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 보어의 범주 및 유형 : 기능문법을 중심으로

        손지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국어에서 보어의 개념 및 범주, 유형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본고 또한 문장성분으로서의 보어의 의미 기능을 살펴 범주와 유형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에서는 보어의 의미적ㆍ통사적ㆍ화용적인 기능을 살펴본다. 또한 서술어의 의미와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보어가 가진 논항의 지위를 확인하여 보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밝혀 범주를 확대할 것이다. Ⅱ장에서는 본고가 기능문법의 관점에서 보어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문법에 대해 먼저 살피고, 기능문법에서의 보어 개념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의를 결정하는 절차를 살펴보고, 본고에 적용한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보어의 특성을 살펴본다. 앞선 논의의 보어 개념 규정과 보어의 범위 설정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본고의 논의에 부합하는 보어의 개념을 제시하여 보어의 범주 설정 기준을 제안한다. 본고에서는 보어가 서술어의 의미를 보충하여 문장의 뜻을 완성하는 필수적인 논항의 일종이라고 보고, 보어의 범주를 서술어가 의미론적 필수성에 의해 요구하는 논항 중 주어, 목적어 이외의 성분으로 설정한다. Ⅲ장에서는 보어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되었던 보어 성분의 생략, 관계관형절의 표제화, 조사의 생략ㆍ교체ㆍ중첩, 서술어의 교체, 대용화 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논의되는 문장성분이 실제로 보어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서술어의 어휘 개념 구조에 대한 논의를 위해 주격과 대격의 의미역 계층과 조사의 의미역을 함께 살펴 보어의 특성을 알아 본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규정한 국어 보어의 개념과 범위 설정 기준을 바탕으로 기능문법의 관점에서 조사와 결합하는 보어의 형태를 분류하여 보어의 필수성을 확인한다. 보어의 유형은 ‘이’형, ‘로’형, ‘에’형, ‘에게’형, ‘에서’형, ‘와’형, ‘보다’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본고의 논지가 보어를 주어, 목적어와 함께 서술어의 논항으로 보는 것이므로, 조사 ‘이, 로, 에, 에게, 에서, 와, 보다’를 보격 조사로 보아 보어를 설정한다. 이는 조사의 의미역 또한 서술어의 논항의 의미역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며, 조사의 의미에 따라 분류의 체계를 설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2차년도) 최종 보고서’에서 서술어의 의미를 기준으로 논항을 알아 본다. 특히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에서 ‘문형’과 ‘하위 센스 구획’을 살피고, 이를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2차년도) 최종 보고서’에서 제시한 ‘문형’과 종합하여, 보어의 유형에 따라 서술 구조를 정리한 문형을 기준으로 서술어의 목록을 나열한다. 결론에서는 본고에서 살펴본 다양한 문장 분석을 통해 보어의 의미적 필수성의 근거를 찾고, 본고의 보어의 범주 설정의 타당성을 입증하여, 보어의 범주가 현행 학교문법에서 제시한 보어의 범위보다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There have been ongoing researches on concepts, categories and types of complement in modern Korean language. This article also aims at analysing functions of complement as constituent of sentence in order to explain its categories and types. It examines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functions of complement. By looking at its relevance to meanings of predicate, this article defines concepts of complement and proves that complement does function as argument. It also extends categorie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n Chapter II, since this article defines complement based on Functional Grammar, we first would investigate Functional Grammer, and seemed suggest the definition of complement. In relation to this, it will be applied to this article after looking at process of determining the meaning of a word. It also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advanced research. This paper also critically reviews various definitions of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mplement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suggests corresponding concepts to this article’s discussion as well as criteria for establishing categories of complement. This article recognizes complement as a obligatory argument in completing meaning of sentences by supplementing meaning of predicate. From this perspective, complement is regarded as an essential semantic component in addition to subject and object in argument. In Chapter Ⅲ,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ellipsis of complement, the head of the relative clause, ellipsis and substitutive use of predicate, as well as substitution, ellipsis and superposition of case-markers that are presented a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complement. In order to discuss about lexical conceptual structure of predicate, it also analyses thematic roles of nominative, accusative and case-marker. This process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 In Chapter Ⅳ, in accordance with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mplement that are defined in Chapter Ⅱ and Ⅲ, this article confirms a crucial role of complement by classifying types of complement. It divides types of complement that accompanied with 'i, ro, e, ege, eseo, wa, boda' as case-markers. Since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complement as argument of predicate with subject and object, this article presumes that there is relevance between thematic roles of proposition and argument of predicate. Means of the case-marker,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set. This paper also studies argument on the basis of meanings of predicate defined in various references. It particularly observes ‘sentence structure’ presented in references in order to list predicate. This list is set based on a predicative structure that is categorised by types of complement. In the conclusion, it proves an essential semantic basis of complement that has been analysed through various sentences in this article and demonstrates its validity in establishing categories of complement. On the basis of such findings, this paper finally confirms that range of categories of complement that is used in current school grammar may be extended.

      • 초등학교 정상아동의 관용표현 이해 능력의 발달

        손지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Objectives: The idiomatic expression is a special linguistic form that is particular in meaning, grammatical structure and usage. Idiom comprehension is especially difficult for children because idioms reflec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ciety. In general, children begin to acquire idiomatic expressions in their childhood. Since they are frequently exposed to idiomatic expressions during their school age period, the comprehension of idiomatic expressions is crucial to their language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only a limited amount of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idiomatic expressions in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ere is, however, no in-depth study on idiomatic expressions development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r this reason, we need a standard which could be used for comparing the development of idiom comprehension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of idiomatic expressions b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erms of age, gender,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Methods: 18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in the second grade, 60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and 60 children in the sixth grade. The task given to the students was to read a short paragraph followed by an idiomatic expression and choose one answer from four multiple choice answers that they thought was the meaning of the idiomatic expression. Then, they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familiarity with the idiomatic expression in 5 point scale system.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comprehension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increased with the age. In particular, the 2nd grad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e 4th and 6th grade students in comprehension level. Th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4th grade student group compared to the 2nd grade group, which implies that comprehension of idiomatic expressions improve significantly around the 4th grade level and the difference in comprehension level by age diminishes as the grade goes up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was observed among the 2nd and 4th grade stud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gender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s noticeable at lower age, but the gap diminishes as they get older. Transparency is one of the factors that help understand idiomatic expressions. However, no correlation between transparency and idiom comprehension was observed in the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iarity and idiom comprehension was observed among the fourth and sixth grade children, and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is correlation was higher among the 4th grade children than the 2nd and 6th grade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who begin to develop their idiom comprehension, rely more on familiarity for understanding idiomatic expressions than the children in the sixth grad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a significant indicator for language development of the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herefore, it has a particular academic significance in linguistic pathology field. Also, it will be very useful for screening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o do not exhibit any conspicuous problems in language development but have a difficulty in pragmatics and/or the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s syndrome. Finally, frequently exposi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to idiomatic expressions in daily life or mak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ir using idiomatic expressions will help increase their comprehension level of idiomatic expressions.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손지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산업화 이후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주택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공동주택은 197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고, 2015년 전체주택의 59.9%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택보급률은 서울특별시(96%)를 제외한 모 든 광역시는 100%를 넘고 있다. 편리함과 쾌적함 등 아파트가 가지는 여러 가지 장점들로 인하여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주택공급 중에 단연 아파트 공급의 비중이 가장 크다. 대량으로 아파트가 공급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공 급자 주도의 시장에서 소비자 주도의 시장으로 전환되었고,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주택시장 환경에서 소비자는 차별화된 주택을 요구하게 되었다. 주택에 대한 질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자본의 축적으로 인해 물질의 풍요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에서 인간의 감성이 더욱 다양화, 차별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경제·문화 및 인구구조의 변화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라이프스타일은 마케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택수요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주거선호 특성요인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부동산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앞으로 공급되어야 할 아파트의 주거선호 특성요인을 규명하여 아파트 공급정책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라이프스타일과, 가구구성 및 주거선호에 대하여 고찰하고,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인구, 가구 및 가구구조, 아파트 주거현황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부산의 아파트 규모는 99-132m2(30-40평)가 가장 많았고, 아파트 층수는 14층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25층 이상의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이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인구수와 가구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1인가구와 1세대 가구의 증가폭이 크지만, 2040년까지는 2세대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파트의 주차장 면수는 전국 평균 87.9%로 나타났고, 부산은 75.5%로 광역시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는 어린이 놀이터가 259호당 1개, 휴게 소는 494호당 1개, 노인정은 636호당 1개, 유치원은 2,119호당 1개로 나타났으며, 어린이 시설, 커뮤니티 시설 등의 부대시설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336부의 표본을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표본의 대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 47.0%(158명), 여자 53.0%(178명)으로 나타났으며, 중부산권 41.0%, 동부산권 30.1%, 서부산권 29.5%로 부산광역시와 비슷한 비율을 보여 표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아파트주거선호 특성요인, 라이프스타일과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하여 라이프스타일 측정변수로 행복추구형, 자기개발형, 개성추구형, 보수적 가족중심형, 성공지향형, 편리추구형, 사회형, 관계중시형으로 8개의 변수중 군집분석을 통하여 가족중심형, 사회중심형, 개인중심형으로 3개의 변수를 채택하였고,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10개의 변수를 채택하였다. 또한 SPSS 21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의 3개 유형의 변수,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의 10개 변수에 대한 교차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의 교차분석 결과, 첫째, 남성은 가족중심형, 여성은 개인중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과 라이프스타일의 교차분석에서는 모든 직업군에서 가족중심형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회사원과 전문직은 사회중심형, 공 무원과 자영업은 개인중심형, 주부와 학생은 가족중심형에 보다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총소득과 라이프스타일의 교차분석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가족중심형이 높았으며, 소득이 높아질수록 사회중심형과 개인중심형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의 분산분석 결과, 학력은 아파트외관, 연령은 자녀관련시설과 상권 위치, 가구구성은 자녀관련시설과 실내구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을 살펴보면, 개인중심형, 사회중심형, 가족중심형이 공통적으로 아파트기능과 인테리어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중심형은 자녀관련시설과 실내기능을 중요시 하였고, 사회중심형과 개인중심형은 아파트 외관, 개인중심형은 커뮤니티 시설을 중요시 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집단의 라이프스타일은 아파트 기능과 인테리어를 중요시하면서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내포하고 있는 성격대로 가족중심형은 자녀시설, 사회중심형은 겉으로 보여지는 아파트 외관, 개인중심형은 본인이 편리하고 즐길수 있는 시설까지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공급되는 아파트는 특성요인중 아파트 기능과 인테리어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할 것이며, 라이프스타일이 개인중심적으로 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어 커뮤니티 시설 또한 신경써서 공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중심적이라도 가족중심형적인 사고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상권이 좋지 않은 외곽이라도 자녀의 관련시설을 중심으로 건설한다면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 중·고령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연구 :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차(2008년)∼7차(2018년)를 이용하여

        손지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의 가속화와 은퇴가 맞물려 연장된 노년기의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압축적 고령화 추세와 비교해 공식적·비공식적 대비가 미흡하여 은퇴 이후 삶에 대한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노년기 삶의 연장으로 고령자의 삶의 질이 국민 전체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낳게 되어, 연장된 노년기에 대한 삶의 만족 향상은 사회정책의 주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삶의 만족도를 측정할 때에는 객관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사회적인 인지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요인들의 영향력까지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하며, 응답자 스스로 판단하여 주관적이라고 평가되는 지표들이 그 자체로 충분히 객관적일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요인으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사용되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주관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차(2008년)부터 7차(2018년)의 자료를 병합한 후, 취업자와 뚜렷한 직업을 가진 적이 없는 비경제활동자를 제외하고, 사용한 모든 차시와 변수에 응답한 2,634개의 은퇴자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확인, 하우스만 검정, 패널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분석결과는 고정효과모형을 중심으로 해석하되, 시간 불변 변수들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임의효과모형을 먼저 제시하였다. 삶의 질 수준 측정지표의 하위영역으로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제공하는 모든 삶의 만족도 - 전반적인 삶, 건강상태, 경제상태, 부부관계, 자녀관계 만족도 - 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건강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이며 통제변수는 인구·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건강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규칙적 운동, 만성질환의 수, 우울증(CES-D10), 인지기능(MMSE),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IADL), 음주, 흡연을 채택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교육수준, 연간 가구총소득의 로그값, 자가소유 여부, 주관적 계층의식, 친구 만남 빈도를 추가하였다. 인구·사회적 요인은 성별, 연령, 배우자, 지역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은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된 요인은 ‘주관적 계층의식’으로, 모든 만족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며 공통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객관적 지표인 연간 가구총소득의 로그값이나 자가 주택소유 여부보다도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주관적 계층의식이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만큼이나 개인의 삶의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 된다. 노년기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노년기 이전에 이미 결정된 객관적 지표들뿐만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친 자신의 주관적인 감정까지도 포함하는 평가라는 측면에서 삶의 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주된 요인이다. 둘째, 다음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삶의 만족도 연구들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건강의 악화는 치료비용, 노동능력 상실 등의 이유로 소득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삶의 만족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앞서 언급한 주관적 계층의식과 마찬가지로, 주관적 건강상태는 객관적 지표들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볼 필요가 있다. 만성질환 이환 여부, 스트레스, 피로 정도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판단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그 자체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인 지표로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지난 10년간 한국사회의 중·고령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자녀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경제상태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만족도의 유형과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넷째, 중·고령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남녀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모든 만족도에서 남성이 여성과 비교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격차가 점차 좁혀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인 만족도가 증가할 때, 남성의 만족도는 감소하고 여성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등의 차이를 보였고, 남성의 음주 여부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데 반해, 여성의 음주 여부는 전반적인 삶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부부관계 만족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제공하는 삶의 질 영역의 5가지 삶의 만족도를 모두 사용하여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고, 성별에 의한 차이와 주관적 계층의식에 주목하여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terest on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growing in relation to the acceleration of aging and a prolonged senescence.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rapid aging trajectory and a lack of official and non-official retirement preparation has produced a high level of anxiety amongst the public. The growth of older populations and an extended life expectancy has led to the quality of the senescence’ lif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life satisfaction. Naturally, this has increasingly became a major issue in the social policy debate. This study argues analysis should include factors bas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cognition of individuals not only objective ones. In addition, it shows that factors that respondents themselves deem subjective can indeed act as an objected factor. ≪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 is specified in this study to support this. This study utilizes the Panel Analysis of the 2nd (2008) through 7th (201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Specifically, 2,634 retiree data sets have been analyzed after excluding the employed or the economically inactive. All specific life satisfaction variables from the KLoSA – overall life, health, financial, conjug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 are adop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ingle most influential factor on middle and old aged retirees’ life quality was ≪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 This factor possesses the largest impact on all satisfaction variables as well as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 Results show that this factor i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objective factors, such as house ownership or natural logarithms of yearly household gross income. Therefore, the hypothesis stating that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s as important a component influencing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as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s supported. Second, the study could confirm the importance of self-rated health. A self-rated health, in the same manner as the aforementione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encompasses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Third, the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middle and old aged retirees have been changing constantly throughout the 10 years. Forth,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aged retirees showed discrepancies among gender. This study has explored the changes 5 main life quality factors, provided by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an impose to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repancies between different genders and sheds light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hich can be translated to baseline data for retiree policy making.

      • 중년 여성의 심폐기능에 대한 생활 에어로빅스 기간의 효과

        손지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 에어로빅스 지도현장에서 지도자나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생활 에어로빅스의 처치기간에 따른 심폐기능을 비교해 보았다. 대상은 생활 에어로빅스 운동경험이 전혀 없는 비운동 집단과 생활에어로빅스를 8주-10주 실시한 단기간 운동집단, 생활 에어로빅스를 16주 이상 실시한 장기간 운동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점증운동부하검사로 심폐기능 변인들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일원변량분석과 독립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시 심박수와 점증부하 운동시 최대심박수는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증부하 운동시 최대산소 섭취량은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독립 t 검정 결과로 본 단기간 운동집단과 장기간 운동 집단간에는 장기간 운동집단이 약간 높은 수치를 보이기는 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단위체중당과 단위체표면적당 최대 산소 섭취량은 일원변량분석과 독립 t-검정 모두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점증부하 운동시 최대 환기량은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독립 t-검정 결과로 본 단기간 운동집단과 장기간 운동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단위체중당과 단위체표면적당 최대환기량은 일원변량분석과 독립 t-검정 모두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점증부하 운동시 운동지속시간은 운동기간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운동 집단보다는 단기간 운동집단이, 단기간 운동집단보다는 장기간 운동집단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심폐기능 관련 연구에서는 피검자들의 신체적 특징과 심폐기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개인의 체격, 체구성 성분의 변화와 심폐기능 변인의 변화를 함께 관찰하여 연구한다면 보다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d cardiovascular function of middle aged women by Aerobicdance's period to provide leaders or programers useful data in spot that guide sound Aerobicdance. Groups are divided into three for each study subject, the first one is restricted non exercise group without any excercise ever, the second group is with 8-10 weeks' short-period excercise group, and the last group is with more than 16 weeks long period excercise group. I compared one with others and analyzed the cardiovascular function with when they were Bruce test. The comparison results of research in the method of ANOVA test and independent t-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big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when they are checked heart rate at rest and maximum heart rate when they are Bruce test. Second, in maximum oxygen uptake tests, there are difference among groups by exercise period. In ANOVA shows there are also difference maximum oxygen uptake among groups. However independent t-test shows maximum oxygen uptake in longer period exercise groups are higher than the shorter period exercise group, but difference is slight.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serious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in its maximum oxygen uptake that divide into weight and body size both Bruce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ird, maximum ventilation values among groups by exercise period when they are Bruce test show serious difference, but also in its independent t-test shows difference is slight between short and long exercise period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rious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in its maximum ventilation that divide into weight and body size both Bruce test and independent t-test. Fourth, there are difference among, groups according to exercise period when they are Bruce test in its exercise endurance time. In this test the longer exercise period groups, the better the results come upon. In the future study, I expect more fruitful results by executing preliminary inspection of cardiovascular function, characteristics changing elements of their physical components for all group personnels.

      • 어머니의 정서조절력을 매개로 한 의사소통유형과 자녀인식 연구

        손지은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mothers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ability to emotion regulation on the communication types and perceptions on the children. Mothers physically, emotionally, and socially influence their children and thu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understand emotional regulate and engage in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in a more positive way, which will be the basic materials to develop effective parent education materials allowing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ir children. In this regar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subjects inquiry. First, are ther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types,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and perception on children?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among communication types, ability to emotion regulation, and perception on childre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s? Third, how do the mother’s communication types affect perception on children? Fourth,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s and perception on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mothers who have lower grades children who go to elementary school in Deogyang-gu, Goyang-si, Gyeonggi-do, Korea and Dobong-gu, Seoul, Korea. With the helps by homeroom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hich were collected by students.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343 copies and except for 23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320 copies were used for this study.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the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demographic differenc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types on perception on children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s and perception on children by the mediation of the abilities to emotion reg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laming and congruent communications. Abilities to emotion regul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n children. Placating and blaming communication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n children whereas reasoned and congruent communication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ption on childre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n reasoned communication depending on occupation status: whether the mom has a job or not. Monthly household income has an impact on placating and distraction types communicat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abilities to emotion regul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which also has an effect on perception on children. Third, blaming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perception on children while reasoned and congruent communications play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on children. Fourth, it has been examined that the abilities to emotion regul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ruent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on children. To sum up, communication types played an impact on perception on children and the abilities to emotion regulation mediated communications and perception on childre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s in advance and if a mother gets better at emotion regulation, perception on children will increase. 본 연구는 자녀의 성장에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초등학교 저학년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조절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과 자녀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머니가 정서조절에 대해 더 이해하고 의사소통 유형을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자녀와 소통함으로써, 향후 어머니가 자녀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유형, 정서조절력, 자녀인식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 가?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의사소통유형, 정서조절력, 자녀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은 자녀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의사소통유형과 자녀인식 사이에서 정서조절력은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와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저학년 학생의 어머니들을 대상 총400명으로 실시했다. 담임교사의 도움으로 질문지를 배포하고, 학생들을 통해 수거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343부였으며, 성실하지 못한 설문지 23부를 제거하고 연구에는 320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들은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들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인구통계학적 변인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정서조절력의 매개로 의사소통 유형과 자녀인식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비난형과 일치형 의사소통은 정서조절력에 정적(+) 상관이 있다. 정서조절력은 자녀인식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의사소통유형중 회유형과 비난형 의사소통은 자녀인식과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이성형과 일치형 의사소통은 자녀인식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 유무에 따라 이성형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었고, 가정 월수입에 의사소통 유형에 차이가 있었으며, 차이를 보인 것은 회유형과 산만형이었다. 교육정도에 따라서 정서조절력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정도에 따라 자녀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난형 의사소통은 자녀인식에 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이성형과 일치형 의사소통유형은 자녀인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조절력은 일치형 의사소통과 자녀인식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의사소통유형은 자녀인식과 관계가 있었으며, 정서조절력은 의사소통과 자녀인식을 매개하고 있었다. 어떤 유형의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지 패턴을 의식하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함이 중요하며, 정서조절력이 높아지면 자녀인식도 높아질 것이다.

      • 경주 낭산 능지탑 소조사방불상 연구

        손지은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주 狼山 西麓에 자리잡고 있는 陵旨塔은 특이한 구조의 石塔 유적으로 신라 文武王의 화장터로 추정되고 있다. 이 탑은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기단 주위로 十二支神像이 둘러싼 방형의 능묘형태로 복원되었는데, 그 원형과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자연석과 진흙으로 무질서하게 쌓아올린 기단부라고 할 수 있는 方形壇의 아랫부분에 동서남북의 사방으로 배치된 소조불좌상이 복원과정에서 매몰되었기 때문에, 塑造四方佛像에 대한 복원적인 고찰은 능지탑을 둘러싼 의문을 해소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 소조상의 귀중한 예로서 이 시기 소조상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주목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능지탑 소조사방불상의 형식과 양식적 특징, 제작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능지탑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능지탑 소조사방불상은 발견 당시 많이 파손되어 전체적인 모습은 알 수 없는 상태였으나 남아있는 감실과 양 무릎의 크기를 통해 볼 때, 좌고가 약 250cm 정도인 대형의 塑造丈六佛像으로 추정된다. 북쪽과 서쪽의 소조불좌상의 결가부좌한 다리의 부분의 볼륨감, 풍부한 양감을 지닌 탄력 있는 신체, 양각으로 도드라지게 표현된 긴장감이 팽배한 옷주름 선에 보이는 세련된 조형감은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판삼존불상과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출토 순금제아미타불좌상과 유사한 특징이 간취되며, 코와 발의 우수한 인체의 모델링에서 통일신라 초기 良志의 소조조각으로부터 형성된 사실적인 표현과 기법이 잘 반영되어 있어, 통일신라 7세기 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능지탑 소조불의 전체적인 형식과 조형미에 원류로 일본 京都 藤井有鄰館에 소장된 唐 貞觀 13年(639)銘 석조불좌상을 꼽을 수 있으며, 일본 야쿠시지(藥師寺) 金堂에 안치된 금동약사삼존불상의 본존불좌상은 양식적인 궤를 나란히 하는 불상으로 생각된다. 특히,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순금제아미타불좌상은 능지탑 소조불의 원형에 가장 근접하는 형식의 예로 판단된다. 또한 소조라는 재료에 주목하면, 일본 아스카(飛鳥) 후기(白鳳時代)의 소조상과 유사성을 찾을 수 있어 서로의 영향관계를 그려볼 수 있다. 능지탑 북쪽의 소조불의 파편에서 발견된 명문은 방위를 표기하여 불상을 구분하고 있는 점에서 능지탑 소조불이 사방불로 제작되었고 각각의 도상이 달랐음을 강하게 시사해 준다. 또한 신체의 각 부위의 명칭과 위치가 새겨진 명문을 통해 불상의 겉 부분을 분할 소성하여 다시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소성식으로 이 정도 크기의 대형 소조상을 만든 예는 중국과 일본에도 알려진 바가 없으며, 동일한 제작기법으로 제작된 예가 청양 본의리 요지 소조상현대좌에서 발견되므로 백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소조불의 대좌 전면에는 백제의 건물지에서 주로 확인되는 瓦積이 남아있어 능지탑의 건립에 삼국통일 이후 신라로 이주한 백제 장인들이 참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작기법에서 기와제작과 유사성이 발견되는 점과 기와가마터에서 소조상이 제작된 점에 비추어 볼 때, 소조사방불상의 제작지는 능지탑에 瓦塼을 공급하던 기와가마이거나 낭산에 능지탑 소조사방불상만을 위한 전용가마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능지탑 소조사방불상은 통일신라시대 最古의 사방불로서 이후 사방불의 조성에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통일신라 초기에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방형기단의 사면에 방향에 맞춰 불상을 배치한 독특한 형태의 탑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능지탑이 가지고 있는 여러 성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능지탑의 형태는 고구려의 적석총에 원류를 두고 있으며 중국 南朝의 석축한 祭壇과도 유사성을 보여, 분묘의 성격과 제단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낭산은 전통적으로 토속신앙이 있었던 지역으로 불교가 융성함에 따라 불교와 습합된 제단의 양상을 띠면서 불교적인 요소인 사방불이 등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낭산이 신라왕족이 사후에 머무는 忉利天이 있는 須彌山으로 인식되었고 사방불은 불국토가 구현된 곳임을 알리는 상징적인 존재임을 고려해 볼 때, 문무왕이 승하하고 나서 이전에 보이지 않던 불탑이 건립된 배경에는 능지탑에서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 문무왕을 비롯한 신라왕족의 극락왕생을 비는 불교식 제사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가정하에 능지탑의 북쪽에 위치한 건물지로 추정되는 토단유구는 祭室이나 殯殿으로 추측해 볼 수도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성격을 띠는 불탑의 조성에는 삼국이 통일되면서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가 신라에 유입되어 융화되는 정치 사회적인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능지탑의 축조기법과 구조는 일본 나라시대(奈良時代)에 조성된 즈토(頭塔)와 구마야마토( Neung-ji-Pagoda(陵旨塔), located in the Nangsan(狼山) in Gyeongju, is a heritage of stone pagoda in a unique structure that is currently assumed to be cremation site in King Moonmu(文武王). Excavation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between 1969 and 1975 restoring this tower in a royal tombs square structure that 12-earth-Gods statues were installed. However, it is still in doubt as to how it was established in what characteristics. Especially, serving as an outdoor transition zone after being built in disorder with natural stone and dirts, a square structure has witnessed Buddhist seats that were previous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in the tabernacle to be collapsed in a procedure of investigation. Therefore, it is much anticipated for restoration study of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mage(塑造四方佛像) to serve as a role in understanding Neung-ji-Pagoda. Furthermore, it is also regarded to have a precious artistic value as an example for being able to confirm the real image of Terra-cotta Buddha in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form,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n Neung-ji-Pagoda and intended to suggest feasibility of new perspective in interpretation on characteristics of Neung-ji-Pagoda.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mage in the Neung-ji-Pagoda was severely damaged when it was discovered that overall figure was not properly identified. However, according to the remaining tabernacle and both knees, it is assumed to be Buddha status of sixteen-feet(丈六像) in a large scale of approximately 250cm of a height when seat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legs completely crossed when Terra-cotta Buddha seated in Northern and Western sides, elastic body in a sense of enriched volume, and sophisticated model shown in the tight clothes wrinkles protruded in both angles, it is feasible to assum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status of the Buddha in the prime of Unified Silla Dynasty. In addition, realistic expression and techniques were well reflected on the modeled sculptures of Yangji(良志) in the early Unified Silla Dynasty in the outstanding human body modeling of nose and legs.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manufactured in the last 7th century. As for the origin of overall form and model of the Terra-cotta Buddha in Neung-ji-Pagoda, stone statue of the Buddha in the 13th year of Chen-guan(貞觀) that is located in Fujii Yarinkan Museum(藤井有鄰館) in Jap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addition, Bonjonbul seated image of Buddha of Gilt-bronze Bhaisajyaguru Buddha Triad image in the main building of Yakusiji(藥師寺) are regarded to be two major forms of statue of the Buddha. In addition, Golden Seated Buddha Image excavated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Guhwang-dong in Gyeongju is regarded as an example that is the closest to the original form of Terra-cotta Buddha in Neung-ji-Pagoda. In addition, if focusing on the material named Terra-cotta, a similarity has been identified with Terro-cotta Buddha in the late Asuka(飛鳥) Hakuho(白鳳) Period of Japan leading to assume the relation of influence on each other. Writings that the location and name of each part of body on the particles of Terra-cotta Buddha in northern area of Neung-ji-Pagoda were found. Hereupon, it is now assumed that exterior areas of the status of Buddha were divided Terra-cotta and combined afterwards. There has not been any example of such a large scaled status of Buddha in China and also Japan. An example of the status of Buddha manufactured in an equivalent manner was found in the clay seated image of Buddha in Bonui-ri of Cheongyang in Baekje. Therefore, it is assumed to be influenced by Baekje. Furthermore, Wajeok(瓦積) is left at the structures in Baekje on the front side of face of Terra-cotta Buddha. Hereupon, it is also assumed that artisans in Baekje might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Neung-ji-Pagoda after migrating to Silla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In addition, seeing as how there was similarity on roof-tile making procedures i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lay statues were manufactured at the kiln site of roof tile, it is assumed that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mage was manufactured at roof-tile kiln site that provided Wajeon(瓦塼) in the Neung-ji-Pagoda, or there might be an exclusively designed kiln only for Neung-ji-Pagoda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mage at Nangsan Mountain. In addition, writings found in the particle of Terra-cotta Buddha in northern area Neung-ji-Pagoda classified the status of Buddha by indicating the direction. Therefore, it strongly implies that Neung-ji-Pagoda Terra-cotta Buddha was manufactured as four directional Buddhas with different ballasts. Terra-cotta Four Directional Buddhas Image at Neung-ji-Pagoda in th late 7th century was four directional Buddhas of the oldes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at is assumed to serve as a pioneering role for establishing Four Directional Buddhas afterwards. As for the construction of tower in a unique form of arrangement for status of Buddha according to the four directions that were built with natural stone and clay as an unprecedented case in early Unified Silla Dynasty, it is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Neung-ji-Pagoda. The form of Neung-ji-Pagoda has an origin at Jeokseokchong(積石塚) in Goguryo that is similar with altar in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in China. Hereupon, it is assumed that Neung-ji-Pagoda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ltar and also tomb. Especially, Nangsan Mountain, as a place with traditional religion, has characteristics of altar incorporated into Buddhism as it flourished assuming that Four Directional Buddhas was created. Especially, after King Moonmu passed away, most of the unseen status of Buddhas were created that Nangsan Mountain wa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비합리적 신념이 분노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날로 증가하는 청소년 비행 및 범죄가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학교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자아존중감,비합리적인 신념 및 분노조절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들이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족 변인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 변인인 자아존중감 및 비합리적인 신념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개인 변인들이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미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청소년의 성별,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수준 및 가정경제 수준에 따라 분노조절능력 및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비합리적 신념,분노조절능력은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셋째,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하여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가?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 1,2,3학년 학생 58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ParentBehaviorRating:PBR),자아존중감 검사,분노조절능력 검사(MultidimensionalAnger Inventory:MAI),비합리적 신념 검사(IrrationalBeliefs Test:IBT)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통계처리는SPSS 14.0과 AMOS 7.0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t검증과 변량분석,상관분석,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청소년의 성별,학업수준,가정경제 수준에 따라 분노조절능력뿐 아니라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자아존중감,비합리적인신념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학업성적과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나고,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했으며,자아존중감이 높고,비합리적인 신념의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했으나 그 외 인인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분노조절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분노조절능력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살펴본 결과,가족 변인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개인 변인인 자아존중감 및 비합리적 신념은 모두 분노조절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분노조절능력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이 매개할 것을 가정하고 매개모형을검증하였다.이 때 분노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비합리적 신념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매개모형 검증 시 성차는 고려하지 않았다.그 과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비합리적 신념을 낮춰주는데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분노조절능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분노조절에 미숙하여 부적절하게 분노를 표출하는 청소년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고,각각의 변인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집단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나아가 분노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방법 및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는데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삼제,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인지도식과 수줍음의 관계

        손지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cognitive triad, automatic thoughts, dysfunctional schemas, and shyness in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Y school in Daegu. The measures were Revised Cheek & Buss Shyness Scale, Cognitive Triad Inventory for Children(CTI-C),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 (K-CATS), and Korean Dysfunctional Schemas Questionnaire (K-DSQ).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7.0 statistics program. Pearson'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cognitive triad, automatic thoughts dysfunctional schemas, and shynes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of the sub-variables of cognitive triad and shyness were negative. Negative perspective toward the world had the strongest impact on shyness, and negative perspective toward themselves was in the second place. Second, the sub-variables of automatic thoughts significantly predicted shyness. Third, sub-variables of dysfunctional schemas significantly predicted shyness. Anxiety predicted shyness better than depress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지삼제,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인지도식과 수줍음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Y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390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수줍음 척도, 아동용 인지삼제 척도, 아동·청소년용 자동적 사고 척도, 청소년용 역기능적 인지도식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아동의 인지삼제, 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인지도식과 수줍음 간의 관계를 알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지삼제의 하위 변인과 수줍음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중 세계에 대한 부정적 견해, 자기에 대한 부정적 견해 순으로 수줍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동적 사고의 하위 변인은 수줍음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중 사회 불안 인지, 우울 인지 순으로 수줍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하위 변인과 수줍음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변인 중 불안 도식, 우울 도식 순으로 수줍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아동의 수줍음과 부정적 인지와의 관계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아동의 수줍음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지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