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족삼리(足三里) 자침이 고혈압환자의 혈압과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확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배형섭,신애숙,박성욱,손일석,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김영석,Bae, Hyung-Sup,Shin, Ae-Sook,Park, Seong-Uk,Sohn, Il-Suk,Jung, Woo-Sang,Moon, Sang-Kwan,Park, Jung-Mi,Ko, Cham-Nam,Cho, Ki-Ho,Kim, Young-Suk 대한한방내과학회 2008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9 No.3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cupuncture applied at the ST36 point on blood pressure and endothelial dependent vasodil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Methods : 24 hypertensive patients were recruited and randomized to a study group (12 subjects) or a control group (12 subjects). Both groups took FMD (endothelial-dependant, flow-mediated dilation) measurement and then acupuncture needles were inserted at ST36 for the study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y took sham acupuncture as a control. FMD was rechecked after 10-min acupuncture treatment. Blood pressur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acupuncture treatment. Results : FM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tudy group after acupuncture (9.5${\pm}$2.0% to 11.1${\pm}$2.2%),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changes 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onclusions : Acupuncture on ST36 appears to improve endothelial dysfunction of hypertensive patients and this might result from inducing activation of endothelium-derived nitric oxide.

      • KCI등재후보

        심방세동 환자에서 혈전색전성 합병증의 새로운 위험인자

        조천영 ( Cheon Yeong Cho ),정대호 ( Dae Ho Jung ),고점석 ( Jum Suk Ko ),윤남식 ( Nam Sik Yoon ),이상록 ( Sang Rok Lee ),임상엽 ( Sang Yup Lim ),박형욱 ( Hyung Wook Park ),손일석 ( Il Suk Sohn ),김계훈 ( Kye Hun Kim ),홍영준 ( Youn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지속성 부정맥이며 전신 혈전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증은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불구를 초래하므로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위험인자의 정확한 규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심혈관 질환 치료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 스타틴 등이 활발히 사용된 이후에 심방세동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새로운 변화가 있는지 조사하고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의 증가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혈전색전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심방세동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 192명(61±11세, 남자 137)을 색전성 뇌경색증이 합병한 색전군(n=95명)과 합병하지 않은 비색전군(n=97명)으로 나누어 인구학적 특성, 동반 질환, 심전도 소견, 심초음파도 소견 및 치료 약제 등을 비교하였다. 혈전색전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심장 율동이 정상인 25명과 심방세동 환자 71명[발작성: 21명(46±18세), 지속성: 19명(59±10세), 영속성: 31명(51±12세)]을 대상으로 내피세포기능을 반영하는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전신 염증 상태를 나타내는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고예민성 C-reactive protein (hsCRP), 혈액 응고계 상태를 반영하는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fibrin d-dimer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위험인자 심방세동 환자 중 색전군이 비색전군에 비해 의미있게 나이가 많았고(p<0.05), 동반 질환으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흡연이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더 많았다(각각 p<0.05). 심전도에서는 심방세동파의 크기가 1mm 미만인 경우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많았고(p<0.05), 심초음파도에서는 좌심실기능부전(좌심실 구혈률 <40%), 판막질환, 심근증의 빈도가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높았고(각각, p<0.05), 좌심방 직경도 색전군에서 의미있게 컸다(p<0.05). 색전군에서 비색전군에 비해 항응고제(p<0.01),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p<0.05), 스타틴(p<0.05)을 복용한 경우가 의미게 적었다. 2.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 위험 증가의 기전 심방세동 환자에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좌심실부전(EF<40%), 고혈압, 고령(>65세), 당뇨병, 승모판협착증이 동반된 경우에 의미있게 증가하였다(각각, 165±53% vs. 116±49%, p<0.05; 135±22% vs. 119±24%, p<0.05; 136±55% vs. 113±51%, p<0.05; 138±59% vs. 120±52%, p<0.05; 151±34% vs. 120±33%, p<0.05). 또한 vWF-factor 8 related antigen의 농도는 나이(r=0.392, p<0.001), 좌심방 크기(r=0.375, p<0.01), 좌심실 수축기말 직경(r=0.283, p<0.05), 좌심실 확장기말 직경(r=0.234, p<0.05), 좌심실구혈률(r=0.255, p<0.05), 심방세동의 유병 기간(r=0.341, p<0.01) 등과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신 염증 표지자는 혈전색전 위험인자 동반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혈중 fibrinogen 농도는 나이(r=0.368, p<0.001), NYHA class (r=0.314, p<0.01)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d-dimer는 NYHA class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505, p<0.001). 결론: 본 연구 결과로 기존의 혈전색전 위험인자에 더하여 흡연, 심전도에서 미세 심방세동파(<1 mm),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나 스타틴의 무복용 등이 심방세동의 새로운 혈전색전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방세동에서 혈전색전의 증가는 주로 심내막과 동맥의 내피세포 기능 저하에 의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trial fibrillation (AF) is the most common cause of embolic cerebral infar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new risk factors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thromboembolism (TE) in patients with AF. Methods: 192 patients (M:F=137:55, 61±11 years) with AF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a TE (n=95) and non-TE group (n=97). Another 71 patients with AF (M:F=38:33, 55±14) were studied for endothelial function by measuring the level of von Willebrand factor (vWF; factor 8 related antigen), inflammation by WBC, ESR, and high sensitive CRP and coagulation system by fibrinoge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and fibrin d-dimer;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25 patients with normal sinus rhythm. Results: The TE group was older than non-TE group. Hypertension (HTN), diabetes mellitus (DM), hypercholesterolemia, smoking and fine AF (AF wave amplitude <1 mm)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Mitral valvular disease, an ejection fraction <40% and dilated cardiomyopathy were more frequent in the TE group and the left atrial (LA) dimension was greater in the TE group. The use of anticoagulants,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and statins were les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E group. The vWF-factor 8 related antige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dvanced age, LV dysfunction, HTN, DM, mitral stenosi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LA dimension, LV end-diastolic and end-systolic dimension, ejection fraction, NYHA class and AF duration. The fibrinoge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NYHA class, LA dimension and d-dimer with NYHA class. Markers for inflammation or coagul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trial fibrillation and the sinus rhythm group. Conclusions: No use of an angiotensin-II receptor blocker or statin and fine AF may be new risk factors for TE in patients with AF. The TE risk factors are thought to increase TE by impairing endothelial function.(Korean J Med 71:371-380, 2006)

      • KCI등재후보

        지단백과 알부민 및 이들의 변형물질이 메산지움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손일석,이태원,박재경,김희진,조병수,임천규,김명재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2

        목 적 : 혈청 지단백과 알부민은 그 자체로써 또는 산화나 당화 과정에 의한 변형을 거쳐 사구체 질환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기전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메산지움세포 증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비교적 간단한 흡광도측정법을 이용하여 지단백과 알부민 및 그들의 변형물질들이 각각 메산지움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정상인의 혈청 지단백을 원심분리 하여 저밀도지단백, 고밀도지단백, 초저밀도지단백을얻고, 산화 저밀도지단백, 당화 저밀도지단백, 그리고 혈청 알부민과 당화 알부민을 각각 농도를 달리하여 배양 중인 인간 메산지움세포에 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메산지움세포의 증식정도를 알아보았다. 양성 대조군으로 interleukin-1β를 이용하였다. 결 과: 저밀도지단백은 농도 증가시 50 μg/mL와 100 μg/mL에서 세포의 증식을 보였으며,고밀도지단백과 초저밀도지단백은 농도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산화 저밀도지단백은5 μg/mL에서부터 세포의 증식을 초래한 후 10 μg/mL와 25 μg/mL에서도 이를 유지하였다. 당화 저밀도지단백은 농도 증가에 따라 10 μg/mL와 100 μg/mL에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알부민은 농도 500 μg/mL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다가 고농도(1,000 μg/mL)에서는 영향이 없었으며, 당화 알부민 역시 100 μg/mL의 적은 농도에서는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고농도(1,000 μg/mL)에서는 오히려 증식을 일으키는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저농도에서 저밀도지단백과 산화 저밀도지단백은 사람 메산지움세포의 증식을 초래하였으며, 당화 저밀도지단백은 증식을 억제하였다. 알부민은 일정농도까지 사람 메산지움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다가 고농도에서는 영향이 없었으며, 당화 알부민도 일정농도까지 증식 억제 효과가 있다가 고농도에서는 오히려 증식을 초래하는 양상을 보였다. Background : Modified lipoproteins may be involved in nephro- and glomerulosclerosis. Diabetic nephropathy-like lesions have also been induced in a rat model by glycated and glycoxidized albumin. In cultured rat or human mesangial cells, enhanced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mesangial matrix in response to lipoproteins and their modified forms have been demonstrat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nd cell counting assays. But these methods are relatively complex and most of them have used only one or two of the lipoprotein, albumin and their modified form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tive and modifed lipoproteins, and albumin on cultured human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using non-radioactive colorimetric method by MTS/PMS assay. Lipoproteins added were low density lipoprotein(L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 oxidized LDL(oxidation with copper sulfate in vitro) and glycated LDL and we also used albumin, glycated albumin, and interleukin-1β as a positive control. Results : Interleukin-1β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mesangial cells up to concentration 20 ng/mL. LDL induced the proliferation of mesangial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p to concentration 100 μg/mL. HDL and VLDL had no significant proliferative effect. Oxidized LDL caused the proliferation of mesangial cells at low concentration up to concentration 25 μg/mL. Addition of glycated LDL resul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mesangial cells. Albumin and glycated albumi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esangial cells at low concentration of 100 μg/mL, but cell growth was in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Conclusion : W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the single and modified proteins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mesangial cell by relatively simple colorimetric method. Results were almostly identical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obtained by radioactive method or cell counting assay. (Korean J Nephrol 2002;21(2):266-27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