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eta-analysis of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송승하(Seung Ha Song),양윤희(Yoon Hee Yang),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 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동 의사소통 체크리스트(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CCC가 화용에 어려움이 보고된 장애 집단과 비장애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해줄 수 있는지, 각각의 장애 집단별 프로파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언어장애 집단으로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s & hyper-activity disorder), 그리고 윌리엄스증후군(Williams syndrome)을 포함하였다. 방법: 화용언어장애 및 비장애 집단의 CCC 점수를 비교한 연구들을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를 주제어로 최초 검색한 결과, 총 2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CCC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ASD, ADHD 집단은 비장애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WS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난 장애군의 세부적 프로파일로는 ASD 집단의 경우 언어구조, 화용, 사회성 영역 모두에서, ADHD 집단은 언어구조 및 화용영역에서 비장애 집단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CCC를 활용하여 ASD, ADHD 집단의 변별적인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화용영역에 따른 어려움이 나타날지라도 장애집단에 따라 세부적으로 다른 프로파일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의 차별적인 어려움을 고려하여 체크리스트 형식 외에도 직접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show overall communication problems. However, the pragmatic problems vary depending on their diagnostic characteristics. The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CCC-2) was developed to assess overall language ability through parents’ and/or teacher’s reports (Bishop, 2003). This research reviews studies of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using CCC or CCC-2, and investigates i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deficits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DHD], and Williams syndrome [WS]) can be differentiated through CCC or CCC-2. Methods: Fourteen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three electronic database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and ERIC. A systematic review was done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II, 2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ASD and ADH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ypically development (TD),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WS and TD controls. The sub-domains (structural/pragmatic/autism-social domain) that brought group differences were all three sub-domains in the ASD group. Structural and pragmatic domai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ub-domains in the ADHD group. Conclusion: CCC or CCC-2 is a useful tool for discriminating ASD and ADHD groups from TD control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present various pragmatic profiles depending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ASD and ADH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tools to reveal the differential profiles of pragmatic problems in various group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취학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송승하(Seung 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PLI) is known to be difficult to asses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ildren with PLI since a new diagnosis,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CD) has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n typically developing(TD) preschool children an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Methods: Thirteen TD children and 12 HF-AS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KOPLAC), a newly developing pragmatic assessment tool which is consisted of five sub-domain: (1) Communication Regulation by Communication Partners, (2) Situational Context, (3) Story Rules & Information Inferences, and (4) Meta-language for Indirect Expressions & (5) References. In addition, non-verbal cognitive and language tasks were administer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esults & Conclusion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as been found in KOPLAC and in every sub-domains of KOPLAC. TD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s in KOPLAC compare to HF-ASD group and they showed different profiles in KOPLAC sub-domain. Cognitive ability and other language task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OPLAC, especially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very five sub-mains. Preschool children is under development in pragmatic language, and there are factors which has related with pragmatic language. One of the factors strongly related to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is SCQ in this study.

      • KCI등재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 and Low Functioning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송승하(Seung Ha Song),김훼린(Huai Rhin Kim),천근아(Keun Ah Chu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비장애 아동의 경우 표현 가능한 어휘보다 수용 어휘가 높은 것에 비해, 자폐성 아동의 경우 공식검사 결과에서 수용어휘 결과가 낮게 보고 되고 있다. 새로운 낱말을 실제 사물과 연결시킬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은 다른 비장애 아동과 같이 상호배타성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지만 사회성 결함으로 인하여, 낱말 연결에서 상대방이 제공하는 강화를 적절하게 수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 아동,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의 세 그룹 간 표현 및 수용어휘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그룹에서 보이는 표현 및 수용언어 능력의 차이가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고기능 자폐성 아동과 11명의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그리고 12명의 지적장애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들의 수용 및 표현어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용 및 표현어휘 점수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각 그룹 내에서 표현 및 수용어휘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자폐성 아동에게 보이는 표현어휘 우세 양상이 고기능 자폐성 아동 집단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집단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세 집단의 어휘 능력 간 보이는 경향성은 지적장애 그룹의 상호배타성 원리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늘리고 어휘능력 평가 도구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shows atypicality in various domains in language. One of atypical characteristics in their language can be found in vocabulary. Usually children show greater receptive than expressive vocabularies, but for ASD children the opposite results are reported. Even though children with autism show mutual exclusivity when mapping new words to the correct objects, their social deficits prohibit them from being reinforced by others' feedback. Thus they can have more difficulty in receiving initiation and directions from others, and as a result, can demonstrate atypical vocabulary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among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low functioning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the discrepanci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mong the three groups. Methods: Ten high functioning ASD, 11 low functioning ASD, and 12 ID children were tested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test (REV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mong three groups even though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ies over receptive can be found in the high and low functioning ASD group. Conclusion: The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two ASD groups compare to ID group tells high possibilities that children with ID can be reinforced by the feedback that the interaction partner gives.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mple size and add assessment tools which can prove vocabulary abiliti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부모주도 중재 앱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송승하(Seung-Ha Song),김붕년(Boong-Nyun Kim),이수은(Soo-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자폐스렉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부모 및 양육자가 가정에서 아동을 지원할 수 있는 부모주도 중재 프로그램을 앱으로 개발하여, 앱의 사용성을 용의성과 교육적 가치(적합성), 흥미성, 그리고 상호작용성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언어발달 특성과 촉진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아동의 의사소통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앱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5인의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타당도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한 뒤 앱으로 개발하였다. 앱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언어치료사 10명과 자폐 영유아의 보호자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5점 척도의 평가 설문지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그렇다(평균 4.2점)라고 평가하였고, 사용의 용이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 받았으며(언어치료사 평균 4.44±0.63 ; 보호자 평균 4.5±0.67), 흥미성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받았다(언어치료사 평균 3.74±0.68 ; 보호자 평균 3.78±0.69).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앱의 개선점과 시사점, 그리고 앱을 활용하여 진행할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program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facilita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consisted of two subcategories: one is for the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SD children and of facilitation methods for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other category is for recordings of children’s communication in real life in the form of a daily-note. The developed content was tested for validity by 5 experts, and the content was modified to reflect the results and then developed as an app.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pp, 10 speech-language therapists and 8 parents of young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usability was evaluated the usability on a five-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testing, it was rated as generally yes (mean 4.2), relatively high in terms of ease of use (4.44±0.63 for speech language therapists; 4.5±0.67 for caregivers), and relatively low in interest. (3.74±0.68 for speech-language therapists; 3.78±0.697 for caregivers). Finall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the app,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bility of 4- to 10-Year-Old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using Audio-Visual Discourse Tasks

        송승하(Seung ha Song),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oo jung Lee),김정아(Jung A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아동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속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화용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화용능력은 의미론적 발달이나 전반적인 언어습득과도 상관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평가도구의 제한으로 인해 화용능력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화나 이야기 화면을 보면서 화용적인 적절성을 판단하고 수정하는 시청각적 담화 과제를 통해 4-10세 일반아동의 화용언어 발달 및 어휘능력과의 상관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저학년, 중학년 4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화용언어검사(KOPLAC)를 통해 의사소통 조율 과제, 이야기 규칙 및 정보추론 과제, 상위언어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화용언어 하위과제에 따라 세 연령집단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어휘력과 화용언어능력의 상관도도 분석하였다. 결과: 화용언어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졌다. 모든 연령 집단 간, 그리고 하위 영역에 따른 연령 집단 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조율 및 간접표현에서 연령 집단 간 성취도 차이가 컸다. 또한, 화용능력은 하위 영역 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연령뿐 아니라 수용 및 표현어휘력과도 유의한 상관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화용언어능력은 향상되지만 하위 영역간에는 발달적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s : The field of pragmatics studies language use, which is parallel to structural language such as phonology and grammar. Pragmatic language is considered difficult to assess in a standardized way, because of its variability depending on context. Likewise, the number of studies on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areas, and Korean researchers are often dependent on the results of foreign studies. Methods: Forty-on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preschool (4-6 years), elementary school (7-8 years), and middle school (9-10 years). The Korean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KOPLAC) was used for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It consists of three sub-domains: communication regulation, story rules & inference information, and metalanguage awareness. Results: As expected,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mprove with age. Every matching of age groups and every sub-domain compared by ag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communication regulation and indirect expressions were domains that showed greater score gaps between age groups. In general, the correlations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vocabulary abilitie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hildren show developmental growth in pragmatic language. In further studies, a greater selection of the population should be involved, and other assessment tools could be used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Meta-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김영태(Young Tae Kim),송승하(Seung Ha Song),김정아(Jung A Kim),김효창(Hyo Chang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만 5세에서 12세 아동의 메타-화용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KOPLAC)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아동 492명(예비검사 222명, 규준검사 270명)을 대상으로 KOPLAC을 실시하였다. 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측정했다. 또한 연령이나 학년에 따라 화용언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했다.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문항 내적일치도, 반분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내용타당도는 전체 평균 4.11으로 ‘적절하다’로 평가되었고, KOPLAC의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간의 구인타당도 또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KOPLAC의 전체 점수와 REVT의 공인타당도 역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나 학년에 따라 화용언어 전체 점수와 하위검사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각 하위검사의 문항 내적일치도는 담화 및 이야기 정보추론과 상위 언어의 참조를 제외하고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반분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한국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는 화용언어의 결함을 선별하는 공식적인 검사도구로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편이며, 화용언어 능력의 발달적 특성 및 추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meta-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KOPLAC). The KOPLAC has been developed to assess 5- to 12-year-old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KOPLAC consists of three subtests: communication regulation, discourse and story information inferences,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Two hundred and sevent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s: For content validity, a 5-score-scale was conducted to validate each item. F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erved as assessors and the mean score was 4.1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ach construct (5 subtests for preschoolers and 6 subtests for school-aged children) score and the total scores were calculated for construct validity. Results: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concurrent valid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esults of the KOPLAC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were analyzed. Every subtes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VT except for one (between metalinguistic awareness-references and REVT-expressive score).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was .45-.91 for preschoolers and .40-.86 for school-aged children. The split-half reliability was .652 for preschoolers and .726 for school-aged children. Final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significant and highly reliable (.79-.99).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KOPLAC is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ability.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validate the KOPLAC by providing data from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especially those who have pragmatic language problems.

      • KCI등재

        Comprehension of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Facial Expressions in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황현주(Hyun joo Hwang),김영태(Young Tae Kim),송승하(Seung ha Song),박희영(Hee young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 아동은 인지능력에서 정상 범주에 속하고, 형식적인 언어능력 또한 상당 부분 또래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나, 이들의 의사소통 문제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화자의 의도가 직접적인 언어 표현과 다른 의미를 가지는 간접표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속적인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아동이 표정단서 유무에 따라 간접표현을 이해하는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6명과 언어 및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이었다. 간접표현 과제는 총 12문항으로, 아동에게 친숙한 상황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들려주고, 대화에 나온 간접표현이 실제 어떤 뜻인지 화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의도이해’ 질문과 화자의 간접표현을 듣고 본인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한 ‘대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문항을 들려줄 때 대화 속 인물들의 표정을 그린 그림과 표정이 제거된 그림을 2회기에 걸쳐 각각 제시하고 동일한 간접표현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간접표현 이해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표정단서 유무에 따른 간접표현 이해의 차이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지 않았고, 집단과 표정단서 간의 상호작용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또래에 비해 간접표현의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표정단서가 그들의 간접표현 이해를 증진시키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간접표현의 이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와의 관계는 추후에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to comprehend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facial expressions. Methods: Sixteen HF-ASD children and 16 TD children matched for age and vocabulary a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 tasks with and without facial expressions. Pictures were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with audio-recorded situational context scripts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wo types of questions: intention-understanding and responding. A two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 tasks between the HF-ASD and TD children. The types of error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HF-AS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poorer than TD group on the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 tasks. Both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s on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 tasks with and without facial expressions.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and the presence of facial expression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HF-ASD children’s weakness in comprehending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s and suggests that facial expression cues in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s will not improve their situational context comprehension ability. The comprehension of indirect pragmatic expressions needs to be explored through various nonlinguistic factors.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에 관한 메타분석

        손정화 ( Son¸ Jeong-hwa ),최예린 ( Choi¸ Yae-lin ),송승하 ( Song¸ Seung-h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국내외 총 19개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학령기 SLI, 읽기부진)과 일반아동은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실험 집단(학령기 SLI, 읽기부진)과 일반아동이 이야기 담화 이해를 위한 질문과제(사실적 정보이해, 추론이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활용한 연구의 분석 방법은 CMA3를 사용하였다. 학령기 SLI와 읽기부진 아동 모두 일반아동과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해 질문과제인 사실적 정보이해와 추론이해에서 모두 일반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학령기 중요한 발달과업인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언어치료 현장에서 SLI와 읽기부진 아동의 이야기 담화 이해능력에 관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ory and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impairment(SLI) and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RD) in school age. We selected nineteen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The clinical group (SLI and RD) and TD are based on their ability to comprehension stories and discourses.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nd tri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groups and T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for comprehension stories and discourses (literal information, inference). The analysis method used for this was CMA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age children with SLI and children with RD due to comparing story and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ies children with TD. SLI and R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D in comprehension literal information and comprehension inference, which are the subjects of comprehension stories and discourses.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tasks in school-age for the significance of comprehension skills of stories and discours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also consider the results as primary theoretical data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comprehension skills of children with SLI and children with RD in language therapy.

      • KCI등재

        CSBS DP를 통한 자폐스페트럼장애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연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메타분석

        박보경 ( Park Bo-kyung ),최예린 ( Choi Yae-lin ),송승하 ( Song Seung-h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목적 : 본 연구는 ASD 영유아와 DLD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포함하여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실시하고, 객관적으로 의사소통 행동 특성의 하위분류인 의사소통 행동빈도와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 ASD 및 DLD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행동 및 의사소통 기능을 비교한 연구들을 KISS, DBpia, KyoboScholar, RIS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선정한 10개의 검색어를 통해 1차 검색한 결과, 총 2,20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총 8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ASD 영유아와 DLD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는 ASD, DLD와 통제집단을 비교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첫째, ASD 영유아 집단은 일반영유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빈도 및 기능이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둘째, DLD 영유아 집단은 일반영유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기능 및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장애 집단 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ASD가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의사소통 기능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ASD 영유아는 DLD 영유아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동주의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행동통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ASD영유아와 DLD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의 변별적 차이를 확인하여, ASD 영유아의 조기 발견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CSBS DP를 사용한 연구로 한정지어 살펴보았으므로, 추후 포괄적으로 평가도구를 선정하여 살펴 볼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tudi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ly developed. It is to investigate communication behavior frequencie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by type between infants with ASD and DLD. Eight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7 electronic databases: KISS, DBpia, KyoboScholar, RIS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It is systematically reviewed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3). Infants with ASD and DLD showed lower frequencies in communication behavior and functions compare to TD. Infants with AS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in communication behaviors and functions compare to DLD. There was no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behavior, howev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functions: lower in social communication and joint attention, but not in behavior regulation. It is meaningful to detect differential profiles between infants with ASD and DLD, because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is very important to AS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other assessment tools to analyse infants communication abilities in the future research.

      • 학령기 고기능 자폐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박혜연(Hye Yeon Park),원동란(Dong Ran Won),김혜원(Hye Won Kim),송승하(Seung Ha So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developmental disorder with primary deficits in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 and repetitive behaviors. Although there has been increased identification of disfluencies in individuals with autis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ir characteristics of disfluencies in school age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sfluency characteristics in school-age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HF-ASD) and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 school-age children with ASD and 8 CWS. All participants were ranged in ages from 6 and 8 years and they matched for age and severity of stuttering (mild to moderate). Reading,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 were administered to collect speech samples. Disfluencies in the speech sampl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either other disfluencies(OD) or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distribution of disfluency types(%). In reading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whole-word repetition, and in storytelling task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oth par-word repetitions and bloc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fluency types in picture description task.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HF-ASD showed comparable fluency types compared to CWS. However, atypical disfluencies such as word final disfluencies(WFD) was identified in HF-ASD. While as linguistic demands increased in storytelling task children with HF-ASD produced more interjections and revisions, CWS showed more part-word repet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