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버섯모양 창상변형 각막이식술의 초기 임상성적

        손병재,김홍균,Byung Jae Sohn,Hong Kyun Kim 대한안과학회 2009 대한안과학회지 Vol.50 No.1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femtosecond laser-assisted‘mushroom-shaped wound-configurized keratoplasty’in 6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models in rabbits’and enucleated porcine eyes. Methods: Mushroom-shaped donor corneal grafts were designed and transplanted in 3 rabbit eyes and 10 enucleated porcine eyes. The histologic findings were observed and wound burst pressure compared between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and mushroom-shaped keratoplasty. The‘mushroom-shaped wound-configurized keratoplasty’was subsequently performed in 6 eyes of 6 patients. Results: In all eyes of the rabbits, histologic findings showed stable wound structure. In the porcine models, mushroom-shaped keratoplasty showed a better resistance to IOP than PKP after complete suture. Patients who underwent the surgery showed an improvement of over 2 lines in Snellen visual acuity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approximately 11 months. Complete suture removal was performed within 6 months and accurate and stable wound structure was identified. Conclusions: Wound-configurized keratoplasty with femtosecond laser and mechanical dissection’has shown several advantages in the lamellar structure of the wound. Stable wound structure, less astigmatism, rapid suture removal and visual rehabilitation was achieved.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an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for Acute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손병재,전보영,권정윤 대한안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evaluate the visual outcome of an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 (IVTA) as a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acute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A 65-year-old male patient with severe visual loss due to acute NAION was treated with 4 ㎎/0.1㎖ IVTA. Fundus examination and measurements of the patient’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at 2 weeks, 1 month, 3 months, and 6 months.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changed from 0.05 before the injection to 0.16 at 2 weeks, 0.3 at 1 month, and 0.4 at 3 months and at the final visit. Optic disc swelling had markedly decreased at 1 week postoperatively and disappeared at 2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clinical course of this patient suggests that an IVTA may be effective in increasing visual acuity following an acute NAION. A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s needed to assess the efficacy of IVTA as a treatment for NAION.

      • KCI등재

        개방안구손상의 예후 평가에 있어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의 역할

        윤정현,손병재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9

        Purpose: To study the clinical role of preoperative orbit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in determining initial surgery in patients with open globe injurie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evaluated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ration for single-eye open-globe injury after orbital CT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with anatomical failure that underwent enucleation, evisceration, or phthisis bulbi and a group with anatomical success. The correlations with preoperative CT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22 cases of open globe injury were included. Comparing preoperative C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anatomical failure was correlated with the CT findings of intraocular hemorrhage (odds ratio, 5.0; 95% confidence interval [CI], 2.0-15.4), orbital wall fracture, and a reduction in eyeball volume (all p < 0.05). In the anatomical failure group, the average volume and axial length of the eyeball decreased by 28% and 16%, respectively, in traumatic eyes compared with non-traumatic eyes. Conclusions: Orbital CT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extent of open globe injury. If the prognostic factors indicate poor results, including intraocular hemorrhage, orbital wall fracture, or a severe decrease in the volume of the injured eye in orbital CT scans, primary enucleation or evisceration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ased on consultations wi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목적: 심한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 해부학적 예후를 판단하는 데 있어 술 전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단안 개방안구손상을 진단받고 안와 컴퓨터단층촬영 후 수술 치료를 받고 최소 1년간 경과 관찰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안구적출술을 시행하거나 안구위축이 발생한 경우 해부학적 실패군으로 정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해부학적 성공군으로 정의하여 두 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122명의 개방안구손상 환자를 선정하였다.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하였을 때, 다변량 분석에서 안내출혈(교차비 5.5, 95% 신뢰구간 2.0-15.4), 안와벽골절, 안구부피 감소가 해부학적 실패와 깊은 관련성을 보였다(p<0.05). 또한 해부학적 실패군에서 외상안이 정상안에 비해 안구부피는 평균 28%, 안축장은 평균 16%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심한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 수술 전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이 안구손상 범위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만약 안내출혈, 안와벽골절, 안구부피의 심한 감소 등 나쁜 해부학적 예후 소견을 보일 경우 이를 참고하여 환자 및 보호자와 충분한 상의를 통해 안구적출술의 시행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겠다.

      • KCI등재

        황반부를 침범한 망막박리에서 술 후 중심와박리의 재유착 및 시력예후

        현효진,손병재,박동호,신재필,김시열,Hyo Jin Hyun,Byung Jae Sohn,Dong Ho Park,Jae Pil Shin,Si Yeol Kim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4

        Purpose: To evaluate the visual prognosis and time course of the foveal reattachment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s and preoperative factor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fter successful reattachment surgery in cases of macula-of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Methods: From Jan 2006 to Aug 2008, 47 patients who underwent retinal reattachment surgery for macula-off retinal detachment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irty patients underwent vitrectomy, and 17 patients underwent a scleral buckle procedure. Ophthalmological examinations, including best-corrected visual acuity, slit-lamp examination, fundus examination, and OCT, were performed before surgery and at 1, 1.5,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 foveal reattachment time was shorter after vitrectomy than after the buckle procedure (p<0.05).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as better when the height of the detached fovea, as viewed by OCT, was shorter, although foveal reattachment time was not related to visual prognosis. Conclusions: OCT may help to predict visual outcome and to assess macular changes in patients with macula-off retinal detachment after successful reattachmen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4):558-567

      • KCI등재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을 동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

        오준호,손병재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To present the first case of severe upper and lower tarsal ectropion associated with immunoglobulin G4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Case summary: A 37-year-old male presented with relapsed eyelid swelling and periocular inflammation in the left eye for 7 years. He had severe upper and lower tarsal ectropion and a thickened upper eyelid with prolapsed conjunctival fornix. Orbit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poorly defined anterior orbital mass involving the lacrimal gland and upper and lower eyelids on the left eye. The severe upper and lower eyelid ectropion was corrected by a modified spindle procedure and lateral tarsal strip. Hard, ill-defined fibrotic tissue and a mass around the lateral upper tarsal plate were discovered that required excision of the mass and a biopsy. Hematologic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orbital mass indicated IgG4-related ophthalmic disease with severe upper and lower ectropion caused by the disease. Conclusions: In cases of severe upper and lower eyelid ectropion caused by chronic inflammation, as seen in this case, not only eyelid tightening with excision of the causative mass but also a modified spindle procedure is requir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eyelid. 목적: 위눈꺼풀겉말림은 극히 드문 질환으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에 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을 진단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7세 남자 환자가 7여년 전부터 반복되는 좌안 눈꺼풀주위 부종 및 염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중증의 좌안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 위눈꺼풀 부종 및 종괴, 위눈꺼풀결막원개 탈출증 등의 소견을 보였고,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안 위아래눈꺼풀 연부조직과 눈물샘의 비대가 관찰되었다.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을 교정하기 위하여 변형된 방추형결막절제술(spindle procedure) 및 위아래가쪽눈꺼풀판띠교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위눈꺼풀판 가측 부위에 단단하고 경계가 불분명한 섬유화 조직 및 종괴가 관찰되어 종괴절제 및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 및 조직검사에서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에 합당한 소견을 보여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에 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증례와 같이 만성염증에 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이 발생한 경우 원인이 되는 종괴 제거와 함께 눈꺼풀수평이완의 단축 및 눈꺼풀의 전후 회전을 막는 변형된 방추형결막절제술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위눈꺼풀처짐을 보인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

        최형준,손병재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rimary conjunctival and tarsal amyloidosis with blepharoptosis. Case summary: A 7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left blepharoptosis and foreign body sensation that worsened over a 1-year period prior. She presented with severe blepharoptosis on the left upper lid, with slightly reduced levator function. During the operation, a fragile yellowish-pink mass-lesion was observed, widely involving palpebral conjunctiva and the space between the levator aponeurosis and tarsal plate. While levator resection was withheld, the mass was excised as much as possible and blepharoplasty was performed. After surgery, the blepharoptosis improved slightl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amyloid deposits. Because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in systemic examinations including blood tests, chest X-rays,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primary conjunctival and tarsal amyloidosis. Conclusions: Although local amyloidosis of the conjunctiva and tarsal plate is ra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involutional blepharoptosis. 목적: 위눈꺼풀처짐을 보인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73세 여자 환자가 1년 전부터 악화되는 좌측 위눈꺼풀처짐과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좌측에 심한 위눈꺼풀처짐 소견을 보였고,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다소 감소된 수준이었다. 좌측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하던 중 위눈꺼풀결막을 포함하여 눈꺼풀올림근건막과 눈꺼풀판 사이를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쉽게 떨어져 나가고 표면이 거친 노란-분홍색의 침착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단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보류한 뒤 종괴를 최대한 제거하고 위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위눈꺼풀처짐은 다소 호전되었으며, 병리조직검사에서 아밀로이드 침착물이 관찰되었다. 이후 시행한 혈액검사, 흉부 방사선촬영, 복부초음파검사 등의 전신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보이지 않아 결막과 눈꺼풀판에 발생한 국소아밀로이드증으로 진단하였다. 결론: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퇴행눈꺼풀처짐으로 생각되는 환자라도 눈꺼풀결막에 이상 소견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여 이를 감별해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 환자에게 시행한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

        엄희동,권영기,손병재,전보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3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iosteal fixation in patients with large-angle paralytic strabismus that was not corrected through conventional strabismus surgery. Methods: Four eyes of three patients with large-angle paralytic strabismus who underwent periosteal fixation from June 2014 to August 2014 were examined. All patients presented with exotropia > 50 prism diopters (PD). Two of them showed exotropia caused by chronic complete oculomotor nerve palsy; the other two showed exotropia caused by medial rectus muscle injury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exodeviation using the Krimsky test was 58 ± 29 PD. The postoperative values were 6.5 ± 9.4 PD at 1 week, and 11.25 ± 2.5 PD at 6 months. The mean surgical effect of exodeviation was 43.75 ± 21.36 PD. Conclusions: Periosteal fixation is an effective surgery for the management of paralytic strabismus that was not corrected through conventional strabismus surgery. 목적: 고식적인 사시수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 환자에서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을 시행하여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6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본원에서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로 진단받고 내안각 눈물언덕 결막을 통해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을 시행한 3명, 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모두 수술 전 5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의 외편위를 보였으며, 외편위의 원인은 만성 완전 동안신경마비가 2안, 내시경적 부비동수술 중 발생한 내직근 손상이 2안이었다. 결과: 크림스키법(Krimsky test)으로 측정한 수술 전 평균 사시각은 58 ± 29PD였다. 수술 1주일 후 6.5 ± 9.4PD였으며, 수술 6개월 후 11.25 ± 2.5PD로 감소하였다. 경과관찰 동안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에 의해 교정된 평균 사시각은 43.75 ± 21.36PD였다. 결론: 특발성 및 외상으로 인한 완전 동안신경마비, 내시경적 부비동수술에 의한 내직근 손상 등과 같이 고식적인 수술방법으로 사시 교정이 어려운 마비사시 환자들에게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은 효과적인 수술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박수진(Su Jin Park),손병재(Byeong Jae So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1

        목적: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안외상 점수(ocular trauma score, OTS)와 소아 안외상 점수(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개방안구손상으로 본원에 내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OTS와 POTS를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20/200 미만의 초기시력, 안구파열, 7.0 mm 이상의 손상 크기, 망막박리, 수정체이탈, 총 수술 횟수는 불량한 최종시력(<20/200)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에 20/32 이상의 좋은 최종시력의 경우 각막중심 침범 유무, 외상백내장 유무, 7.0 mm 미만의 손상 크기, 20/200 이상의 초기시력과 관련성이 있었다. OTS와 POTS 모두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단적 가치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두 점수 체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에서 초기시력과 안구손상 크기는 최종시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의 최종시력 예측에 있어 기존의 안외상 점수(OTS)뿐만 아니라 소아 안외상 점수(POTS) 또한 좋은 예측도를 보여주어 둘 모두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mpared the ocular trauma score (OTS) and pediatric 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7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who visited our clinic with open globe injuries between May 1993 and April 2014.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final visual acuity. We also compared the OTS and POT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s a method to predict final visual acuity. Results: By univariate analysis, an initial visual acuity less than 20/200, globe rupture, wound size greater than 7.0 mm, retinal detachment, lens dislocation, and total number of operations contributed to worse visual outcomes (<20/200). Conversely, central corneal involvement, traumatic cataract, wound size less than 7.0 mm, and initial visual acuity greater than 20/200 were better prognostic indicators (≥20/32). Both OTS and POTS had diagnostic value as a predictor of final visual acuity,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oring systems. Conclusions: Initial visual acuity and wound size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for the final visual acu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 following open globe injuries. Both OTS and POTS are reliable prognostic models fo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내시경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과 드릴을 이용한 상부 골공 형성 후 수술 결과 비교

        이혜진,오준호,강용구,김대우,손병재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2

        목적: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cold steel” 기구인 망치-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드릴과의 술 후 결과를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코눈물관협착 또는 막힘을 진단받고 망치-끌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총 191명 29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경과 관찰에서 눈물흘림 여부 및 해부학적 합병증인 육아종 형성, 눈물소관 막힘, 골공유착, 섬유막 형성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 두 환자군의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해부학적 합병증은 망치-끌을 사용한 환자군 중 29안(18.6%), 드릴을 사용한 군은 51안(36.2%)에서 발생하였다(p=0.001). 해부학적 실패는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28안(19.9%),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18안(11.5%)으로 드릴을 사용하였을 때 해부학적 실패 비율이 높았다(p=0.038). 기능적 실패는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13안(8.3%),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13안(9.2%)이었다(p=0.787). 평균 수술 소요 시간은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25.4 ± 9.1분,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35.5 ± 10.4분으로 드릴을 사용한군에서 더 긴 수술 시간이 소요되었다(p<0.001). 결론: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을 사용한 절골술은 드릴에 비해 수술 성공률이 높고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효과적인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 “cold steel” hammer-chisel technique for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then compare postoperative outcomes between this technique and a drill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91 patients (297 eyes) with nasolacrimal duct stenoses or obstructions who underwent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using the hammer-chisel or drill techniqu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via follow-up screening for epiphora and anatomical complications such as granuloma and fibrous membrane formation, canalicular obstruction, and synechiae. Results: Postoperative anatomical complications occurred in 29 eyes (18.6%) in the hammer-chisel group and 51 eyes (36.2%) in the drill group (p = 0.001). The anatomical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drill group [28 eyes (19.9%)] than in the hammer-chisel group [18 eyes (11.5%); p = 0.038]. Functional failure was observed in 13 eyes (8.3%) in the hammer-chisel group and 13 eyes (9.2%) in the drill group (p = 0.787). The mean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rill group (35.5 ± 10.4 minutes vs. 25.4 ± 9.1 minutes) (p < 0.001). Conclusions: During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osteotomy with a hammer-chisel is more successful and leads to fewer complications than osteotomy with a dr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