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nO$_{3}$/A$'$SnO$_{3}$ (A, A$'$ = Ba, Sr, Ca) 초격자 구조에서의 강유전상에 관한 제일원리 계산

        송나영,김주영,김복기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9

        We have studi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ASnO$_{3}$/A$'$ SnO$_{3}$ cation-ordered superlattices by using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Artificially-stacked superlattices with a perovskite unit, such as ASnO$_{3}$/A$'$SnO$_{3}$, may be hybrid improper ferroelectrics. The tilting of the octahedron is the primary order parameter in hybrid improper ferroelectrics whereas the polarization is a secondary order parameter. We use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to optimize the structure of superlattices of ASnO$_{3}$/A$'$SnO$_{3}$ with A or A$'$ = Ba, Sr, and Ca and with various cation-ordering patterns such as the [001], [110], and [111] directions. We observe a spontaneous phase transition from a tetragonal nonpolar phase (high-symmetry phase) to an orthorhombic polar phase (low-symmetry phase) and perform a group theoretical mode analysis to elucidate the phase transition. We also present a detailed spontaneous polarization analysis for the [001] and the [111] directions in the low-symmetry structure. 우리는 본 논문에서 ASnO$_3$/A$'$SnO$_3$ 초격자 구조에 대해 제일원리 전자구조 계산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ASnO$_3$/A$'$SnO$_3$ 구조와 같이 두 층을 원자 레벨로 인위적으로 쌓아 올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는 복합 부적절 강유전성 (hybrid improper ferroelectrics, HIF) 특징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물질은 산소 팔면체의 회전을 일차 질서 변수로 가지며 분극이 이차 질서 변수인 전형적인 복합 부적절 강유전성의 특징을 가진다. 박막의 시료제작에서 방향성을 고려했을 때 이 초격자 구조는 [001] 이외에도 [110], [111]의 가능성이 있으며, 세 가지 방향성을 고려하고 ASnO$_3$/A$'$SnO$_3$ 구조의 A-와 A$'$-site에 Ba, Sr, 그리고 Ca 원자를 치환하여 구조를 얻었다. 본 물질은 무극성 상을 나타내는 공간군(high-symmetry)에서 극성 상을 나타내는 공간군 (low-symmetry)로 상 전이가 발생하며 우리는 이때 작용하는 모드를 그룹 이론을 통해서 분석해 보았다. 또한 [001]과 [111] 방향의 구조에 대해 자발 분극의 크기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 KCI등재

        BaSnO3에서의 여러 Hybrid functional 을 이용한 전자구조 비교 계산

        송나영,심현수,김복기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8

        We have done a comparative electronic structure study on BaSnO3 (BSO), a promising material for next-generation transparent oxide materials. The density functionals of local density approximation (LDA), Perdew-Burke-Ernzerhof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 (PBE GGA), hybrid types of Heyd-Scuseria-Ernzerhof (HSE06), and Perdew-Burke-Ernzerhof (PBE0) have been used to optimize the lattice structure, and each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optimized structure to check the differences among the used density functionals.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the Fock exchange interaction term, we have done two hybrid functional calculations, HSE06 and PBE0, with consistent conditions. Our calculation shows that the bulk properties, such as the lattice constant and the bulk modulus, can be better described by using these two hybrid functionals than they can by using the LDA and the GGA functionals. We also present the detailed electronic properties, such as the band structure, density of states (DOS), and effective mass of carriers, by using four different density functionals and describe the similarities and the dissimilarities of the density functionals and their consequences for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the BSO material. 우리는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BaSnO3 (BSO) 물질에서의 전자구조 비교계산을 수행하였다. 밀도 범함수의 종류를 LDA, PBE GGA, HSE06, 및 PBE0 로 바꾸어 가면서 구조를 최적화하고 이를 이용해 전자구조 계산을 수행하였다. 최근에 본 그룹에서 발표한 계산결과인 HSE06에서의 계산결과와 함께, PBE0 와의 비교 계산을 수행하였고, 또한 LDA 및 GGA 방법 결과도 함께 제시하였다. 격자 상수 및 벌크 모듈러스의 경우 밀도 범함수의 기존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었으며, 여기에서 하이브리드 밀도범함수의 우수성이 다시 재입증 되었다. 우리는 본 연구논문에서 밴드구조 및 DOS, 그리고 전자와 hole의 유효질량에 있어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오는지 밀도범함수의 종류에 따른 비교 계산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그 결과를 토의할 것이다.

      • 녹차미로부터 phenolic acid glycoside 의 분리

        송나영,조진경,박희정,우치엔,우영민,이기환,박동수,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10 硏究論文集 Vol.29 No.-

        분쇄한 녹차미를 80% MeOH로 추출하였고,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EtOAc, n-BuOH 및 H20로 분배 추출하여 3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phenolic acid glycoside를 분리 하였다. 이 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IR과 NM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rillatose B와 arillanin C로 구조동정 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녹차미에서는 처음 분리 동정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산겨릅나무로부터 페놀화합물의 분리 및 항염증 활성의 측정

        송나영,이광진,마진열 한국생약학회 2014 생약학회지 Vol.45 No.2

        The Acer tegmentosum (3 kg) were extracted with boiled water and the freeze dried extract powder was partitionedwith CH2Cl2, EtOAc, n-BuOH and H2O, successively.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 six phenolic compounds wereisolated through the silica gel, octadecyl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methods, such as1H-NMR and13C-NMR, and LC/M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as feniculin (1), avicularin(2), (+)-catechin (3), (-)-epicatechin (4), salidroside (5) and 6’-O-galloylsalidroside (6). In this study, compounds 1 and 2 havebeen first isolated from the A. tegmentosum. To provide insight into the effects of six compounds isolated from A. tegmentosumon inflammation, we investigated its effect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using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ion. Compounds 1 and 6 slightly repressed NO production. Also, compounds 3 and 4 inhibited NO secretion with statisticalsignificance. However, compounds 2 and 5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아치형상의 하현재를 갖는 CFT 트러스 거더의 재료 비선형 해석

        송나영(Song Na-Young),정철헌(Chung Chul-Hun),김영진(Kim Young-Jin)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6A

        본 연구에서는 f/L비가 디론 CFT 트러스 거더의 구조거동에 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고, CFT 트러스 거더의 구조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ABAQUS에 의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축력과 모멘트를 받는 CFT 부재의 비선형 재료모델을 비교분석하였다. CFT 부재의 구속 콘크리트 및 강재의 응력-변형률 모델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Mander, Sakino, Han, Susantha 및 Ellobody 등이 제안한 구속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모델을 적용하여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고, 해석결과를 통해서 CFT 트러스 거더의 하중-처짐 관계, 하중-변형률 관계 등을 비교하였다. 하중-처짐 관계에서 Mander와 Susantha의 모델을 적용한 해석결과는 실험결과보다 약 12.0~13.8% 높은 하중을 예측하며, Sakino의 모델은 실험결과보다 약 7.6% 높은 하중을 예측하였다. Han과 Ellobody의 모델은 실험결과보다 약 0.2~1.2% 높은 하중을 예측하여 실험치와 가장 잘 맞는 결괴를 보였다. 그러나 각 연구자의 응력-변형률 모델을 적용한 비선형 해석을 통해 산정된 하중-변형률 관계는 하중-처짐 관계와는 반대로 안전측의 결과를 보여 전반적으로 실험치보다 큰 수준의 변형률을 보였다.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are performed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concrete-filled tubular(CFT) truss girders for different f/L ratios. Bending tests are conducted on two CFT truss girder specimens to determine fundament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properties. Nonlinear material models for CFT members subjected to an axial compressive force are compared in this paper by using the nonlinear finite element program, ABAQUS. Previous researchers have proposed several nonlinear stress-strain models of confined concrete. In this study, the nonlinear analyses are performed applying several stress-strain models for confined concrete proposed by Mander, Saki no, Han, Susantha and Ellobody,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erms of load-deflection and load-strain relationships. Based on the comparisons of the load-deflection relationships, the models proposed by Mander and Susantha provide a maximum load about 12.0~13.8% higher and that by Sakino gives a maximum load about 7.6%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odels proposed by Han and Ellobody give a maximum load only about 0.2~1.2% higher than the test results, showing the best agreement among the proposed stress-strain models. However, the load-strain relations predicted by the existing models generally provide conservative results exhibiting larger strains than the experiment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