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사회 경남지역 맹인 독경 연구

        손태도(Son, Tae-do) 한국무속학회 2024 한국무속학 Vol.- No.48

        전통사회의 대표적 민간신앙 의례는 무당의 굿과 판수 곧 맹인의 독경이었다. 그러나 무당의 굿에 대해서는 일정한 연구 성과가 이어지고 있지만, 맹인의 독경에 대해서는 그 실제적 조사‧연구가 오늘날에 와서야 비로소 시작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들은 맹인 독경의 유래를 고려 전기(前期) ‘맹승(盲僧)’의 존재에서 찾고 있다. ‘맹승’도 승려이기에 불경을 욀 수 있고, 맹인은 오래 전부터 점복을 해 왔기에 그러한 점복의 연장에서 민간신앙 의례 담당자로 나설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경남지역에서도 이미 여말선초에 경남 밀양의 한 맹인이 점을 치기도 했기에, 역시 고려시대부터 맹인 독경인들의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지방에서의 맹인 독경인의 활동 모습은 우선 조선시대에 중앙은 물론 지방 각 고을에 있었던 ‘맹청(盲廳)’, 일제강점기 때 각 지역마다 있었던 맹인조합과 같은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남지역에도 곳곳에 그러한 곳들이 있었다. 실제로 근대의 손진태는 1925년에 당시 경남 맹인조합장이었던 최순도를 만나 오늘날 중요시되는 경남지역의 ‘성주풀이’, ‘지양풀이’ 같은 서사적 노래 등을 발굴‧소개하였다. 오늘날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다른 곳들에는 거의 맹인 독경이 사라졌지만, 경남지역에서만은 아직도 비록 부분적인 형태로지만 전통사회의 맹인 독경을 하고 있는 사람이 몇 명 남아 있어 전통사회 경남지역의 맹인 독경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경남지역 맹인 독경은 모든 진행에 있어 불교적 의례들이 기반이 되어 있다. 이를테면, ‘조왕경’, ‘세존경’ 등 불교 의례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존재들의 독경은 불교 의례의 ‘조왕청’, ‘세존청’의 방식을 그대로 따랐다. 특별한 불교 의례가 없는 ‘성주경’의 경우에도 이러한 ‘세존청’ 등을 할 때 갖춰지는 ‘개단진언(開壇眞言)’, ‘건단진언(建壇眞言)’,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거목(擧目)’,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 ‘유치(由致)’ 등의 불교 의례적 방식들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물론 손진태의 「맹격고(盲覡考)」(1929)에서부터 맹인 독경의 유래로 고려시대의 ‘맹승(盲僧)’을 잡고 있기에, 그러한 불교적 요소들이 당연한 것일 수도 있지만 맹인의 것이든, 일반인의 것이든 독경을 무속적 시각에서 혹은 도교적 시각에서 주로 바라보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분명 의외의 사실이다. 고려시대의 맹승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이들이 여전히 의지하여 기반으로 삼고자 한 것은 불교 의례적 방식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맹인 독경에 있어서의 불교 의례적 방식은 손태도에 의해 소개되었듯 서울 맹인 독경의 경우는 부분적이었고, 서울과 일정한 거리에 있었던 경북지역 맹인독경의 경우는 거의 전면적이었다. 이번 경남의 경우에도 그러한 경북과 같은 전면적인 불교 의례적 방식들이 확인된다. 이로써 적어도 경상도지역에서는 불교 의례적 방식이 맹인 독경의 기반이었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서울과 일정한 거리에 있었던 경상도가 그러했던 것처럼 역시 서울과 일정한 거리에 있었던 다른 지역의 맹인 독경들도 각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이와 같지 않았을까 하는 시각도 가져볼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시각에 의해 앞으로 다른 지역의 맹인 독경들도 보다 제대로 조사‧연구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러한 맹인 독경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통해 이러한 맹인 독경에서 나왔다고도 하는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는 일반인의 독경도 보다 제대로 연구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representative folk religious rituals of traditional society were the shamans exorcism (굿) and the blind mans sutra chanting (독경). However, while certain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shamans exorcism are continuing, actual research on the blind mans sutra chanting is only beginning today. Today, we are looking for the origin of the blind man chanting from the existence of the blind monk (맹승. 盲僧) in the early Goryeo period. Because the blind monk is also the monk, they can read Buddhist sutras, and because the blind man have been performing fortune telling for a long time, they can act as people in charge of folk religious rituals in the extension of such fortune telling. In the Gyeongnam region, a blind man from Miryang (밀양), Gyeongsangnam-do was already practicing fortune-telli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so it is believed that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have been active since the Goryeo Dynasty in the Gyeongnam region too. The activities of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in local areas can first be found in things such as Maeng-cheong (맹청, 盲廳) that existed in each local town as well as the cen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Blind Association (맹인조합) that existed in each re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things like that all over the Gyeongnam region. In fact, modern-day Son Jin-tae (손진태, 1900~ ?) met Choi Sun-do (최순도), who was the head of the Gyeongnam Blind Association at the time, in 1925 and discovered and introduced epic songs such as Seongju-puri (성주풀이) and Jiyang-puri (지양풀이) of the Gyeongnam region, which are important today. Today,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has almost disappeared in other parts of the region except Seoul, but in the Gyeongnam region, there are still a few people who are still practicing blind sutra chanting in the traditional society, although in a partial form. As a result of my investigation, Buddhist rituals were the basis for all blind man sutra chanting in the Gyeongnam region. For example, the chanting of sutra by beings that are the elements of Buddhist rituals, such as Jowang-gyeong (조왕경. 竈王經) and Sejon-gyeong (世尊經) followed the method of Jowang-cheong (조왕청) and Sejon-cheong (세존청) in Buddhist rituals. Even in the case of Seongju-gyeong without any special Buddhist rituals, there are Gaedan mantra (개단진언. 開壇眞言), Geondan mantra (건단진언. 建壇眞言), Jeongbeopgye mantra (정법계진언. 淨法界眞言), Geomok (거목. 擧目), Bosocheong mantra (보소청진언. 普召請眞言), and Yuchi (유치. 由致) etc. that are came from the method of like Sejon-cheong (세존청) in Buddhist rituals. Of course, since Son Jin-taes “Maenggyeokgo (맹격고. 盲覡考)” (1929) holds the blind monk (맹승) of the Goryeo Dynasty as the origin of the blind man chanting, such Buddhist elements may be natural. But whether they belong to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or to the general people one, this Buddhist method is certainly an unexpected fact from todays perspective, which mainly views sutra chanting from a shamanistic or Taoist perspective. Even after the blind monk (맹승) of the Goryeo Dynasty, what the blind sutra chanter still relied on and tried to use as their ritual was the Buddhist ritual method in the Joseon Dynasty. As introduced by Son Tae-do, the Buddhist ritual method of sutra chanting for the blind man was partial in the case of Seoul one, and was almost complete in the case of Gyeongbuk region one, which was at a certain distance from Seoul. In the case of Gyeongnam, the same comprehensive Buddhist ritual method as in Gyeongbuk is confirmed.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at least in the Gyeongsang-do region, the Buddhist ritual method was the basis for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And just as the case of Gyeongsang-do, which wa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Seoul, was like this, we were able to see the blind man sutra chanting of other regions, which were also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Seoul, might have been the same, alt

      • KCI등재

        세계 예술사에서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연 판소리

        손태도 ( Tae Do Son ) 판소리학회 2002 판소리연구 Vol.14 No.-

        N/A P`ansori made possible new art area in the world art. So the art has cultural conditions that P`ansori has several conditions that are unusual in the world. First, there was Kwangdae group (광대 집단; an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 group in Korea) that had existed from at least the middle Koryeo dynasty to 1894. Second, Korea had Kwageoje (과거제; the official exam.) that wasn`t exist in Europe. Third, Seosa-muga (서사 무가; shamanic narrative poetry) existed in 18th. Kwangdaes had lived by only engaging folk art. Especially, they had participated the ceremony of Kwageo Keupcheja (과거 급제자; those who passed the official exam.) like Munheuiyeon (문희연; the banquet held in Keupcheja`s house) for a long period. So they could make P`ansori to act up to people`s desire in the performance art in 18th beyond the older rumorous performance like a Chaedam-sori (재담 소리; very humorous narrative songs). In this process Seosa-muga (서사 무가) contributed this P`ansori, the Kwangdae`s narrative poetry. In conclusion, P`ansori was coming into being a world art in value because there were three conditions suggested over here that was unusual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통사회 화극(話劇), 재담소리, 실창판소리에 대한 시각

        손태도 ( Son Tae Do ) 판소리학회 2015 판소리연구 Vol.39 No.-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성립된 광대의 공연물의 하나다. 그러므로 판소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판소리 이전의 공연물들, 이를테면 화극(話劇), 재담소리에 대한 시각도 갖춰야 한다. 특히 판소리를 <배비장타령>, <강릉매화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변강쇠타령>, <가짜신선타령> 등의 실창 7가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부가>, <적벽가> 등 전창 5가로 나눌 경우, 실창 7가들은 판소리보다 먼저 있었던 재담소리와 더 가까운 면이 있다.화극은 한 명의 광대가 중심이 되어 간단한 재담과 흉내내기로 하는 이른바 1인 소극(笑劇)이다. 화극은 대궐 안에서만 살아 대궐 밖의 일을 잘 모르는 임금을 위해 광대가 대궐 밖의 여러 일들을 연극으로 꾸며 보여주어 임금에게 정치적 도움을 주고자 했던 동아시아 국가들의 전통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한(漢)나라(B.C. 202~A.D. 220) 때 이미 그 전통이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부터 이뤄졌다. 화극은 간단한 연극 형태이지만 임금 앞에서 한다는 것으로 인해 오랫동안 광대의 주요 공연물이 되었다. 그러나 인조 4년(1634) 화극을 공연하던 가장 주된 행사인 궁궐의 연말 나례희(儺禮戱)가 폐지되자 급격히 쇠퇴했다.재담소리는 인조 4년 이후 광대들이 화극을 더 이상 주된 공연물로 할 필요가 없게 되자, 광대의 흥행 수단인 재담과 소리 중 종래의 화극 곧 재담극에 소리도 곁들여 부상시킨 광대의 공연물로 판소리 이전에 한때 이러한 재담소리 시대가 있었다. 이러한 재담소리는 순전히 관객을 웃기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그러한 작품들 속에서도 그 주인공에게 긍정적 요소도 있고 당시대의 주요 내용들도 다루어 사람들이 노래와 같은 공동의 방식으로 공동으로 지속적으로 향유할 만한 작품들은 서사시 곧 광대서사시가 되어 이후 판소리로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는 무부·악공·광대로 무당과 함께 무당서사시인 서사무가 문화를 오랫동안 공유해온 경기이남의 광대집단인 화랑이집단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반면 악공·광대로 무속과 관계가 없던 경기이북의 광대집단인 경기이북의 재인촌 사람들은 종래의 재담소리들을 이후에도 계속 부르게 된다. 오늘날까지도 전승되는 <배뱅이굿>, <장대장네굿> 같은 작품들이 그런 것들이다.실창판소리는 오늘날 남아있는 그 사설들을 보면 우리가 편의상 판소리라고 부르고 있지만 사실상 재담소리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배비장, 골생원, 장끼, 옹고집, 무숙이, 변강쇠 등 실창판소리의 주인공들은 모두 부정적 인물들로 풍자와 해학의 대상일 뿐이며, 그 줄거리나 전개방식도 골계일변도로 단지 웃기고자 하는 재담소리적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재담 계통의 공연물은 그 생명이 대체로 일회적이기에, 그러한 재담소리적 성격이 강한 실창판소리들이 전승이 끊어진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오늘날 우리들은 판소리를 연구할 때 대체로 판소리 하나만을 바라보며 하고 있다. 그러나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새로 성립된 광대의 공연물의 하나다. 이제는 판소리보다 먼저 있었던 광대의 공연물들인 화극, 재담소리 등도 고려하여 판소리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특히 실창판소리는 오늘날과 같이 판소리라는 시각에서보다는 오히려 재담소리란 시각에서 바라볼 때, 그 공연적, 문학적 작품성이 보다 제대로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Pansori is one of the Clown’s performances. It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Pansori, we should have perspective on the Hwageuk and Jaedamsori that were performed earlier than the Pansori. when we divide Pansori works into 5 Living-Pansoris, < Chunhyangga (춘향가) >, < Simcheongga (심청가) >, < Sugungga (수궁가) >, < Heungbuga (흥부가) >, and < Jeokbyeokga (적벽가) >, and 7 Lost-Pansoris, < Baebijang-taryeong (배비장타령) >, < Gangneung-maehwa-taryeong (강릉매화타령) >, < Jangkki-taryeong (장끼타령) >, < Onggojip-taryeong (옹고집타령) >, the later need to discuss with Jaedamsori that existed earlier than Pansori.Hwageuk is a sort of farce by one major Clown with jokes and funny mimics. This play was performed for the king that only lived in palace to introduce the affairs of the out of palace. It was already performed in Chinese Han (한, 漢) Dynasty (B.C. 202~A.D. 220). And it was widely spreaded at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confucian ones. In Korea, it was already taken place in Goryeo Dynasty. It was a very simple form play, but it had been a major performance of the Clown for a long time due to that it performed in front of the king. However, it rapidly declined, because Naraehui (나례희, 儺禮戱. a ceremony on the last day of the year) of the palace that was main stage for it abolished in the fourth year king In-jo (1634) in the Joseon Dynasty.When there was no need to maintain the Hwageuk as major performance, there was Jaedsamsori that was made from Hwageuk, so to speak Jaedamgeuk (재담극), to be added songs. There was Jaedamsori era before Pansori. This Jaedamsori placed its purpose for fun to the audience purely. However, even in such works, there were works developed to Pansoris, so to speak Clown’s epic songs. Because they dealt that day’s important affairs, and the main character of those works had a positive factor, so as result people continuously enjoyed them. In this process the Hwarangi (화랑이) group, the Clown of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layed an important role. They were shaman’s husbands, musicians in the office, and Clowns. So they were sharing shaman’s epic songs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Jaeinchon (재인촌) people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the Clown of he northern part of Gyeonggi only sustained the Jaedamsori like < Baebaengi-gut (배뱅이굿) > and < Jangdaejangnae-gut (장대장네굿) > that are sung until now. They had no relationship with shamans.If we look at the text of Lost-Pansori, we know that actually it is not Pansori but Jaedamsori. The hero of those works, Baebijang (배비장), Golsaengwon (골생원), Jangkki (장끼), Onggojip (옹고집), Musuki (무숙이) and Byeongangsoe (변강쇠), are all the persons of satire and humor with all the negative figures. And the story and the narrative methods also are fun themselves by using the method of Jaedamsori. As the life of the Jaedam (재담) related performance is a one-off, thus Lost-Pansori’s abolition is natural. Because it has a lot of elements of Jaedamsori.By this time, we researched the Pansori with solo perspective on the Pansori itself. But Pansori was one of the Clown's performances. Only it wa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now, we need to see Pansori with the relationship of Hwageuk and Jaedsamsori that existed before Pansori. Especially, in the case of Lost-Pansori, if we looked at it not in the perspective of Pansori but in the one of Jaedsamsori, its performatory and literary achieves could be more properly identifi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손태도 ( Son Tae-d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7 No.-

        문학활동은 이를테면 ‘문학생산’ 활동과 ‘문학수용’ 활동으로 양분된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은 고전문학의 수용과 관계된다. 그러나 문학수용 활동은 사실상 문학생산 활동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것이기에, 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논의에는 문학수용 활동 외에도 문학생산 활동에 대한 논의도 흔히 같이 다뤄진다. 오늘날 현대의 시, 소설 등과 같은 문자문학의 경우 ‘문학생산 : 문학수용’은 ‘쓰기 : 읽기’로 비교적 간단하다. 그런데 고전문학에서는 시가문학, 소설문학, 구비문학, 한문학 등에 있어 그것은 ‘가창, 음영, 구연, 공연, 강독(講讀), 쓰기 : 듣기, 읽기’의 방식들이 있다. 또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은 문학만으로 이뤄진 이른바 단독예술이지만, 가창, 공연되기도 하는 고전문학은 음악, 연극 등이 수반된 복합예술들도 많다. 이러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에 대한 문학적 소양도 가질 필요가 있고, 문학 외의 음악, 연극 등에 대한 시각도 필요하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들과 관계해서 오늘날에도 연구할 만한 과제들이 많이 있다. 고전시가에는 신라시대 불교의 향찬(鄕讚)으로서의 향가, 가곡과 무가(巫歌)의 관계, 가곡 한바탕에서의 가곡창사들의 순서, 『시용향악보』에 실린 무가(巫歌)들은 국가의 별기은(別祈恩)과 같은 국행 굿에서 불린 사실, 가사 장르의 향유방식으로서의 ‘창조로 불림’ 등이 오늘날에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연구과제들이다. 고전소설의 경우에는 지금에라도 전통사회의 소설 강독에 대한 현지 조사들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에는 전문 이야기꾼에 대한 조사와 그의 구연 영상물 제작이 이뤄져야 한다. 한문학에는 시창(詩唱), 한문 사(辭)·부(賦)·문(文)의 ‘창조로 불림’, 한문 경서(經書)의 성독(聲讀) 등에 대한 조사,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오늘날 고전문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입각한 여러 시각들도 가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과 같은 ‘듣는 문학’에는 ‘구전공식구(formular)’(일반적 언술), ‘핵심적 주제(theme)’(일반적 주제), ‘즉석변개작법’(improvisation) 등과 같은 A. 로드의 ‘구전공식구 이론(formular theory)’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수한 언술’, ‘특수한 내용’, ‘원전비평’을 중시하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정반대되는 면이 있다.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이 많은 고전문학은 구비문학의 이러한 문학적 방식을 기본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려가요나 실창 판소리들에 있는 과도한 음란(淫亂) 지향의 경우는 흥행을 목적으로 한 개방된 공간에서의 연행이란 문학 실현 공간 설정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한편 문학수용에 있어 ‘읽기’만 있고 예술적으로도 단독예술로 문학만 있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달리, ‘듣기’도 있고, 고전시가나 구비문학에서처럼 문학·음악, 문학·연극·음악, 문학·연극·무용·음악 등의 복합예술로도 있는 고전문학은 역시 ‘듣기’로 수용되고 문학·음악, 문학·연극·영상·음악 등의 복합예술로 있는 대중가요, 영화, TV드라마 등과 같은 현대의 매스미디어 문학의 이해, 연구에도 분명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은 물론 문학 곧 문학사설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나 향유방식에 의해 그 문학사설들이 결정되는 면도 분명히 있다. 특히 ‘읽기’ 외에도 ‘듣기’에 의한 향유가 많았고, 문학 단독 외에 문학이 음악, 연극, 무용 등과 같이 향유된 면들이 많은 고전문학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고려는 고전문학의 이해, 연구, 교육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Today, in the case of literary works such as modern poetry, novels, 'literature production : literature acceptance' are relatively simple as 'writing : reading'. However, in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ways of 'singing, chanting, narrating, performing, public reading, writing : listening, reading.' Modern literary works such as poetry and novels are sole arts made up only of literature, but classical literature have many complex arts accompanied by music, theater,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sic, theater, etc. also. There are a number of subjects to research today in relation to the accepting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such things at Hyang-ga (향가), Goryeo Sog-yo (고려 속요), Sijo (시조) and Gasa (가사) in of classical poetry. There is a public reading in classical novels. There is securing video materialㄴ for narrators in oral literature. And there are Si-chang (시창. 詩唱) and aloud reading in chinese proses. 'Listening literature', such as the oral literature needs to have the A. Lord’s 'formular theory' ― 'formular' (general words), 'themes' (general subject), and 'improvisation.' It is the opposite of contemporary poetry and novels that value ' special words', 'special contents', and 'original text.' Classical literature with a great deal of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 reading literature’ needs to have this 'formular theory' too basically. In the case of ‘excessive pornographic’ oriented events in Goryeo Gayo (고려가요) and Pansori (판소리), a vision is required to set up a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literature. The haman basic elements like a man and woman’s body subject can be evoked as a literature means at open place for anonymous people. Unlike modern poetry and novels, which are 'reading literature', and contain only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have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reading literature', and have complex arts ― classical poetry (literature and music), and oral literature (literature, music, theater etc.) These aspects are available to research modern mass media literature, which are all 'listening literature,' and all complex arts ― pop songs (literature and music), movie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and TV drama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Thus, a proper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accepting method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researching and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