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성정용 호서고고학회 2010 호서고고학 Vol.0 No.22

        주지하다시피 수많은 고고학자료 가운데 절대 연대상의 시간적 정보를 갖고 있는 자료는 극히 드물다. 백제지역에서는 지금까지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어느 나라보다도 풍부한 절대연대 관련 자료들이 출토되고 있다. 무령왕릉(왕 523년 沒 525년 葬, 왕비 526년 沒 529년 葬)출토 금속제품들은 지금까지 편년의 기준자료가 되어 왔지만, 567년에 매납된 석제사리감과 함께 출토된 부여 陵寺 木塔址 출토 대금구와 釧, 사리함의 명문으로 보아 577년에 매납된 왕흥사지 木塔址 출토 대금구, 639년에 봉안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리공양품 가운데 포함된 銀製 冠飾과 대금구 등도 독보적인 편년 기준 자료가 되고 있다. 다만 이들은 공반유물이 주로 금속제품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아쉬운 점이 있다. 그런데 백제 고분에서는 다량의 중국 자기가 출토되고 있어 중국의 紀年銘 무덤에서 출토된 것과의 교차편년을 통해 제작연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은 수입 후 사용·부장 등에 이르기까지 전세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밖에 비록 그 양은 대단히 적지만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須惠器나 鐎斗 등도 교차편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중국 자기들과 공반된 금공제품이나 마구 등의 형식과 중국 자기의 변천이 어느 정도 공변하는지 검토함으로써, 중국 자기가 백제고고학의 절대 연대결정자료로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백제 지역 주요고분들의 실연대를 추정해보았다. Since the report of Chinese celadons from King Muryeong's Tomb in Gongju and Beobcheon-ri Burial no.2 in Wonju, more than 100 ancient Chinese celadon remains were discoverd in the Baekje territory. The large amount of the Chinese materials in Baekje is not matched by occasional finds in Goguryeo, Silla, and Wa areas, showing Baekje high class people's preference to the developed Chinese material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synthesize Chinese celadon finds in Baekje and provides chronological scheme of the major sites based on cross-dating with mainland Chinese materials. More than 70 celadon remains are dated to the Hangseong Period in which burial and non-burial sites from both centers and peripheries yielded the Chinese objects. On the other hand, only 23 objects are dated to the Sabi Period, and most were yielded in non-burial sites in the political center. Also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e Chinese objects were likely to have been used as prestige goods in the periphery, while they were used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in the political center. Preference of the Chinese celadon declined as metal artifacts were widely used in high class culture in the Sabi period.

      • KCI등재

        우리나라 先史∼古代水利施設의괮型과 發達過程

        성정용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7 No.-

        수리(水利)란 무엇인가? 인간생활에 이로움을 주기 위한 수리시설은 농경이 시작된 이래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었으며, 관개체계의 발달은 곧 농경발달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농경은 한 사회 내에서 인구증가를 해결할 수 있는 불가피한 수단이자 경제적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원천가운데 하나로서, 풍요로운생산을 뒷받침할 수 있는 효율적 수단이 바로 수리 관개시설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수리시설은 청동기시대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수도작의 실시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이는 크게 洑와 같이 하천의 물을 막거나 물길을 돌려 관개하는 引水灌漑괮型, 제방[堤]을 축조하여 물을 저수하고 충적지 전체를 경작지로바꾸어 관개하는 築堤貯水灌漑괮型, 방파제 등과 같이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경작지를 확대하거나 보호하도록만드는 築堤保田괮型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들은 단순한 관개방식의 차이가 아닌 시기에 따른 발달과정도 담보하고 있다. 우리나라 관개시설의 발달과정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을 듯하다. Ⅰ단계는 수도작농경이 본격화되는청동기시대의 관개시설로서, 소규모의 引水灌漑시설들이 작은 하천들마다 설치되고 이를 지역집단들이 소규모로 관리·운영하는 체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인수관개유형은 이후 시기에도 규모를 달리하며 계속 만들어진다. Ⅱ단계는 원삼국시대 후기∼삼국시대 초기로서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나, 문헌기록을볼 때 하천과 하천을 연결하여 물의 공습과 배수를 하는 인공적인 수로의 존재가 예상되는 등 저습지 개발의서막이 오는 시기로 생각된다. Ⅲ단계는 山間계곡에 대규모 제방의 건설을 통해 하천 하류 충적지 전체를 개발하는 築堤貯水灌漑괮型이 성립하는 단계이다. 이를 포함하여 늦어도 A.D.5세기 무렵에는 이전과는 차원을달리하는 관개체계가 성립되어 삼국시대 국가간 경쟁의 경제적 토대가 되었다고 보인다. Ⅳ단계는 고려시대후기의 기록을 통해 저습지를 개발하는 더욱 발달된 관개체계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아직 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검토의 여지가 있다. What is irrigation? The irrigation facility which is to give benefits to human life has been an essentialthing since the dawn of agriculture, and it is not much to say that development in the irrigation systemis the very history of development in agriculture. Also, agriculture is an inevitable means to resolve theproblem of increase in the population within a society and i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sources fromwhich economic wealth can be accumulated, and the efficient means to ensure abundant production isthe very irrigation facility. The irrigation facility in Korea began to develop from the Bronze Age, andwas inseparably related to rice farming using water. The irrigation facilities in Korea can be largelyclassified into the Water-guiding Type Irrigation where the farmland is irrigated by blocking orrerouting the water in a river with a weir, the Farmland-forming Embankment Type Irrigation where abank is built to store water and the entire alluvion is changed to a farmland and irrigated, and theFarmland-protecting Embankment Type Irrigation where the farmland is expanded or protected byblocking inflow of water with a breakwater. These show not only the simple difference in the irrigationmethods but also the development processes changed over time.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irrigation facilities in Ko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4stages. The first stage was the irrigation facility of the Bronze Age when rice farming started in earnest. A small Water-guiding Type Irrigation facility was thought to be installed on every small river, whichwas managed and operated by a local group in a small scale. These Water-guiding Type Irrigationfacilities continued being made even after this period in different scales. The second stage was betweenthe latter part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early par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though the archaeological evidence is not clear yet, it is thought to be the period when the developmentof low marsh started, as the existence of artificial watercourses used to supply and drain water byconnecting two rivers is expected from the literature record. The third stage was the stage when WaterstoragingEmbankment Type Irrigation appeared where the entire alluvion on the lower part of a riverwas developed by constructing a large scale embankment in a valley. Including this, it is presumedthat, around the 5th century A.D. at latest, irrigation systems of different levels from that of the pastwere formed and became the economic basis for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s during the ThreeKingdoms Period. As to the fourth stage, it is found through the record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Period that a more advanced irrigation system of developing low marsh might have been possiblyachieved; as there is yet to be any archaeological evidence, it needs further reviews.

      • 익산 연동리 반룡경과 마한의 대외교섭

        성정용,남궁승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1 고고학지 Vol.12 No.-

        1957년 국립부여박물관에 입수된 익산 연동리경(蓮洞里鏡)은 처음 홍사준에 의해 태경(太庚)3년명 신수경과 명문 내용이 유사하다고 하여 육조(六朝)시기의 신수경(神獸鏡)으로 소개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백제와 서진(西晋)과의 교섭 관계를 보여주는 유력한 자료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이후 김원룡은 이 동경을 후한(後漢) 신수경으로 일본에 소개하였으며, 김정배도 이를 후한경(後漢鏡)으로 비정하고 익산의 건마국(乾馬國)세력이 군현(郡縣)과 교섭한 자료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연동리경은 공반 유물이 없었던 탓인지 마한지역의 대외교섭을 이해하는 자료로서 이후 그다지 주목받지 못해왔다. 그런데 최근 이를 위대(魏代)의 반룡경(盤龍鏡)으로 비정하고 위(魏)가 한(韓)의 재지사회(在地社會)에 대한 위무책(慰撫策)을 펴는 과정에서 분여되었을 것이라는 적극적인 해석이 다시 제기되었다. 이처럼 연동리경에 대한 다양한 연대 비정과 해석이 제기되었지만 경(鏡) 형식의 비정이 잘못되었거나 비교 근거들이 취약하여 선뜻 어떤 견해를 취신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거울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소개하고자 하였다. A bronze mirror was found from Yeondong-ri, Iksan in 1957. Hong Sa-joon reported that it is a Sinsumun mirror made in the Liu-Chao Dynasty. Later Yoo U-sang presented that this mirror rather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Hsi-Chin. Recently Park Soon-bal argued that this was made in the Wei Dynasty, and was distributed to the Samhan as an appeas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mirror reveals that this is a Balryong-Gyeong with a design of two dragons and one tiger and seems to be manufactured during the middle to late period of the Hou-Han Dynasty.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mirror was distributed to the Mahan area via Nangnang during the 2nd century. The Mahan area showed dynamic political developments since the 3rd century; however, there are few archaeological evidence to study the Mahan society during the 2nd century. The mirror from Yeondong-ri would be one of the few artifacts to understand the Mahan society during the 2nd century.

      • KCI등재

        大田 九成洞土城

        성정용,이성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1 百濟硏究 Vol.34 No.-

        구성동토성은 처음 백제 奴斯只縣의 치성으로 비정된 이후 백제 산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지표조사 결과 羅末麗初期의 유물들이 성벽 축조와 직접 관련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그 성격과 축조시점 등을 再考하게 되었다. 지표조사라는 제한된 방법으로 구성동토성의 종합적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頸部에 陰刻波狀文이 있는 壺甕이 성벽에서 채집되고 있어 그 축조시점은 9c후반∼10c전반 무렵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구성동토성은 낮은 구릉 위에 입지한 소규모 토성으로서, 최근 이것과 입지나 규모·구조·축성기법·출토유물 등이 유사한 토성들이 각지에서 상당수 확인되고 있다. 이들이 성격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겠으나 나말여초기에 주로 축조·사용된 성곽들은 입지와 규모·시기 등으로 보아 당시 득세하던 지방호족세력들과 상대적으로 깊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fter Kusong-dong Earthen Wall had been recognised as govern place of Nosagihyun at Paekche period, it was understood that was abolished after collapse of Paekche. But we need to reconsider its character and age, through the survey that Paekche research institute did recently. Because serveral pieces of pottery which was used at Namalyocho period was newly found at Kusong-dong Earthen Wall. It s hard to totally understand with this simple survey, but Kusong-dong Earthen Wall was strongly related with small Earthen Walls which were built at Namalyocho period rather than fortress of Paekche through its location, size, structure, building method, found artifacts, and so on.

      • KCI등재

        삼국시대 옥천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관산성[古尸山城]

        성정용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3 중원문화연구 Vol.31 No.-

        The Gwansanseong Fortress War is the most widely known international war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is well known, the basic reason for the outbreak of this war is the backlash caused by Baekje's loss of the Han River basin.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Okcheon was the first target of Baekje's anger, which reached its peak after losing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due to Silla's betrayal. It is thought that Baekje wanted to attack Okcheon, which was close to the Nonsan area, which was almost like a front yard, and first eliminate the dagger that seemed to be sticking at their necks. The Gwansanseong Fortress War was not temporary, it appears to have started in July and ended around December.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the situation was favorable to Baekje, to the extent that Gwansanseong Fortress was taken and Guttamorasae was built. It seems that the Guttamorasae built by Yeochang can be assigned to the Shimcheon-myeon or Iwon-myeon area. Afterwards, the war reached a stalemate and King Seong, who had rushed out to encourage Yeochang's army, which was in trouble, was killed on the road, and this war had a huge impact on the future of the three kingdoms. It seems that King Seong was killed in an area close to Okcheon because Yeochang's main camp retreated to the area around Gwansanseong Fortress. Looking at the fact that Gaya was destroyed not long after the Gwansanseong Fortress War, we can guess the aftermath of this war. The Gwansanseong Fortress War not only brought about the destruction of Gaya nearby, but was also a decisive war that decided the fall of Baekje and the survival of the three kingdoms in 660, and Okcheon was an area in the center of that whirlpool. The Okcheon area is a place with a richer historical narrative than any other place, including the Gwansanseong Fortress War that decided the fate of the Three Kingdoms, the tragic death of King Seong, and the border of Jera(Baekje+Shilla), which could be called the Three Kingdoms’ version of the DM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