‘drama-style storytelling of games’, and also it is the new experiment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t also proves that dramas and games can expand each other’s storytelling, form mutual marketing partnerships and reap huge value-added values. This will be a good example that will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digital storytelling and be applied to the inter-media crossing.

      • KCI등재

        중국 무형문화유산 그림책의 중국몽 말하기, 보여주기 — 明天출판사의 非物質文化遺産 그림책 시리즈를 중심으로

        송연옥 중국문화연구학회 2023 중국문화연구 Vol.- No.60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currently actively used as the basic text of state-led national cultural discourse. This is a ‘Knotenpunkt’ that encompasses patriotism, collectivist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 than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it appropriat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picture books with unique advantages in terms of artistry, tradition, and relationship as the subject of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ing Tian Publishing Company’s seri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icture books did not have a key element in the narrative of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stead, it creates a narrative structure that allows children to experienc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friendly and reliable “sender” and “helper,” and uses a strategy to make them feel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good, close, and enjoyable.” In addition, targeting the generation of children familiar with video media, it uses techniques such as angles, shots, and action cuts that can best show cultural heritage to supplement the flaws of the narrative while providing a spectacle of beautiful traditional art.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is picture book series is judged to be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ren’s cultural content in China, and I think it is the result of reflecting social interest in children and the improved appealing power of creators and publishing industries. China is expanding the archive of “kulturelle Gedächtnis” through strong government support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a soft power infrastructure that can unleash various artistic creativity is also expanding in detail. Picture books will continue to develop further and will be used for education more efficiently. Delicate and beautiful artistic picture books will be read together as “relational reading” by parents and children, teachers and students, lecturers and students, and the Chinese dream ideology implied in them will be firmly remembered as emotional truth. As a result, it seems possible to create future generations of China without historical shadow. It is the same fact for us that it should be revitalized as a memory of art by reinterpreting its traditional culture and establishing new boundaries. 중국의 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은 현재 국가 주도의 민족문화 담론의 기본 텍스트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예술 교육을 넘어 애국주의・집단주의 교육 및 인성 교육까지 아우르는 결절점이다. 본 연구는 예술성・전통성・관계성 면에서 독보적인 장점을 갖춘 그림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것이 무형문화유산을 어떻게 전유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분석한 결과, 명천출판사의 무형문화유산 그림책 시리즈는 “갈등과 모순”이라는 서사의 핵심 요소가 없었다. 대신 친절하고 신뢰할 만한 “발신자(sender)”와 “협조자(helper)”를 통해 아동이 무형문화유산을 경험하게 하는 서사 구조를 만들고, 이를 통해 무형문화유산이 “좋은 것, 가까운 것, 즐거운 것”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영상 매체에 익숙한 아동 세대를 겨냥해, 문화유산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앵글, 쇼트(shot), 액션 컷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서사의 결함을 보완하는 동시에 아름다운 전통예술의 스펙터클을 제공하고 있다. 본 그림책 시리즈의 스토리텔링 전략은 중국의 아동문화 콘텐츠의 질적 향상이라고 판단되며, 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와 창작자 및 출판업계의 향상된 소구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중국은 정부의 막강한 지원과 정책 실천을 통해 ‘문화적 기억(kulturelle Gedächtnis)’의 아카이브를 확장하고 있고, 다양한 예술 창작욕를 분출할 수 있는 소프트파워 인프라가 세부적으로도 뻗어나가고 있다. 그림책은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것이며 더 효율적으로 교육에 사용될 것이다. 섬세하고도 아름다운 예술화된 그림책이, 부모와 자녀, 교사와 학생, 강연자와 수강자의 “관계적 독서”로 함께 읽히며 그 안에 함의된 중국몽 이데올로기는 확고하게 감정적 진실로 기억될 것이다. 이로써 역사적 그늘이 없는 중국 미래세대의 주조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자국의 전통문화를 재해석해 새롭게 경계를 세워 예술의 기억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은 우리에게도 변함없는 사실이다.

      • KCI등재

        독서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연옥,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독서교육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이 대인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문제는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념 및 대인관계능력에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념 및 대인관계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중학교 재학생 292명(남, 135명, 여, 157명) 이었다. 측정도구는 자아존중감 검사, 자기개념검사, 대인관계 검사이었다. 연구의 분석은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및 능력에서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간접적으로도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더 높은 신체 및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에 대한 긍정적 자기개념을 지니며,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주며,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지닐수록 더 높은 대인관계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서교육을 통한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을 높임으로서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reading educa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self-esteem,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skills depending on students' grade and gender? Second, is there any connection between self-esteem,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skills? Finally, what is an impact of self-concept to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92 middle school students(135 males, 157 females). Self-esteem test, self-concept tes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applied as tools of measure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such as body,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nd capacity e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The major points for this study are that the higher self-esteem they get, the higher positive self-concept to appearance. As long as they have morality, personality, family, society and capacity, their interpersonal skills are affected by them. Also, If they get the higher positive self-concept, they would be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long run.

      • KCI등재

        대학 비대면 SW수업에서 교수실재감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

        송연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learner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SW classes at a university, and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structor’s presence. Methods In total, 106 students in University H’s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were asked to assess the instructor’s presence. A mixed methodology of qualitative data and network analyses was us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1) rankings in terms of the instructor’s presence were in the order of “teaching-design-teacher’s presence and facilitation.” Subcategory items for each category ranked as follows: “teaching: subject feedback,” “design: effective use of media,” “instructor’s presence: concern for learners,” and “facilitation: sharing meaning and understanding.” (2) Learners’ perceptions were primarily a fear of programming classes and the expectation that learning alone would be difficult and accompanied by a sense of isolation, the need for self-examination of one’s own learning process and problem-solving strategy with the instructor’s help, and a strong interest in a non-face-to-fac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s an interactive tool; and (3) in the “design” category of the instructor’s presence, the top three keywords with high-link centrality were “class-course-difficulty.” In the category of “facilitating,” they were “question-feedback-sharing.” In the category of “teaching,” the top keywords were “instructor-feedback-question,” and in the “instructor’s presence” category, they were “question-learning journey-record.”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presented: first, the instructor’s digital-based class design competency; second, teaching-learning with other students using an e-scaffolding strategy; third, instructor feedback regarding the digital environment and cours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he need for effort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xchanges of e-learning reflection journals.

      • KCI등재후보

        재일조선인 여성의 삶에서 본 일본 구술사 연구 현황

        송연옥 한국구술사학회 2015 구술사연구 Vol.6 No.2

        학회가 아닌 재야 여성들의 구술 모으기가 일본 구술학의 시발점이 되어 문서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서민 여성들의 구술사가 70년대에 많이 간행되었다. 80년대에 들어와서 구술사 업적을 제대로 평가한 역사학회에서도 문서기록의 결락을 메우는 방법으로 구술사를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게 된다. 欧美 여러 나라에서 구술사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 영향을 받고 2003년에 일본에서도 일본구술사학회가 창립된다. 연구 주제를 젠더, 이민, 전쟁으로 나누어 지금까지 연구성과를 거두어 왔지만 재일조선인 여성의 시각으로 볼 때에는 일본역사학회가 안고 있는 한계, 즉 식민지주의에 대한 인식부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것 같다. 4·3사건을 비롯하여 재일조선인 여성들의 역사적인 경험과 일본구술사학회가 주제로 하는 전쟁은 거리가 있고 아직까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요는 구술이란 방법으로 어떻게 전쟁과 식민지주의로 고통받은 사람들의 한을 풀수 있는 것인가 하는 고민을 계속해서 해야 되고 또 증언을 들을 수 있는 공감대인사회적인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과제가 문서자료 발굴만큼 중요하다. Oral history started in the 1970’s in Japan when oral narratives of women who could not be recorded as documents were collected outside of academia. In the 1980’s Japanese historians who got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oral history began to regard oral history as an important means to bridge the gaps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As oral historical researches grew up fast in Western countries, Japanese Oral History Society became established in 2003. Japanese oral historians have focused on gender, migration and WWII, but have not yet recognized colonialism as an essential part of oral historical research in Japan.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n Japanese women including April 3th incident in Jeju is not incorporated into the war studies carried by Japanese Oral History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solve their trauma caused by WWII and colonialism through oral history. For this, it is also important to enhance social empathy as well as to discover new documents.

      • KCI등재

        확장하고 있는 중국아동문학— 중국의 ‘범엔터테인먼트’와 아동문학의 크로스오버를 중심으로

        송연옥 한국중국소설학회 2021 中國小說論叢 Vol.63 No.-

        중국의 아동문학이 光速으로 변화하고 있다. 필자는 중국 아동도서의 이러한 변화가 ‘범엔터테인먼트(泛娛樂)’라 불리는 중국의 신생문화콘텐츠 사업 생태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당대 중국이 보이는 특수한 현황이라고 본다. 세계 최대의 아동출판시장이 가지는 가능성을 고려해볼 때, 중국아동문학의 현재 변화 동향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한 대상임이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는 1. 매체 간의 다양한 크로스오버로 변화⋅확장 중인 중국아동문학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도와 국내에 드문 중국 당대 아동문학 연구의 기초가 되고자 하며, 2. 당대 중국아동문학의 변화와 확장의 지점을 규명하여 아동문학의 본질과 지향점을 밝히고, 3. 당대 중국아동문학을 사례로 중국식 크로스오버 문화브랜드인 범엔터테인먼트 개념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중국의 범엔터테인먼트는 사용자와 정서적으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디어 형식으로 거듭나는 매트릭스식 사업 생태를 말한다. 그중에서도 아동문학은 범엔터테인먼트의 핵심 IP로 활용할 수 있는 블루오션이며, 이것이 필자가 당대 중국아동문학의 변화와 확장이 범엔터테인먼트와 밀접하다고 말한 근거이다. 본 연구는 아동문학과 타미디어와의 크로스오버로 확장하고 있는 사례를 고찰하였다. 첫째, 웨이보+동화: 웨이동화(微童話)는 문학이 뉴미디어 산물과 결합할 때 독자가 작가가 될 수 있다는 것, 글밥이 많은 문자 중심의 동화만이 동화가 아니라 이미지 중심의 짧은 동화도 동화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이다. 둘째, 스마트폰 APP+그림책 형태인 카다스토리이다. 범엔터테인먼트의 각종 스타 IP를 보유하면서 놀라울 정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조기교육에 중점을 둔 서비스는 핫미디어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셋째, IP마켓+아동소설: ‘미샤오취엔(米小圈) 시리즈’이다. 미샤오취엔은 문학콘텐츠가 각종 라이선스로 활약하는 당대 초등학생의 상징적 기호이다. 아동의 공감대를 얻어낸 문학 IP가 범엔터테인먼트식 생태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넷째, 인터넷게임+문학: 온라인게임아동문학(網遊文學)이다. 온라인게임아동문학은 온라인게임을 경험한 아동 유저들을 겨냥해 창작된 문학콘텐츠로서, 플레잉 미디어가 리딩 미디어로 확대된 시도이다. 창작자 사고방식의 전환이자 일방적이고 중앙집권적인 전통 아동문학의 반전이다. 다섯째, 문학+체험활동: 엄지반장(拇指班長)이다. 각종 문학상을 수상한 고학년 소설 《엄지반장》은 범엔터테인먼트식 전략으로 사용자 경험을 확대하여 만화 버전, QR 코드로 애니메이션 감상, 여름방학 테마캠프에서 엄지반장 영화 촬영, 글짓기 주제로 라디오 드라마 청취, 엄지반장 테마서점 및 밀크티 카페로 확장되었다. 중국 아동문학의 주체는 국가 이데올로기, 교육적인 사회화 메시지에 이어 이젠 상업적 이윤을 꾀하는 교묘한 상업미디어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럼에도 뉴미디어 기술이 가져온 인식론적 변화는 아동이 주체로 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비록 그것이 상업성에서 기인했다더라도 문학과 멀티미디어적 경험이 다원화되면서, 아동소비자는 보다 주체화되어가는 방향에 들어서게 되었다.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is rapidly changing at the speed of light. I believe that this change in Chinese children’s books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system of China’s new cultural content business, called ‘pan-entertainment’, and is a special situation in which China is seen at the tim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the world’s largest children’s publishing market, the current trends of change in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reqiure research and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1.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which is being changed and expanded due to various crossover between media, serving as the basis for the stud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2. to reveal the essence and dir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dentifying the point of change and expansion of Chinsese children’s literature at the time; 3. to summarize the concept of pan-entertainment, a Chinese-style crossover cultural brand, as an example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China’s pan-entertainment refers to a matrix-style business ecosystem that is reborn in various media formats, focusing on content that has formed a strong emotional bond with users. Among them, children’s literature is Blue Ocean, which can be used as a key IP(Intellectual Property) for pan-entertainment, and this is why I said that the change and expansion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at the time is closely related to pan-entertainment. This study considers the case of expanding to cross-over with children’s literature and other media. 1. Weibo(微博) + Fairy Tale: Wei Fairy Tale(微童话) is an example of the possibility that when literature is combined with new media products, readers can become writers, and that not only text-oriented fairy tales with a lot of writing can be fairy tales, but also short image-oriented fairy tales can be. 2. Smartphone APP + Picture Book: Kada Story(咔哒故事) is growing remarkably with various star IPs of pan-entertainment, but the service that focuses on early education is characterized as a hot media. 3. IP Market + Children’s Novel: ‘Mixiaoquan(米小圈) Series’ is a symbo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time when literary content is active under various licenses. This is an example of how important literary IP is in the pan-entertainment ecosystem that has gained children’s consensus. 4. Internet Games + Literature: Online Game Children’s Literature(網遊文學) is a literary content created for children’s us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games, and it is an attempt to expand the playing media to reading media. It is a transition of the creator’s mindset and a reversal of the style of chldren’s literature, which traditionally was unilateral and centralized. 5. Literature + Experience Activities: ‘Umji Banjang(拇指班長) Series’, the award-winning elementary school senior novel, expanded its user experience with a pan-entertainment strategy to include comic versions, watching animations with QR codes, activity filming Umji Banjang’s films at summer vacation theme camps, listening to radio dramas on writing topics, Umji Banjang theme bookstores and milk tea cafes. The main bod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has gone through national ideology and educational socialization messages, and is now shifting to a clever commercial media strategy that seeks commercial profit. Nevertheless, the epistemological changes brought by new media technology leave open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can stand as the Subjects. Although it is due to commerciality, as literature and multimedia experiences are diversified, children’s consumers become the true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