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 과두 골절의 관혈적 정복시 고정 방법에 따른 임상적 평가

        손정희,박지화,김진수,변기정,Son, Jung-Hee,Park, Ji-Hwa,Kim, Chin-Soo,Byun, Ki-Ju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 sample of patients who had condylar fractures treated with open reduction using different plating techniques, to evaluate which plating technique is useful for stable fixation for fractures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resorbable miniplate. There were 60 patients (41 males, 19 females) whose condylar fractures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Rigid fixation was performed with a single miniplate, double miniplate ot one miniplate & one microplate and single resorbable plate. All patients remained intermaxillary fixation for 1 week postoperatively. Active physiotherapy was started after 2 weeks postoperatively. Radiographic evaluation (plate fracture, plate bending, screw loosening, displacement of condyle etc.) was performed at pre-operative, immediate, 2 weeks, 1 month, 3 months, 6 months after surgery.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degree of mouth opening, occlusion, mandibular lateral excursion, infection and facial nerve paralysis. In radiographic evaluation, displacement of fractured condylar segment associated with plate bending or screw loosening were showed 6 cases and 3 cases for single miniplate system and resorbable miniplate system. There was no patients who have this problem on double miniplate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two miniplates were more recommendable than single miniplates. When we select resorbable miniplate system, we should consider the type of fractures, post-operative treatment protocol and surgical technique.

      • KCI등재

        조선시대 ‘완물’(玩物)의 논리 구조 -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의 층위를 중심으로

        손정희 ( Son Jung-hee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2

        본 연구는 조선 지식인들의 ‘완물’(玩物)에 대한 논리 구조를 ‘유’(游)의 범주에서 ‘유어예’(游於藝)와 ‘완물’이 지니는 층위에 주목하여 살펴본 것이다. 동아시아 전통 미학에서 ‘유’의 개념은 인간의 보편적 유희 관념과 맞물려 있다. 인간의 노니는 활동과 관련되는 ‘유’의 개념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본업과 대비되는 여가 활동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면서 지식인들은 ‘유’의 방식으로 예술을 인생과 융화시켜나가는 흔적을 남기게 된다. 특히 유가에서 공자(孔子)의 ‘유어예’는 ‘유’의 활동을 통한 미적 인생의 경계를 제시하였으며, 주희(朱熹)의 ‘유어예’와 ‘완물적정’(玩物適情)의 논의를 통해 보다 고차원적인 의미로 자리매김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유’의 범주는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빠트릴 수 없는 각종 오락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노닒에 적절함을 벗어난 ‘유’의 경우는 ‘완물상지’(玩物喪志)로 지목되어 저급한 차원으로 이해되곤 하였다. ‘유’의 개념 층위는 ‘완’(玩)의 개념 층위와도 긴밀히 조응되는데, 무언가에 푹 빠져 노니는 ‘완’은 외부 대상을 통해 마음을 빼앗기게 되는지 아니면 그 마음을 기르는 것인지에 따라 ‘완’의 층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완물의 층위 역시 감각적 차원의 완물과 고상한 차원의 완물로 구분되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시대는 바로 이 두 가지 완물 노선이 팽팽한 긴장 관계를 이루며 완물 담론을 다채롭게 전개시키게 되며, 지식인들이 추구해나간 완물의 논리 구조는 자신들의 완물 행위가 고상한 차원의 완물임을 합리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 지점에서 ‘완물상지’의 대응 논리로 내세워진 것이 바로 ‘유어예’와 ‘완물적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조선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완물 취미를 저급한 취미(俗)와 차별화시키며 고상한 취미(雅) 활동으로 정당화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고상한 차원으로 표상된 완물은 상층 문화의 고급 취미로 자리잡게 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Joseon intellectuals’ logical Construction of ‘Wanmul’(玩物) focusing on the layers of ‘Yueye’(游於藝) and ‘Wanmul’(玩物) in the categories ‘Yu’(游). In traditional East Asian aesthetics, the concept of Yu is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notion of play in human beings. Associated with the human’s act of play, the concept of ‘Yu’ is closely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a contrast to human’s main job, and intellectuals come to leave a trace of harmonizing art with life in the manner of ‘Yu.’ Confucius’ ‘Yueye’ in Confucianism specifically presents the border of aesthetic life through the activity of ‘Yu’ and it has become a higher-level idea through discussions of Zhuxi(朱熹)'s ‘Yueye’ and ‘Wanmul Jeokjeong’(玩物適情). The category of ‘Yu,’ however, is closely linked with various kinds of entertainment, an essential to human’s everyday life and ‘Yu’ beyond appropriateness in play is pointed out as ‘Wanmul Sangji’, which would be understood as inferior. Ambiguous conceptual layers of ‘Yu’ intimately correspond to those of ‘Wan’(玩) as well; ‘Wan,’ the act of being indulged in something, may vary its layer depending on whether one is captivated through exterior things or cultivates one’s mind. In other words, layers of ‘Wanmul’ are also categorized as sensual level and elegant one. With these two directions of extremely tense Wanmul in Joseon period, they diversely developed discourses of Wanmul an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Wanmul that intellectuals sought was built up in directivity to rationalize their act of Wanmul was at an elegant dimension. At that point, the counterpart to ‘Wanmul Sangji’ was put up as ‘Yueye’ and ‘Wanmul Jeokjeong.’ In addition, Joseon intellectuals differentiate their taste from their low taste and justify it as a high taste activity. As a result, Wanmul which is described as elegant dimension become a high taste for the upper culture.

      • KCI등재

        조선시대 ‘완호(玩好)’의 내적 원리와 ‘취미(趣味)’의 품격 시스템

        손정희 ( Jung-hee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59 No.-

        동아시아 미학에서 대상에 대한 ‘쾌’ 또는 ‘불쾌’를 판별하는 역할은 ‘맛보기’와 관련된 개념들이 도맡고 있었다. 그 중 하나의 계열이 선진시대 ‘기(氣)’의 관념에서 형성된 ‘기미(氣味)’ ㆍ ‘취미(臭味)’였으며, 이와 더불어 ‘취(趣)’의 개념에서 파생된 ‘취미(趣味)’가 합세하게 되면서 주체의 ‘취미’에 의해 대상의 맛을 판별하는 의미 체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취미(趣味) 개념은 기미ㆍ취미와 더불어 미적 범주에서 뚜렷한 자기 존재감을 드러내게 되는데, 그 중 주목할 점이 완호(玩好)에 대한 내적 원리를 이들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무언가를 즐기고 좋아하는 완호의 문제는 외부 대상을 통한 주체의 미감 작용에 따라 ‘즐거움’이라는 쾌감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즐거움이 외부 대상에 대한 좋아하고 애호하는 마음의 지향성을 도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 대상의 자극에 따라 주체의 ‘취미(趣味, taste)’는 그 대상을 향한 일종의 맛보기를 통해서 ‘맛이 있다’고 판단되는 완호 대상에 대해 취미 있는 일로서 ‘취미 활동(hobby)’을 실현시키는 의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조선시대에 완호 대상은 사대부 문인들의 자아 정체성과 연결되고 있었는데, 이들은 자신의 취미에 부합되는 완호 대상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신이 속한 계급 위치를 표징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완호 대상의 품격은 그 사람의 ‘취미’의 품격과 동일시되면서 ‘취미’는 일종의 문화적 계급성을 표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In East Asian aesthetics, concepts related to “taste” play the role of evaluating the pleasure and displeasure of objects. Among such concepts, gimi (氣味) and chwimi (臭味) were derived from the idea of gi (氣) in the Pre-Qin (先秦) period. In addition, chwimi (趣味), derived from the concept of chwi (趣) joined gimi and chwimi, so that the meaning system of identifying the taste of objects by the subject's chwimi was made. In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chwimi (趣味) exposed its presence clearly in the aesthetic category together with gimi and chwimi. In this stream, one of the focuses is on the internal principle of wanho (玩好; liking) explained by the concepts of gimi and chwimi (臭味; 趣味). That is, the issue of wanho is linked to pleasure depending on the subject's aesthetic sense, which leads to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liking external things.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chwimi forms a meaning structure that realizes a hobby as tasteful activities about wanho's objects, which are evaluated as tasty through a kind of tasting. In particular, the self-identity of the literati in the Joseon dynasty was formed by symbolizing their elegant chwimi as their social class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dignity of wanho's objects was identified with the dignity of the person's chwimi, so that chwimi established a system representing a kind of cultural class.

      • KCI등재

        조선 지식인의 ‘玩好’와 자아 정체성 ― ‘비덕(比德)’과 ‘기류(氣類)’의 관점에서 본 완호의 원리를 중심으로

        孫禎希 ( Son Jung-h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유가 문화권에서 ‘玩好’의 원리는 ‘比德’의 체계로 설명되면서 사물과 사람의 유비 관계에 따라 사물에 대한 완호를 ‘유사성’의 원리로 말하게 된다. 더욱이 비덕의 유사성 원리는 『주역』의 ‘氣類’와 맞물려 각기 자기와 비슷한 ‘類’를 좋아하게 되는 것으로 논의되는데, 서로 비슷한 부류로 묶여지는 ‘기류’의 체계에 따라 완호하는 물건들은 그 사람의 정체성은 물론이고 그가 위치한 문화적 계급성을 알려주는 상징성을 함축하게 된다. 그리고 완호물의 ‘雅俗’은 곧 그 사람의 아속과 연결된다. 실제로 ‘기류’의 원리는 지식인들의 여가 생활에서 향유하는 여러 완호의 대상에 적용되었으며, 나아가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는 ‘號’나 ‘堂號’에도 투영되었다. 완호의 대상과 사람 간에 동일시되는 ‘기류’의 원리에 따라 조선 지식인들은 ‘고상한 물건’을 애호하는 ‘고상한 사람’이라는 등식 관계로 자신의 완호를 설명하는가 하면, 고대 성현과 명사들을 끌어들여 같은 부류(同類)라는 입장에서 자신의 완호를 ‘고상한 물건’을 애호하는 ‘고상한 부류’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이렇게 완호물을 매개로 그 사람이 속한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흐름 속에서 고상한 완호를 공유하려는 풍조는 더욱 심화 확산되고 있었다. In Confucian culture, the principle of wanho(玩好; liking) is explained as a system of bideok(比德; to likening person's virtue with objects). The principle of similarity from bideok is used to describe the wanho' toward things based on the analogy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and the person. Moreover, being interlinked with giryu(氣類; categories of gi) in 『I Ching(周易)』, the principle of similarity is described as to like their similar kinds. Depending on the system of giryu tied together in a similar category, wanho's objects imply not only the person's identity but also the symbolism that informs the cultural class which the person is located in. Therefor, asok(雅俗; elegance and vulgarity) that belongs to wanho's objects is connected with the person who likes it. Actually, the principle of giryu was applied to various wanho's objects which leterati enjoyed in their leisure hours. Furthermore it was projected in ho(號; pen name) or dangho(堂號; house name) that expresses their identities. In accordance to the principle of giryu that identifed wanho's objects with the person, Joseon literati displayed themselves as elegant persons who loved in elegant objects. Moreover, taking a position that they were in same class with ancient sages and eminent persons, Joseon literatis positioned themselves at elegant class who loved elegant objects. In this trend, the person's cultural class tended to be defined by wanho's objects, the tendency to share elegant wanho deepened and more widely spread.

      • KCI등재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손정희 ( Son Jung Hee ),허유성 ( Heo Yu S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에 배치된 3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을 수행하여 수업 중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각 학생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단계로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중재 기간 동안 매일 수업시작 전에 자신들의 바람직한 수업참여행동 모습을 편집한 비디오 자료를 시청했다. 동시에 참여 학생들은 수업이 끝난 뒤 자신의 행동을 자기점검기록표에 체크하고 얻은 점수를 그래프로 그려 자기평가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자기관리전략 적용 이후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은 감소되었고, 수업참여행동은 증가하였다. 중재효과는 중재 2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VSM) intervention combin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challenging behaviors and class participations of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placed at a general elementary special class. This study appli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Each student watched VSM showing their appropriat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before class beginning. Simultaneously, each student conducted self-assessment about their behaviors with graphs after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VSM combin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until 2 weeks after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심(心)과 물(物)의 관계로 본 ‘완물상지(玩物喪志)’의 철학적 쟁점

        손정희(Son, Jung-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2 No.-

        동아시아 완물(玩物) 담론을 이해하는 선행 작업으로 시작된 본고의 목표는 『서경(書經)』의 ‘완물상지(玩物喪志)’에 구축된 철학적 쟁점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서경』의 ‘완물상지’는 선진시기의 주요한 철학 범주였던 심과 물에 대한 이분법적인 사고의 체계 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심물 관계에서 주요 이슈가 되었던 “외물에 부려지는가(役於物)” 아니면 “외물을 부리는가(役物)”에 대한 문제의식이 담겨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완물상지에 대한 송대 도학자들의 해석에서도 그대로 발견되는 것이었다. 요컨대, 송대 도학자들이 ‘완물상지’에 대해 주목한 철학적 쟁점은 ① 이목(耳目)에 부림을 당하는가의 여부와 ② 그 뜻을 잃는가의 여부로 파악된다. 이 두 가지는 완물상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거꾸로 이목에 부림을 당하지 않고 그 뜻을 잃지 않는다면 ‘완물’이 해가 되지 않을 수 있는 논리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이목에 부림을 당하지 않을 수 있는 철학적 해결 방안이 제시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곧 외물에 대한 ‘마음의 주재’이다. 즉, 마음의 주재를 통과해 완물이 단지 이목에 사로잡히는 것이 아니라 외물을 통한 이치를 완미함으로 이어진다면 이때의 완물은 뜻을 잃음이 아닌 그 뜻을 기르는 논리를 확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which started as a work-in-progress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f Wanmul(玩物) in East Asia, is to identify philosophical issues built on “Wanmul Sangji(玩物喪志)” of 『Shujing』(書經). “Wanmul Sangji” on 『Shujing』is located within a Confucian system of dichotomous thinking of the mind and things, which served as a key philosophical category in the pre-Qin(先秦) period. It contained a critical view of the important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things, which was whether the mind was “managed by external things” or “managed external things.” And this critical view is also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Wanmul Sangji” by Dohak(道學)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In short, philosophical issues derived through “Wanmul Sangji” by Dohak scholars of the Song Dynasty are: ① whether one is managed by external things and ② whether he loses the mind. These two served as criteria to decide “Wanmul Sangji” as well and inversely, it contains the logic that “Wanmul” may not do any harm if one is not managed by external things and he does not lose the mind. And at this point, a philosophical solution was provided, which was not to be managed by external things, and it is the “controlling power of mind” toward external objects. In other words, when Wanmul goes through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mind and it leads to appreciating Li(理, principle) through external objects, the notion of Wanmul here can secure a good logic that one can cultivate his min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향적 조절초점,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손정희 ( Jeung Hee Son ),정찬우 ( Chan Woo J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가 되고자 유아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4년제 사립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향적 조절초점,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간의 관계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측정된 자료의 분석은 spss20.0과 Amos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나누어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향상초점과 셀프리더십의 하위범주들은 모두 다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나 예방초점은 자연보상전략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진로결정몰입의 하위범주는 진로결정의 탐색과 몰입에는 향상초점이, 진로선택의 갈등에는 예방초점이 관련 깊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의 경로와 효과를 살펴보면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서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연구모형의 경로는 예방초점의 경우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이를 제거한 수정모형을 만들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향상초점은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경로의 총효과가 .453으로 나타났으나 예방초점은 .029로 나타났다. 예방초점보다 향상초점이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에 더욱 많은 직·간접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생의 초기발달과업을 수행하는 유아들에게 유아교사는 그 자체로 모델링의 대상이자 교과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은 긍정성향의 동기, 셀프리더십 등을 통한 그들의 진로역량함양에 더욱 더 몰입하여 교사로써의 자질과 품성을 갈고닦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among chronic regulatory focu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self-leadership in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exploration i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ection conflicts. Prevention focus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explora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ection conflicts. Promo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exploration and commitment, and preven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conflict of selecting one`s career. Second, promotion focus effects to self-leadership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y .453 but prevention focus effects to them by .029. It means that promotion focus is more effected with self-leadership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an prevention focus in various ways. The research suggest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their promotion and self-leadership because early childhood teacher affects their students much in their cognition, emotion, and so on.

      • KCI등재

        안모비대칭을 동반한 하악전돌증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 전후 교근과 전측두근의 근전도 변화

        손성일,손정희,장현중,이상한,차두원,백상흠,Son, Seong-Il,Son, Jung-Hee,Jang, Hyun-Jung,Lee, Sang-Han,Cha, Du-Won,Baek, Sang-Heum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5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7 No.3

        The function of the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 muscles was assessed by electromyography in 30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20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nd 10 patients without facial asymmetry) before orthognathic surgery and 4weeks afterwards. Electromyogram(EMG) recordings were made during resting, clenching and swallowing. We compared with right-left difference of this recording and asymmetry index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right-lef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s both asymmetric groups and controls and many variable change after orthognathic surgery.(P>0.05) 2. The mean electric activity of the masticatory muscles was found to have decreased during more clenching than resting,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of individual difference of measuring values.(P>0.05) 3. The asymmetry index of masticatory muscles in asymmetric groups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clenching compared with controls.(P<0.05) In conclusion, no right-left difference of muscle activities was found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before orthognathic surgery and 4weeks afterwards. Not only muscular functioning but also many other factors, such as occlusi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trauma, probably affect facial asymmetry and will be analyzed in future studies. And we will need long term follow-up after orthognathic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