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이스라엘의 법관 선발기준과 윤리강령

        소형근(Hyeong-Geun So) 한국구약학회 2020 구약논단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aspects of ancient Israel’s judicial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judges and their code of ethics in the Old Testament. There were three types of judges in the society of ancient Israel; First, judges as representatives of the community (pater familias, judges, king, elders), second, judges as religious leaders (priests, Levites), and third, judges as appointed officials (high officials and shopheṭ as professional judge). When these judges were selected, a standard draft was provided with specific informations in Exodus 18 and Deuteronomy 1. According to Exodus 18, Moses, the first judge in the wilderness era, must conduct legal education and select capable persons as judges. In Exodus 18, capable persons must firstly fear God, secondly be sincere, and thirdly hate unrighteous interests. They even delegated the duties of commanders of the army to these judges.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judges in Deuteronomy 1 were delegated to each tribe to select the recognized and knowledgeable persons, unlike the mention of legal education in Exodus 18. They were first appointed as heads and among these the heads of thousands, hundreds, fifties, and tens were selected, and shared the roles as judges and administrators in the court. For these appointed judges, the codes of ethics appear in Deuteronomy 1 and 16 and 2 Chronicles 19. Deuteronomy 1 is the code of ethics proposed by Jethro, the father-in-law of Moses, and presupposes that the judgment of the Israelites and the Gentiles should be equally conducted for a fair judgment (v. 16). The code of ethics presented in Deuteronomy 1 is firstly not to look at appearance, secondly to listen to the small and the great alike, and thirdly not to be afraid of the face of any. By the code of ethics for the judges, suggested by Moses, in order to judge the people with justice (v. 18) in Deuteronomy 16, judge should not turn aside judgment, discern faces, and take a bribe. According to the code of ethics, presented by Jehoshaphat king of Judah in 2 Chronicles 19, judges firstly consider that judgment should not be on behalf of human beings but on Yahweh’s behalf, secondly let the fear of Yahweh be upon them and take care what they do, thirdly do in the fear of Yahweh with faithfulness and perfect hearts, and fourthly act with courage. Through these criteria for selection of judges and their code of ethics, the ancient Israel community sought after the practice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서신학 : 구약성서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재판과 그 발전

        소형근 ( Hyeong Geun S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재판과 그 발전을 다루고 있다. 이스라엘의 재판에 대한 질문들은 오랜 기간 동안 논쟁 가운데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재판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들이 갖추어져야만 한다. 첫째로, 공평한 재판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법전이 있어야 하고, 둘째로, 재판을 위해 정해진 법정이 있어야 하며, 셋째로, 중앙 정부나, 혹은 지역들에서 임명한 재판관이 있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번째 조건을 다루고 있으며, 시기별로 국가 이전 시대, 왕조시대, 포로 이후 시대에 대한 재판관들을 다루고 있다. 재판과 관련된 구약성서의 본문들에는 창세기 16장 1-6절, 출애굽기 18장 12-27절, 민수기 11장 16-25절, 신명기 1장 9-17절, 16장 18절, 17장 8-11절, 사사기 4장 4-5절, 사무엘하 15장 2-3절, 열왕기상 7장 7절, 역대하 19장 4-11절 등이 있다. 이 본문들에 대한 주석적 분석을 통해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적 재판관들과 재판행위들이 드러나고 있다. 즉, 국가 이전 시대 재판관들로는 족장시대 가장(pater familias)이, 광야시대 모세와 방백들이, 사사시대 사사들이 재판했으며, 왕조시대 초기에는 왕이, 기원전 8세기까지는 장로, 방백, 제사장이, 기원전 7세기부터 왕조 멸망 때까지는 직업 재판관 ‘쇼페트’가 임명되어, 재판했다. 포로 이후 시대에는 제사장에 의한 재판과 백성의 모임이 재판에 관여함을 볼 수 있다.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Rechtsprechung Israels im Alten Testament und ihre Entwickelung. Die Fragen nach der Rechtsprechung Israels liegen in einer langandauernden Auseinandersetzung vor. Um Gericht im allgemeinen halten zu konnen, mussen drei Bedingungen erfullt werden, erstens ein Gesetzbuch fur die unparteiische Gerichtsverhandlung, zweitens ein bestimmter Gerichtshof fur die gerichtliche Verhandlung und drittens ein Richter, der von der Zentralregierung oder den Ortschaften eingesetzt wird.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ie dritte Bedingung, d.h. die Gerichtsbarkeit in vorstaatlicher Zeit, die Gerichtsbarkeit in der Konigszeit und die Gerichtsbarkeit in exilisch- und nachexilischer Zeit. Die bezogenen auf die Rechtsprechung Texte im Alten Testament sind Gen 16:1-6; Ex 18:12-27; Num 11:16-25; Dt 1:9-17; 16:18; 17:8-11; Ri 4:4-5; 2 Sam 15:2-3; 1 Kon 7:7; 2 Ch 19:4-11 usw. Durch die exegetische Analyse dieser Texte lassen sich die historischen Richter und die Rechtsverhandlungen in Alten Israel aufklaren. Die Gerichtsbarkeit in vorstaatlicher Zeit erhalten pater familias im Zeitraum von den Erzvatern, Mose und ~yrf in der Wustenzeit und die Richter in der Richterzeit, und die Gerichtsbarkeit in der fruhen Konigszeit hat die Konige (David und Salomo), die in der mittleren Konigszeit Alteste, Beamte, Priester, die in der spateren Konigszeit die professionellen Richter. Die Gerichtsbarkeit in exilisch- und nachexilischer Zeit erhalten die Priester und die Volksversammlung.

      • KCI등재후보

        성서신학 : 포로 이후 “가난” 문제에 대한 느헤미야의 해결책 -느헤미야 5장 1-11절을 중심으로

        소형근 ( Hyeong Geun S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7 No.-

        ‘부의 쏠림현상’은 과거나 현재나 미래에도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이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하고, 유일한 방법은 분배의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가난’을 다루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가난’은 어디에서오는가?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의 ‘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스라엘 사회는 어떤 정책들을 펼쳤는가? 그리고 이 ‘가난’ 문제를 포로 이후유다 공동체 지도자였던 느헤미야는 어떤 해법으로 공동체 구성원의 ‘가난’을 해결했는가? 이 질문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약성서의 ‘가난’은 야웨의 말씀을 듣지 않고, 야웨의 명령을 지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기도 하며(신 15:4-5), 상황과 환경에 따라 부유한 자가 가난해질 수도 있으며(레 25:25, 35, 39, 47), 게으르거나, 태만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결과가 ‘가난’이었다(잠 10:4; 19:15). 빈부의 격차는 왕조시대에 커지게 되었고, 이웃 강대국(페니키아, 아람, 앗수르) 과의 접촉을 통해 ‘가난’이 더 극대화되었다. 구약성서는 가난한 자들을 배려하고 보호하기 위한 법들을 만들었지만, 이러한 법들이 왕들이나 지도자들의 정책으로까지 반영되었던 적은 거의 없었다. 포로 이후 초기에는 유다 공동체가 부유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공동체의 지속성을 파괴할 정도로 극심한 빈부의 양극화가 있어서, 느헤미야는 단호하게 개혁을 단행하게 되었다. 총독 느헤미야는 두 가지 해법을 제안한다. 첫째는 이자금지 정책이고, 둘째는 담보물 상환 정책이다. 이 두 가지 해결책은 희년법에 근거하고 있지만, 두 번째 제안은 희년법을 변형시킨 개혁정책이었다. 느헤미야의 개혁은 오경의 토라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가난한 자를 위해, 그리고 ‘가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라를 개혁의 모토로 삼고 실천에 옮겼던 지도자는 구약성서에서 느헤미야가 유일한 사람이었다. 그런 면에서 느헤미야는 토라의 실천적 의지를 가진 지도자였다. The great gap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re elements that can cause seriously the social problems in past, presence and future period. The important and sole way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is to actualize distributive justic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overty’, and I throw several questions in this paper. Where poverty is coming in the Old Testament? Which policies does the Israelite society ha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for the membership of the community? How did Nehemiah the governor for the jewish community in postexilic period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One becomes poor, if one does not obey laws and teachings of God(Deu 15:4-5), and the rich can be poor in the circumstances(Lev 25:25, 35, 39, 47), also laziness and negligence lead to poverty(Pro 10:4; 19:15).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as extended in the monarchic period, and Israelite poverty was maximized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neighboring powers(Phoenicia, Aram and Assyria). Laws of consideration and protection for the poor were included in the Old Testament, but kings and officials did not almost reflect these policies according to laws. The membership in the Jewish community was relatively rich in the beginning of postexilic period, but as time goes on there was the increasing polariz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refore Nehemiah executed firmly refor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Neh 5), and he proposed two solutions. One is a policy of Interest Prohibition, and the other is a policy of Mortgage Repayment. These Solutions are based on the Jubilee, but secondary proposal is a changed reformation policy from a law of Jubilee. The reform of Nehemiah was to practise the Torah of Pentateuch, and Nehemiah was a sole man who made a motto with the Torah for the poor and the solution of problem of poverty in the Old Testament. Nehemiah was a Leader who had the practical will of Torah in that sense.

      • KCI등재

        엘레판티니 파피루스에 나타난 유다인 삶의 양태들

        소형근(Hyeong-Geun S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기원전 5세기 이집트 엘레판티니 지역에 살고 있던 유다인들의 종교성과 일상을 살피는 것이다. 또한 구약성서와 비교했을 때 그들의 신앙에 어떤 변화가 있었고, 그들이 어떤 식으로 토착화를 이루게 되었는지를 찾는 것이다. 엘레판티니 유다인들이 정확히 언제부터 거주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들은 기원전 525년 캄비세스가 이집트를 점령했을 때 이미 엘레판티니 지역에 지역 수비대로 활동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야후 성전을 짓고 야후 신앙을 갖고 살았지만, 야후 성전이 기원전 410년에 크눔(Khnum) 신을 지지하는 세력들에 의해 무너지자, 기원전 407년에 성전재건을 위한 서신을 유다 지역 총독 바고히에게 보낸다. 이 정도가 우리가 알고 있는 엘레판티니 유다인들에 대한 정보였다. 그러나 엘레판티니 파피루스와 오스트라카를 통해 이들은 유월절과 무교절, 안식일을 지키는 신앙인들이었지만, 유일신앙적 야웨 숭배가 아닌, 종교혼합적인 신앙인으로 전락했고, 이방인들과 잡혼이나, 이방신의 이름으로 상대방을 축복하는 행위는 그들의 일상이었다. 그러나 구약성서에서 볼 수 없는 법정에서 피고의 자기변론이나, 유산상속을 위한 공증제도 등은 발전된 고대 문화를 수용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엘레판티니 유다인들이 기원전 5세기 말 이후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은 몹시 아쉽지만, 예루살렘이 아닌 디아스포라 유다인이 성전(temple)을 건축하고, 비록 이집트 땅에 토착화 된 야후 신앙일지라도 그 신앙을 이어가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커다란 가치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not only to investigate a religious and daily life of Judeans who lived in Elephantine in the fifth century B.C. but also to trace any observable difference in their Yahwism and how it was assimilated in Elephantine, especially in comparison to the Old Testament. It is not certain since when Judeans lived in Elephantine, but by the time Cambyses came to Egypt in 525 B.C., Elephantine had been a military garrison, guarding the southern frontier of Egypt. The Temple of Yhw in Elephantine was built as the Jewish population settled, but because of the conflict with the Khnum priests, the Temple of Yhw was destroyed in 410 B.C. by the local Persian governor. Afterwards, Jedaniah and his priests in Elephantine sent a letter to Bagohi the governor in Judah in 407 B.C. in order to rebuild the destroyed Temple. Through the Elephantine papyri and ostraca, we also observe that Judeans kept the Feast of Passover and Unleavened Bread and the Sabbath in Elephantine, but their religious views were syncretic. For example, marriages with foreigners and blessing by the names of foreign gods were normal for Judeans in Elephantine. Moreover, Judeans adopted the developed ancient cultural norms and legal practices, such as the notarization on right to inheritance and the plea of self-defense by the accused, which is unattested in the Old Testament. The colony of Elephantine vanished by the end of fifth century B.C. It is noteworthy that despite its syncretistic form of Yahwism, Elephantine preserves evidence for the religious life of diaspora Judeans who built the Temple of Yhw to keep their ancestor’s faith.

      • KCI등재후보

        하나님의 백성과 생존의 문제 ; 북이스라엘 전승 계승자들과 유다-이스라엘의 통합화

        소형근 ( Hyeong Geun S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5 No.-

        기원전 722년과 720년은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중요한 시기였다. 북왕국 멸망으로 인해 역사에서 국가가 사라지는 시점이었다. 더불어 북이스라엘인들은 강제이주를 당하거나, 주변 국가로 흩어졌다. 북이스라 엘인들 중에는 같은 민족이었던 남유다로 이주하는 자들이 많았다. 북이스라엘 유민들은 남유다에서 구속력 없이 자유로운 신분으로 살았으며, 일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지식인들은 북쪽에서 유행하던 전승들을 남쪽에 전하기도 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두 번에 걸친 사마리아 함락 이후 남쪽으로 이주한 북이스라엘 유민들 중, 북쪽 예언전승을 남쪽으로 이주했던 자들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들 중에는 사반 가문이 있었고, 또한 예언자들이 있었다. 이들의 신학적 사상은 이후 성서문헌에 영향을 주어 유다-이스라엘이 통합화되기를 기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이러한 통합적 사상이 처음으로 호세아 1:2-2:1에서 볼 수 있다. 북이스라엘의 멸망은 남유다에 신학적 거울이 되었던 것이다. 722 and 720 BC were the significant periods for the Israelites. The kingdom of north Israel disappeared with the collapse of Samaria, and Israelites were deported from their land to the mesopotamian lands, or they were scattered in the surrounding nations. The majority of them moved into the kingdom of southern Judah on account of the same nation. Israelites lived freely in Judah without confinement, and the intellectual and educated Israelites delivered to the Judahites the traditions that were popular in the northern territory. This article has interest in the actions of the northern israelites migrants and the inheritors of the northern israelite traditions. Therefore, one of the inheritors was the family of Shaphan and the parts of them were prophets. Their theological thoughts had great influence on the integration of Judah-Israel in the Old Testament, and this integration of Judah-Israel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Hos 1:2-2:1. As a result, the destruction of northern Israel was a theological mirror for Juda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