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과 역사 : 유의(儒醫) 이규준(李圭晙)의 『중용(中庸)』 이해

        성호준 ( Ho Jun Su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石谷李圭晙의 사상을 『中庸』에 대한 주석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는 經學을 중심으로 하여 독자적인 心性수양론의 체계를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의학이론을 전개함으로써 醫儒同道의 이상을 실현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儒醫라 할 수 있다. 『中庸』의 체제와 구성에 있어 石谷은 下學上達의 학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中庸』을 上達에 『大學』을 下學과 짝지어 『大學』과 『中庸』을일관성있는 체제로 구성하였다. 『大學』은 下學으로 天道를 말하지 않았고, 『中庸』은 天道와 人事에 골고루 해당됨을 밝혔다. 天道와 中和의 부분에 있어서도 石谷은 ‘命-性-心-情’을 하나의 物로이해하고, 순수한 天道가 순수함을 한결같이 유지하여 치우치거나 다른 사물에 의지함이 없는 상태를 中이라 하고 天命之性이라 하였다. 그리고 天道-人道가 공히 一本과 萬殊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이를 石谷은 인간의 性命에 있어서는 ‘心-形’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이를 통하여 中和의 의미와 善惡과 七情의 발생을 설명한다. 人道와 誠·仁의 논의에서는 天道와 人道, 人心이 誠으로 매개되면 주체와 객체가 융화되어 天人合一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誠으로 天과 사람이 일관됨을 주장한 것이다. 그는 忠恕를 설명하면서 忠은 ‘誠’하려는 의지라고 하여 ‘誠-忠’으로 설명하고, 恕는 仁을 실천하는 것으로 ‘仁-恕’를 말한다. 仁을 天命之性으로 여겨 형이상학적 차원으로 이해하는 성리학의 경우와 달리 天道와 誠과 연관하나 실천적인 德으로 해석하는데 연유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 of the Yi Gyu-jun(李圭晙) focused comments on The Doctrine of Mean(中庸). He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 of the late Joseon(朝鮮)’s Ruyi(儒醫) realizing the ideal of Yirutongdao(醫儒同道) by deploying a medical theory through his Confucianism. He was to achieve academic goals. So he was called high-level study The Doctrine of Mean(中庸), the study of low-level was called The Great learning(大學). Even in parts of . Chendo(天道) and Junghwa(中和), he ``Myung(命)-Sung(性)-Sim(心)-Jeong (情)`` were understood to be one exists. Called pure Chendo(天道) value-biased consistently maintained the purity or the absence of reliance on other things, Jung(中) and was called Sung(性). And Chendo(天道)-Indo(人道) that both have the structure of Ilbon(一本) and Mansu(萬殊). In it he human body and mind is divided into ``Sim(心)-Hyeong(形)``, explains the meaning and development of morality and emotion Junghwa(中和) through it. Chendo(天道) and Indo(人道), Insim(人心) is consistent with Sung(誠) is fused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t can achieve the ideal of Cheoninhabil(天人合一). He is explaining the Chung-seo(忠恕) Chung(忠) is described as a ``Sung(誠)`` willingness to say ``Sung(誠)-Chung(忠)`` and, Seo(恕) is In(仁) and says that practice. In(仁) and Sung(性) in Neo-Confucian thought was that, unlike in the case of the metaphysical dimension of understanding with Cheondo(天道) associated with one and Sung(誠) reason to interpret a practical virtue.

      • 유무선 모바일 VOD 인터넷간 차이 연구

        성호준(Sung Ho J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모바일 VOD 서비스 이용자들의 콘텐츠에 있어 유선 인터넷 VOD 콘텐츠와 모바일 VOD 서비스 이용자들간 이용하는 모바일 VOD 콘텐츠 장르선택과 유선 인터넷 VOD 콘텐츠 선택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수준의 VOD활용이 나타났으며 활용 유형은 다양한 콘텐츠와 기분전환, 재미,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VOD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횟수가 높을수록 VOD 활용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만족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VOD 서비스가 모바일 VOD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VOD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공개적이고 쉬운 요금제도 등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 대상자들은 주로 재미 위주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하여 VOD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VOD에 대한 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choice of contents genre between mobile VOD service users and landline internet VOD service users. Overall, males showed a higher rate of VOD usage than females and a variety of contents were used for entertainment, programs and mood alteration. In addition, a higher frequency of VOD usage showed a higher rate of VOD usage and also resulted in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lso, the quality of landline internet VOD service showed to be higher than mobile VOD service. This suggests that programs for mobile VOD needs to be developed as well as a more open and simple rate system. In addition, subjects of this study showed to use VOD services mainly for entertainment purposes, suggesting that a variety of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ts users.

      • KCI등재

        퇴계(退溪)의 심신관(心身觀)과 『활인심법(活人心法)』

        성호준(Ho Jun Sung) 퇴계학부산연구원 2010 퇴계학논총 Vol.16 No.-

        退溪의 「太極圖說」에 나타나는 形·神 곧 心·身의 문제를 朱子·朱震亨 등의 해설을 통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五性感動(物)"의 부분을 五藏·情志과의 心·身의 상관되는 부분으로 해석하였다. 아울러 「太極圖說」을 중심으로 한 성리학의 心身에 대한 논의는 修養論으로 귀결됨을 서술하였다.一身의 主宰가 心이라면 敬은 一心의 主宰라 할 수 있다. 敬은 主一無適과整齊嚴肅이라고 하였다. 퇴계가 필사한 活人心法 은 "存心養性"을 중시한儒學과도 상통할 수 있는 양생서로 退溪 당시의 사상계가 身體의 養生에 관한 논의를 도외시하지 않고 유학의 보완적인 요소로 인식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Mind and body of Toe-gye, such as Zhu-zi(朱子) and Zhu zhen-heng(朱震亨) describe the problem Throughout was to understand. And even through Toe-gye copied for Huorenxinfa were analyzed. Taijitushuo(太極圖說) with a focus on Confucian theory of mind and body cultivation, resulting in a discussion that was described. The master of body is mind. Jing(敬) is the master of the mind. Jing which is Zhuyiyushi(主一無適)과 Zhengqiyansu(整齊嚴肅). There is an interrelation between that book and "Cunxinyangxing(存心 養性)" of Confucianism. Toegye's time for discussion of training on the body did not turn away. As complementary elements of Confucianism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recognition.

      • KCI등재

        건학이념 학술대회 논문<홍익인간과 통치철학> : 강희제(康熙帝)의 『정훈격언(庭訓格言)』에 나타난 수양(修養)과 치세(治世)

        성호준 ( Ho Jun Su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필자는 『庭訓格言』에 나타난 康熙帝의 修養및 治世에 관한 내용을 儒家의 ‘內聖外王’을 통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內聖外王’은 유가의 ‘修己·治人’과 ‘忠恕’등의 제왕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안으로 자신의 도덕적주체성을 확립하고 밖으로 사람을 자신과 같은 마음으로 대하고 바르게 하는 儒家의 內外合一의 이상이다. 康熙帝의 思想은 기반은 ‘崇儒重道’의 학문관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그의 학문의 목적은 天理를 보존하고 人欲을 제거하는 것이다. 先秦시대 이후 天道와 人性의 도덕적 합일을 지향하는 유학의 학문적 지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과 독서의 의미부분에 있어서는 그의 학문과 독서는 성현의 經書를 중심으로 하나, ‘虛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그의 학문은 實用을 강조하는 實事求是적 성격을 지닌 것이다. ‘內聖外王’의 儒家君主論은 제왕의 내면적이고 도덕적인 성찰을 강조한다. 이를 性理學에서는 誠과 敬의 修養論으로 전개한다고 하였다. 그의 修養論은 先儒들의 성리학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誠·敬을 근본으로 하는 康熙帝의 修養論은 內·外와 動·靜을 아우르는 공부로 나타난다. 아울러 이는 몸의 養生부분으로 까지 이어진다. 마음을 중심으로 하는 修養(養心)을 몸을 중시하는 養生(養形)의 상위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治世는 ‘外王’의 영역에 속한다. 仁政 혹은 王道를 현실세계에 구현하고자 하는 함은 근대 이전, 동양에 있어서는 지상목표라 할 수 있다. 外王즉 王道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덕목은 寬·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忠·恕가운데 恕의 영역이다. 康熙帝가 말하는 寬·仁은 克己復禮의 내면적 수양보다는 너그럽게 仁과 仁政을 베푸는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Kangxidi`s Tingxungeyan of Qing-Dynasty(淸代). First of all, the I judge that the Tingxungeyan`s thought from Neo-Confucianism. Kangxidi who was emperor from Manzhouzu(滿洲族), but he had to respect the tradition of Han-zu(漢族). His political ideology was based on Confucianism. He also performed in children`s education was based on Confucianism, the text was Tingxungeyan.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contents, his Tingxungeyan. However, the core of the book can be divided into three key words. First, the study of perspective. He was venerated Confucianism and He was an emphasis Tao(道) of Confucianism. Second, he emphasized mind-discipline through Cheng-Jing(誠-敬). He demanded to children in virtue leaders have. Third, he was taught his children that they treated the kuan(寬) and Ren(仁) the people. The words are those that inherit the Analects of Confucius. However, three key words are interrelated. This is the fundamental spirit of Confucianism, Zhong(忠)-Shu(恕). Kangxidi, emperor of China was the best. And at that time, China was the best prime. Because he was a thorough scholar of Confucianism and he was a thorough pragmatist.

      • KCI등재

        유의(儒醫) 주진형(朱震亨)의 군화(君火),상화(相火)에 관한 연구

        성호준 ( Ho-jun 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원대 유의 주진형은「태극도설」의 원용을 통하여 ‘화’를 둘로 나눔으로써 인간의 주체적인 지각과 노력에 의하여 욕망이나 감정 등의 중절이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부중절의 차이를 의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일신(一身)을 주재하는 ‘심’의 본연한 역할에 의미를 두고, 형기의 욕망은 상화와 오화 등을 통하여 설명하는 이론 구조를 구축하였다. 그는 화를 군화(인화)와 상화(천화)로 구분하는데, 이를 통하여 인간의 자율적이며 주체적인 의지와 판단으로 욕망과 정서를 조절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곧 인간은 천지자연의 기의 흐름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존재가 아니고, 기를 품부 받아 형기를 이루지만 심의 지각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생명운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존재가 된다. 그리고 주진형은 유학의 ‘주정(主靜)’을 의학적으로 활용하였는데, 그‘정’은 ‘음양동정’의 상대적인 정이 아니고 ‘동정’의 단계를 초월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인간 본연의 심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정이며 정을 통하여 천지자연과 인간생명의 동정에 대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도심을 군화에 인심을 상화에 배속하여 인심ㆍ도심을 의학의 생리ㆍ병리의 차원으로 전개하였다. 상화는 비록 허무에 근원하지만 망동할 수 있는 존재로 인체의 병리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으로 표현하였고, 군화도 형기를 가지고 있어 동하기는 하지만 심의 본연함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주진형의 ‘군화.상화’의 논의를 통하여 유학과 의학의 구조가 상통하고, 학문적 지향이 서로 배치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Zhu split in two the ``Huo(火)`` through the use of ‘Taijitushuo(太極圖說)’. He tried to explain the difference otherwise if the resection of desires and emotions by the human subjective perception and effort as possible. He kept meaning to the natural role of the presiding body limited to ``Mind``, he believed that one to explain the desire of the body through the Xianghuo(君火). So he expressed a desire and emotion of the problems that have been described throughout the body via the Wuhuo(五火). He was classified as Junhuo and Xianghuo, and Tianhua(天 火) and RenHuo(人火). He expressed that human desires and emotions can adjust the autonomous and independent of the will and judgment through to them. Humans do not immediately respond to the presence of a passive flow of Chi the natural world. Humans form the body receives chi. However, there is aggressively involved in their operational life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Mind. The serenity of ‘Zhujing(主靜)’ is not the relative serenity of ‘Yinyangdongjing(陰陽動靜)’. He understood that Serenity was a step beyond the ‘Dongjing(動靜)’. Back to the Serenity that human natural state of deliberations and can cope with the world dongjing through the Serenity of nature and human life. The source of the ``Xianghuo`` though ``Xuwu(虛無)``. However, it is a part that can come into existence to act in vain to get the pathology of the body. ``Junhuo`` presence is also moving with the body. However, as it has been the basis of the original Mind. Finally I think that the goal of Confucianism and medicine are the same.

      • KCI등재
      • 『東醫寶鑑』 성립의 儒學的 배경

        成昊俊(Sung Ho Jun) 한국의사학회 2001 한국의사학회지 Vol.14 No.2

        Through the discussions on ascending, descending, in and out of functional activity of Ki, Nature and Life(性命) based on the correlations among essence of life, Ki and vitality, and the Heart which is the complex of heart and place of mental activity, orientation of ‘Life(生命)’ in 『Dongeuibogam』 is that heart and body are in a single construction not in two. Although 『Dongeuibogam』 has the characteristics of substantial discussions about prevalent inner Dan thought in those days in the medical field, it is quoted in the aspect of guiding and leading the Nature and Life(性命). As the nature of heart was developed psycological and physically, we could sense the influences of Confucian-medicine that accounted the Heart which is the place of mental activity and the Sung Confucianism trend of Chosun dynas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