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심리적 불편감, 상담에 대한 지식 및 한국인 상담사에 대한 신뢰가 중국인 유학생의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유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78명과 한국인 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생활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 생활 적응, 상담에 대한 지식 및 한국인 상담사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 간의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및 상담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의 예측변인에 관련해서는 중국인 대학생에게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한국인 상담사에 대한 신뢰 및 체류기간이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한국인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생활 스트레스, 상담에 대한 지식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연구의 의의는 아래와 같다.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학생 간의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의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인 유학생이 문제를 겪고 있을 때에 상담을 받으러 갈 의도가 한국인 학생보다 낮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상담사가 한국인인 경우, 중국인 유학생이 문화의 차이 및 의사표현에 대한 걱정 때문에 상담실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화차이 없으며 의사소통도 편하게 할 수 있는 중국인 원어민 상담사의 중요성을 본 연구에서 발견하였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 대상을 상담 서비스 제공할 때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각 집단의 특성에 맞게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 본 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의 상담 서비스 이용패턴의 차이점을 밝혔다. 중국인 유학생은 심리검사 및 해석과 강좌 서비스는 주로 이용하였고 한국인 학생은 심리검사 및 해석과 개인상담은 주로 이용하였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의 출발점은 중국인 유학생이 대학교 내의 상담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려는 것이었으며,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기초 자료 될 것이라고 추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y Chinese students don't use counseling services in the university. The participants were 360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Chinese students= 178, Korean students=192). This study measure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life stress, cultural adjustment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counseling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 Korean counselors. This study conducted T-test, for examining the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The result is showed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life stress and trust in the Korean counselors had influence on Chinese students'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nd Korean students'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was influenced by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life stress and counseling knowledg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They had different professional help-seeking attitude, different life stress, different culture adjustment stress, different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ifferent counseling knowledge. Thus, we should give different counseling services to them.

      • 모바일 장치에서의 광선 추적 기법

        소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Currently, ray tracing technique is very important for graphic applications and games in smart phones and PDAs. However, until now, how to implement this technique is not well addressed. In this thesis, I propose to use ray tracing techniques in portable devices. Usually, Portable devices have limited memory and lower processor spec than personal computer. Due to the nature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the device’s display resolution possesses very different options. Ray tracing technique are used for the rendering of motion pictures or animations so far. It is widely used to generate high quality images but it requires long computation time as a tradeoff. In this reason, it was not the right option to be used in personal computer. However, thanks to kd tree and parallel processing algorithms, it is widely used in environment of home computers with real-time rendering. This thesis propose a method in developing kd tree which accelerates ray tracing technique. Specifically, the method to use ray tracing technique selectively in various portable devices and in the form of limited memory, by choosing the number of rays used in tracking can accelerate construction of images. 오늘날 스마트폰과 PDA 같은 휴대용 장치의 발전으로 인하여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과 게임이 개발되고 있지만 광선추적 기법을 활용한 사례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장치에서의 광선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휴대용 장치는 제한된 메모리와 퍼스널 컴퓨터에 비하여 낮은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특성 때문에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매우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광선 추적 기법은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을 위한 렌더링 기법에 사용되고 있다. 고화질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법으로 전통으로 널리 사용되어온 반면에 많은 계산시간을 요구한다. 이미지 생성에 소모되는 많은 계산 시간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하기는 매우 어려웠으나, 광선추적 기법의 자료구조와 병렬처리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오늘날 가정용 컴퓨터 환경에서 광선추적 기법을 실시간 렌더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선 추적 기법을 가속화하기 위한 kd 트리 생성기법에 있어서 다양한 휴대용 장치에 선택적으로 적용시키는 방법과 제한된 메모리 구조를 활용하여 광선 추적에 사용되는 광선의 횟수를 선택하고 가속하여 영상을 생성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Automatic dementia detection b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rom clinical data

        소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edical technology using medical big data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research on accuracy of diagnosis, disease prediction and prevention, and medical image analysis is actively conducted by combining imaging, voice, and data analysis technologies and medical ser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paper, a model for early diagnosis of dementia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and medical big data is proposed. Dementia is the most common degenerative dis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memory, are degraded, causing problems in daily life, and it can have a mental impact not only on patients but also their families. However, dementia can be delayed or prevented through early diagnosis. The dementia early diagnosis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consists of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existing dementia diagnosis metho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8 to 2013 from patients who had been screened for dementia at the dementia center in Gangbuk-gu, Seoul. The data include Korean Simplified Psychiatric Examination (MMSE-KC) scores and results that can evaluate the level of the patient's gender, age, education and cognitive impairment, and Korean Neuropsychiatric Examination (CERAD-K) results.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wo layers and classifies the results into three types. In the first phase, MMSE-KC data is used to classify normal and cognitive degradation, and in the second phase, CERAD-K data is used to further classify dementia and dementia high risk based on abnormal classification results in the previous stage.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at of Naive Bayes, Bayes Network, Begging,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Multilayer Perceptron (MLP) using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Comparing the F-measure values of normal,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the MLP was the highest in the F-measure values of normal with 0.97, while the SVM appear to be the highest in MCI and dementia with 0.739. Using the proposed early diagnosis model for dementia reduces the time and economic burden and can help simplify the diagnosis method for dementia.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ZnO-bas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s and nanostructures

        소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59

        To create the next generation of smart and functional materials, it is essential to control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in films and nanostructures, and to deposit them over large areas onto transparent substrates.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 such as tin oxides, indium tin oxide, and zinc oxide (ZnO) have been widely studied as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s for optoelectronic devices. Among these materials, ZnO is a good candidate for an electrode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transparency in the visible region. In addition, ZnO has a strong tendency for self-organized growth. Thu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ZnO nanostructures such as one-dimensional ZnO nanorod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and thermoelectronics. Besides the ease of growing ZnO even in the nanostructure form, the advantage for LEDs would be the integration of n-ZnO nanorods on other p-type substrates due to the fact that nanorods of ZnO have no need for a lattice matched substrate for the overgrowth, in constrast to thin films. Hence, the focus is o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ow-cost and improved ZnO thin films and nanostructures for TCO and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thesis. The different technique, plasma-assited molecular beam epitaxy, sol-gel method, hydrothermal synthesis, vapor phase transport, and doping, have been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 Al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s an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properties of the ZnO. Many characteriz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surface and morphology,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in films and nanostructures such as X-ray diffraction, raman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hotoluminescenc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nd Hall Effect.

      •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소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103

        변화와 혁신이라는 단어조차 진부할 정도로 조직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서 조직은 미래의 기회를 선점하고 살아남기 위해서 신기술을 빠르게 채택하고 짧은 시간내에 많을 지식을 학습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교육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과거 집합교육은 기업구성원의 업무수행에 지장을 주고, 긴 이동거리, 낮은 교육성과 및 높은 비용 유발 등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어(박양규, 2000)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가시적, 비가시적 비용 최소화를 통한 내적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학습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식정보가 핵심이 되는 지식기반사회(knowledge-based society)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기업은 다수의 표준화된 기능 인력보다는 소수의 창조적 두뇌 인력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인적자원의 개발, 관리체계를 위하여 필요한 사람(right people)이 필요한 장소(right place)에서, 필요한 지식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내용(right contents)을, 필요한 시간(right time)에 얻을 수 있는 적시형 학습(just in time)을 가능하게 하는(송영수, 2000) e-Learning 기업교육으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 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방안으로서 e-Learning 교육체제가 자리매김해 나가는 과정에서 기업이 실질적으로 e-Learning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에서 e-Learning 교육을 받은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 e-Learning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습자 특성, 조직 특성, 컨텐츠 특성, 시스템 특성으로 분류하여 실제 기업교육에 있어 어떤 요인들이 교육의 효과를 더 잘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각 특성 중 학습자 특성의 지각된 유용성과 동기, 컨텐츠 특성의 내용의 적절성과 화면설계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졌다. 그 이유는 e-Learning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인 학습자 스스로 자기 스타일에 맞게 필요한 학습을 진행해 나가면서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꾀할 수 있는 체계적인 화면 구성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교육에 참가한 일반 직장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향후 e-Learning과 직접적으로 관련한 담당자나 사업부서 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계층간 영향 변수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나 판단의 차이를 통해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고 교육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방안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간과된 교수자 특성을 포함하여 연구도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consolidation of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technology have brought enormous changes in many organizations. Theses changes are enabling the new educational changes such as distance learning and virtual education, particularly e-Learning has grown rapidly in business training field. In the context of companies, e-Learning has merits in terms of access convenience, costs redu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ciprocity, and flexibility. In this regar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of e-Learning influence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business organizations by doing a empirical test. Founded on the prior studies of the education and business training field,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developed. First, four specific factors of e-Learning which may influenc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were identified, and then the research variables related to those e-Learning factors were defined as follows. - Learner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age, motivation - Organization factors: support of top-executives, reward - Contents factors: appropriate contents, feedback, interface design - System factors: system quality, media rich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usefulness, learner's motivation, appropriate contents and interface design of conten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Learning effects. That implies that contents factors and learner factors are most important to improve instructional effects not only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but also in the e-Learning. In addition to, easy language and good interface design shouldn't be neglected to make e-learners concentrate on their attention.

      • 초등학교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적적 행동지원 실태 및 지원요구

        소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103

        교사들의 문제행동 중재 방법은 그 행동이 발생한 원인에 관심을 두기보다 문제행동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더 예방적이고 긍정적인 중재의 필요성이 높아져 최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생의 실제 생활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중재 전략으로 학생과 관련 있는 여러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통합교사와 특수교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는 그들이 어떤 행동을 문제행동이라고 규정하는지 그 원인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은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중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이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그 적용 현황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어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두 집단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30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통합교사 60명과 특수교사 6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여러 단계에 걸쳐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1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교차분석, 빈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사와 특수교사들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하여 인식하는 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사용에 있어서 특수교사가 ‘문제행동의 구체적 서술’, ‘문제행동들의 우선순위 결정’, ‘가설설정’, ‘직접관찰’, ‘문제행동의 기능 파악’, ‘중재를 가정으로 확장’ 등의 전략을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나 ‘장기 지속적인 지도의 어려움’, ‘관련 분야의 지식 부족’으로 인해 실행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긍정적 행동 지원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은 ‘긍정적 행동 지원팀 조직 및 운영’과 ‘긍정적 행동 지원 전략의 교사 연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이 원하는 행·재정 부분의 지원 요구는 ‘학급 인원수 감축’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높으며 그 세부 전략들을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적용에 있어 집단 간에 차이가 나거나 두 집단 교사 모두 실행도가 낮은 전략들도 있었다.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교사들이 요구하는 지원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생의 생활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학생의 삶과 관련 있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팀의 협력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에게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을 위한 실천 중심 장학자료의 제작 및 교사 연수 그리고 학급의 학생 수 감축 등의 행·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Students' behavioral problems create a strain in the classroom and affect teachers and classmates. Teachers want to eliminate the behavior quickly because it is distracting, destructive, or viewed as a nuisance. But those interventions of a punishing nature are often ineffective.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s one approach for addressing students' behavioral challenges that is consistent with an inclusive school philosophy. PBS is not simply a new behavioral technology. Rather, it is a value-driven approach to solving problems that teachers can use effectively across a variety of settings. One intended outcome of PBS is educational inclusion, whe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welcome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This approach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proactive school environments. That is, PBS implementation considers multiple contexts: community, family, school, classroom and individual. So the person related to student such as teachers, families and professionals have to create a team for comprehensive intervention. This team-based approach enables input from multiple sources, a broader expert knowledge base, and improved maintenance over time. In this team, both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an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he effect of PBS depends o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to extend PB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PBS and supportive need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lso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of teachers in practice and support needs in implementing PB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120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30 elementary schools and 111 were submitted.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with collected information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 experience of PBS, and the support needs that they need in order to utilize PBS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both groups view PBS features positively.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 more PBS strategies in "defining problem behaviors", "deciding the target behavior", "developing hypotheses", "conducting descriptive observation" and "maintaining intervention" with family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rd, teachers think that PBS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such as the amount of time required and their lack of knowledge. Fourth, the most important support needs are "collaborating and building teams among families and professionals" and "teacher training". Fifth, teachers want fewer students in their class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eachers positively viewed PBS features, and they are willing to implement the strategies. The teachers expressed a strong need for on-going support and resources. If teachers receive supports what they need, they will be mo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handle behavioral problem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er training program about PBS.

      • 일본인 학습자 대상 거절 화행에 나타난 화용적 문제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1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에 나타난 화용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제2언어 학습자가 목표어로 성공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서는 언어 형태적 지식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지식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문화적 지식을 파악하지 못하면 모어 화자로 하여금 어색함 또는 불손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곧 화용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가 설정한 화용적 문제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보편적·관습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발화를 한 경우이다. 둘째,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거나 직접 표현을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공손성을 위배한 경우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우선 거절 화행의 개념과 변인 그리고 범주를 살펴보고 거절 화행의 직접적 표현과 간접적 표현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화용적 능력과 화용적 적절성을 바탕으로 화용적 문제를 정의하고 화용적 문제의 범주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정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방법을 구성하였다. 먼저 실험을 위해 사회적 지위, 친밀도를 변인으로 하여 총 12가지의 요청 및 제안 상황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총 30명의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역할극을 진행하여 모두 360개의 대화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분류틀을 설정한 후 분류 기준과 적절성을 바탕으로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대화에서 발생한 화용적 문제의 요인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실험을 통해 나타난 화용적 문제의 양상을 분류틀에 따라 분석한 후 숙달도, 사회적 지위, 친밀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화용언어적 문제에서 공손성의 위배로 문제가 발생한 요인은 존대법, 통사적 완화장치, 어휘·구 완화장치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례어, 비언어적 요인에서는 공손성의 위배와 함께 보편적·관습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발화를 하여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사회화용적 문제는 사회적 거리와 사회적 체계로 나누었는데 이때 공손성, 보편성, 관습성에서 모두 문제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숙달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화용언어적 요인에서는 대체로 화용적 문제의 발생 빈도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사회화용적 문제에서는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 요인은 통사적 완화장치와 어휘·구 완화장치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화용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오류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친밀도에 의해 큰 차이를 보인 요인은 통사적 완화장치와 어휘·구 완화장치, 존대법이었다. 여기에서 통사적 완화장치와 어휘·구 완화장치는 친밀도가 낮을 때 문제가 나타났으나 존대법에서는 친밀도가 높을 때 문제가 나타났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한계점을 밝혔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pragmatic problems associated with refusal speech acts by native Japanese speakers when communicating with native Korean speakers. For a second language learner to successfully master communicating in second language, the student must not only comprehend the linguistic knowledge of the language but also the cultural and sociological knowledge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language. Notably, if the student fail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sociological issues, problems such as awkwardness and rudeness may be perceived by the native speaker which may lead to failure of communi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primary points to analyze the pragmatic issues. First is the study that a second language learner misses to use the general and customary language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ly, the research studies the use of incorrect expressions and the perceived sense of impoliteness that arises from it. In Section 1, the objectives, necessity, and the problems the research intends to address are presented. In Section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presented. First, the concept and the variables, and the categories associated with speech acts of refusal, as well as the direct and indirect expressions used in speech acts of refusal a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pragmatic problems are defined, categorized, and presented with pragmatic competence and appropriateness as the background. In Section 3, the methods for the research is shaped u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esented in Section 2. First, the research determines 12 scenarios written around speech acts of request and suggestion by setting up power relations and relative relationships. Then, a total of 360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by role-play acted by 30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Next, classification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the appropriateness were determined and it is analyzed that the source and the aspects of the pragmatic problems among conversational participants. In Section 4, the research analyzes the aspects of the pragmatic problems with the analysis tools and the difference in proficiency, power relations, and relative relationships. First, in pragmalinguistic problems, the factors which caused problems with impoliteness appeared to be honorifics, syntactic downgraders, and lexical and phrasal downgraders. In regards to routines and nonverbal factors, problems rose due to generally and customarily inappropriate speech as well as impoliteness. With respect to sociopragmatic problems, the problems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major issues, social distance and social systems. These two issues both resulted in politeness, general, and customary problems. Next, analyzing pragmalinguistic factors with the learners’ proficiency as the standard, the frequency of pragmatic problems decreased; however, sociopragmatic problems displayed no changes with respect to the proficiency of the learner. While sociopragmatic factors did not present any errors depending on social status of the learner, syntactic downgraders and lexical and phrasal downgraders displayed big differences in it. Finally, syntactic downgraders, lexical and phrasal downgraders, and honorifics showed larg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social status of the learner. Here, problems with syntactic downgraders and lexical phrasal downgraders appeared when the level of intimacy was low; however, problems with honorifics appeared when the level of intimacy was high. In Section 5,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Finally,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Program Annotation : Felix Mendelssohn 〈Sechs Lieder, Op. 59〉No. 1, 4, 5, Eric Whitacre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

        소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103

        본 논문(annotation)은 필자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해 지휘했던 졸업 연주회 프로그램을 분석・연구하여 학술적으로 더 깊이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분석 대상은 19세기 낭만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인 멘델스존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의 <Sechs Lieder Op. 59 (6개의 노래)> 중 제1, 4, 5번과 현존하는 미국의 작곡가 에릭 휘태커(Eric Whitacre, b.1970-)의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 (하늘을 나는 기계에 대한 레오나르도의 꿈)>이다. 멘델스존의 합창작품 중 파트송(Part-song), <Sechs Lieder Op. 59> 중 제1, 4, 5번은 모두 무반주 혼성 4부 합창곡으로 주로 호모포니로 진행한다. 가사는 공통적으로 자연에 대한 내용을 가진 서정시를 사용하였고 단순하고 간결한 유절형식으로 작곡되었다. 시의 내용과 분위기는 서정적 선율과 간결한 화성으로서 나타나며, 성부의 다양한 조합과 악상을 통해 시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현존하는 미국의 작곡가인 휘태커의 대표적인 합창곡 중 하나인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은 무반주 혼성 5부 합창곡으로,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하늘을 날기 위한 고민과 그의 꿈을 노래한 작품이다. 휘태커는 이 작품의 각 장면을 주요 동기들을 활용하여 가사그리기 기법 (word-painting)으로 묘사하였다. 또한 조성적인 체계의 바탕 위에 톤 클러스터 (tone clusters), 팬다이아토닉 화음(Pandiatonicism) 등의 작곡기법을 사용하여 전통과 현재적 감각의 절묘한 균형을 이루었다. 독일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멘델스존의 많은 작품이 연구되었지만, 그의 세속합창곡인 파트송에 대한 연구는 찾기가 쉽지 않다. 휘태커의 작품 또한 그의 대표합창곡으로 잘 알려졌지만 자주 연주되는 것에 비해 연구·분석이 부족하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실제 연주 경험에 바탕을 둔 필자의 연구가 향후 해당 작품을 접할 연주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라는 목적으로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This annotation aims to academically understand the research and analysis done for the graduation recital repertoires for the master’s program at Ewha Womans University’s School of Music. No. 1, 4 and 5 of Sechs Lieder (Six songs), Op. 59 by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 who is one of the most celebrated composers of the 19th century Romantic period and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 by an American composer Eric Whitacre (b. 1970) are analyzed for this study. Sechs Lieder, Op. 59 is a collection of six unaccompanied part-songs for four-part mixed choir by Felix Mendelssohn-Bartholdy. Numbers 1, 4, and 5 of Sechs Lieder, Op. 59 are written in homophonic style. The lyrics of these songs portray the reflections of the nature while being composed in a simple strophic form. The storyline and tone of the lyrics are eloquently conveyed through the lyrical melodies in conjunction with the concise use of harmonies and are implicitly embodied in the textures of voices and diverse musical elements, including tempo, articulation, and dynamic.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 is an unaccompanied choral work for five-part mixed choir by an American contemporary composer Eric Whitacre. It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oral works of Whitacre that describes Leonardo da Vinci's dreams and quest to fly. Whitacre depicts each scene through the use of motives by the word-painting technique. Furthermore, he utilizes compositional techniques such as tone clusters and pandiatonicism in tonality to attain an exquisite balance between the music styl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ere are many studies on Mendelssohn’s works; however, studies on his part-songs such as Sechs Lieder, Op. 59 are hardly found. Whitacre’choral works including Leonardo Dreams of His Flying Machine are widely performed and appreciated, but not enough analysis studies have been done on his songs. Therefore, this research and analysis annotation aspires to contribute to any prospective conductors and performers who may encounter these work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