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일부(一部) 도시(都市), 농촌(農村), 해안지역(海岸地域) 주민(住民)의 B형간염(型肝炎) 표면항원(表面抗原) 양성률(陽性率)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손석준,Sohn, Seok-Joon 대한예방의학회 1986 예방의학회지 Vol.19 No.1

        우리나라에서는 국면 10%정도가 B형간염환자나 보균자로 추정되고 있으며 매년 신생아에 있어서의 발병률과 보균자 접촉에 의한 신환자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B형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검사 중 최근 널리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역수신혈구응집법을 사용하며 일부 도시, 농촌, 해안지역 주민 2,849명을 대상으로 혈청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을 조사하여 연령별, 성별 역학적 인자와의 관계 및 세지역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 2,849명 중242명이 양성을 나타내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8.49%였으며 남자가 9.07%, 여자가 6.79%로 남녀의 성비는 1.34 : 1이었다. 2)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의 8.67%, 농촌지역 7.43% 해안지역 8.37%로 도시, 해안, 농촌지역의 순이었으나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성별로는 도시지역에서 남자 9.26%, 여자 6.44%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농촌, 해안지역에서는 남녀간에 비슷한 양성률을 보였다. 4) 연령별로는 도시에서 30대가 9.26%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40대, 50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에서는 50대가 11.70%로 가장 높았고 해안지역에서는 30대와 40대에서 각각 10.94%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남자에서는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여자에서는 50대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5) 간염 표면항원 양성자 중 SGOT치가 정상보다 상승된 경우는 13.6%로 대부분 남자에서 나타났으며 음성자에서 상승된 경우인 3.4%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따라서 양성자의 대부분은 B형간염의 만성보균자, 급성바이러스 잠복기, 건강 보균자로 추정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Korea is one of the endemic area for type B viral hepatitis. A screening test for HBsAg by RPHA method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HBsAg among urban, rural and coastal area popula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 1985 and Aug. 1985.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HBsAg was detected in 242 among 2,849 with positive rate of 8.49%. The positive rate by sex showed higher rate in males(9.07%) than females(6.79%) for HBsAg. But these differences by se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By living area, the positivity of HBsAg was 8.67% in urban, 7.43% in rural and 8.37% in coastal area.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positivity differences of HBsAg were significantly observed between male(9.26%) and female(6.44%) in urban area. But there was not in rural and coastal area. 4) The positivity was the highest in 4th decade in urban area. But 6th decade in rural and 4th and 5th decade in coastal area. Generally the positivity of HBsAg was more prevalent in young age and decreasing by the age increasing in the male. But in the female it was most common in 6th decade. 5) Elevated SGOT(>40 Un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BsAg positive group(13.6%) than in HBsAg negative group(3.4%).

      • KCI등재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손석준,강정훈,권인기,김달호,이기섭,유정칠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2

        철새는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며, 특히 멸종위기 종의 번식지와 취식지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대만과 홍콩, 중국 남부 지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인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을 분석, 비교하였다.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해안지역 에서 행동권을 보였으며,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km2, KDE 95% 43.61±18.51 km2, KDE 50% 7.46±3.68 km2이었으며, 칠산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영광 백수 갯벌 및 부안 새만금 간척 지역에서 MCP 99.38±55.29 km2, KDE 95% 19.87±6.05 km2, KDE 50% 1.16±0.53 km2의 행동권을 보여 구지도 번식 개체가 칠산도 번식 개체에 비해 더 넓은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번식지인 구지도,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행동권은 주로 갯벌 지역이었으며, 이 인근 일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도로, 건설, 인간의 출입 등 인간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서식지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Migratory birds use a variety of breeding and wintering sites, and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more information on breeding and feeding site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s (Platalea minor) are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d in East Asia. The majority of black-faced spoonbills breed on uninhabited islets off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breeding season, and they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such as Taiwan, Hong Kong, southern China, Japan, and Jeju island during the winter season. In this study, we used a wild animal location tracking system to analyze and compare home ranges of three black-faced spoonbills spend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Gujido islet in Incheon and Chilsando islet in Yeonggwang each in 2015.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Guji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coastal areas in Hwanghaenam-do and Gangneung-gun. The home range size (mean±SD) was estimated to be 425.49±116.95 km2 using 100% MCP, 43.61±18.51 km2 using KDE 95%, and 7.46±3.68 km2 using KDE 50%.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in Chilsando islet showed a home range in the Baeksu tidal flat and the Buan Saemangeum area with a size of 99.38±55.29 km2 using 100% MCP, 19.87±6.05 km2 using KDE 95%, and 1.16±0.53 km2 using KDE 50%. The figured indicated that the tree black-faced spoonbills breeding in Gujido islet had a wider home range than those breeding in Chilsando isle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the home ranges of black-faced spoonbills were mostly breeding in mudfla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human intervention,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structures and the human access, to protect the habitats during the period.

      • KCI등재

        식생 매트를 이용한 천연기념물 조류 번식지 환경 개선 연구- 천연기념물 제389호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를 대상으로 -

        손석준,강정훈,이성경,오정우,유정칠 한국조류학회II 2019 한국조류학회지 Vol.26 No.2

        Natural monument No. 389 Chilsan islands is deteriorating due to damage to vegetation and the loss of earth and sand. In this study, seeds were seeded to check the germination and vegetation mats were installed to confirm protection of soil loss in Yuksando in Chilsan islands. In March 2018, seedlings of Miscanthus sinensis, Brassica napus seeds were planted in a total of three sites in Yuksando, and loss of soil around vegetation mats was measured. Some of the seeds sown germinated but died, and after July of the breeding season of Larus crassirostris, Eleusine indica grow on the vegetation mat. In addition, soil loss of 38.15±15.21 ㎜ occurred in the first soil measurement, and soil loss of 43.76±16.78 ㎜ occurred in the second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il los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il loss between the sites. We confirme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soil of vegetation mat,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further on the slope and the top of the islet. 천연기념물 제389호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는 식생이 고사하고 토사가 유실되는 자연적인 피해로 인하여 천연기념물 동물인 노랑부리백로, 저어새의 번식지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칠산도 중 육산도를 대상으로 나지에 종자를 파종하고 식생 매트를 설치하여 종자 발아 여부와 식생 매트 자체의 토사 유실 방지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18년 3월 육산도를 대상으로 총 3개 지점에 유채, 억새 종자를 파종하고 식생 매트를 설치하여 2018년 11월과 2019년 3월 총 2회에 걸쳐 종자 발아 여부와 식생 매트 주변의 토사 유실 정도를 측정하였다. 파종한 유채, 억새 종자는 일부 발아하였지만 고사 했으며, 괭이갈매기의 번식이 끝난 7월 이후 바랭이가 식생 매트에 활착하였다. 토양 유실 1차 측정 결과 38.15±15.21㎜ 의 토사 유실이 발생하였고, 2차 측정 결과 43.76±16.78㎜의 토사 유실이 발생하였다. 1차, 2차 측정 결과 토사 유실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 지점간의 토양 유실 정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식생 매트의 토사 유실 방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추후 설치한 식생 매트를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섬의 경사면과 정상부에 걸쳐 추가 설치가 필요하며, 나아가 식생 환경을 개선하여 천연기념물 동물 번식지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 칠산도 저어새 (Platalea minor) 의 번식지 및 월동지 행동권 분석

        손석준,이성경,강정훈,오부균,현보라,공달용,김인규,조해진,김달호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8 No.2

        야생동물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동물의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특히 이동 철새의 경우에는 종에 따라 다양한 번식지, 월동지, 중간기착지 환경을 갖기 때문에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 패턴을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천연기념물 제 205-1호로 지정된 저어새 (Platalea minor)는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에 등재되어 있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전 세계 개체군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고 홍콩이나 타이완 등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번식지는 칠산도, 납대기섬, 석도, 비도, 남동유수지, 각시암, 수하암, 서만도, 구지도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칠산도는 국내 최남단 저어새 번식지로 천연기념물 제 38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1년 저어새 최초 번식이 확인된 이후 점차 번식 개체군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저어새 개체군에 관한 구체적인 행동권 및 이동 특성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칠산도에서 이소한 저어새의 번식지 및 월동지 행동권 분석을 통해 이동 패턴과 서식지 정보를 파악하여 저어새의 보존 관리방안의 기초 자료로 확인하고자 한다. 칠산도에서 번식하는 저어새의 번식 현황 조사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매월 1회씩 총 4회 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이소한 저어새 4개체를 mist-net을 이용하여 포획 후 각각 개체에 고유번호(nhc1701, nhc1702, nhc1703, nhc1704)를 부여하고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300)를 부착하여 방사하였다. GPS 좌표는 4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하였으며, 매일 2차례 좌표를 수신받았다. 수신된 좌표는 ArcGIS 10.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과 커널밀도 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를 활용해 행동권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저어새 4개체의 번식지인 칠산도와 백수 갯벌의 행동권은 평균 60.14 ± 24.91 km2 (MCP), KDE 90%는 28.01 ± 5.54 km2, 핵심서식지로 분류할 수 있는 KDE 50%는 6.18 ± 1.11 km2 으로 나타났다. 월동지 행동권의 경우 평균 39.98 ± 31.65 km2 (MCP), KDE 90%는 19.94 ± 12.36 km2, KDE 50%는 6.43 ± 4.95 km2 으로 나타났다. 번식지와 월동지의 저어새 행동권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MCP; t = -0.761, p = 0.50, KDE 90%; t = -1.138, p = 0.34, KDE 50%; t = 0.089, p = 0.93). 저어새의 행동권 분석 결과 번식지 및 월동지에서 수계 환경 의존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수계 환경변화 및 방해 요인이 저어새 서식 환경에 직・간접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행동권 내 서식지의 특성, 환경요인 등을 분석하여 저어새의 번식지 및 월동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호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생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