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Influence of Acoustic Cues on the Perception of Lexical Stres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English Listeners

        성은경 한국영어학회 2022 영어학 Vol.22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listeners’ native language affected the use of four different acoustic cues (duration, F0, intensity, and vowel quality) in identifying lexical stress in English. Native Korean and English listeners judged lexical stress placement in nonce words in which the first or the second syllable was varied systematically regarding the four acoustic cues. The results of proportions of trochaic responses and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all four cues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listeners’ stress perception. However, the two listener groups performed differently when considering response patterns for four acoustic cues separately. Specifically, the Korean listeners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F0 and intensity cues than the English listene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istener groups in terms of duration and vowel quality cue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acoustic cues and listener groups for duration and F0 cues. The Korean listeners relied more on F0 and less on duration than the English listen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L2 listeners’ perception of lexical stress is not entirely predicted by L1 prosody. Furthermore, for both groups of listeners the cue shift from iambic to noncontrastive stress patterns induced less changes in trochaic stress responses than that from noncontrastive to trochaic stress patterns. This preference for trochaic stress perception over iambic stress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군형법상 가혹행위죄의 구성요건에 관한 해석과 최근 하급심 판례의 경향

        성은경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9 형사정책연구 Vol.120 No.-

        The Military Criminal Act had sternly imposed aggravated punishments for crimes against one’s superiors and on abuse of authority since the time of its enactment, whereas aggravated punishments had not been specifically imposed for the crimes of superiors against inferiors. In terms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he rules to penalize the “cruel treatment crimes caused by exercising authority” had not been prepared as the applicable provision to punish various anti-human right acts of superiors against inferiors, until its 14th amendment(2009). Concerning cruel treatments, the Supreme Court suggests a very limited set of interpretations, i.e. the “cases of imposing mental and physical sufferings that are difficult for human beings to endure.” This interpretation stems from the notion of cruel treatments prescribed by the Supreme Court with respect to the "cruel treatment crimes caused by abuse of power” about 40 years ago, which must be discarded or at least modified considering changes in the legal environment and in the public's perception of human rights. In this article, we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ruel treatment crimes under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practice, from the critical viewpoint, and consider how the criteria for judging cruel treatments should be amended, based on this. In addition, we intend to examine some of the lower instance precedents in the military court, which has convicted on cases where it was difficult to plead guilty to cruel treatments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by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with a new perspective and standards. 군형법은 제정 당시부터 상급자에 대한 범죄나 권한을 남용한 범죄에 대하여 엄격하게 가중처벌하여 온 반면, 상급자의 하급자에 대한 범죄는 특별히 가중처벌하고 있지는 아니하였다. 군형법은 2009년 제14차 개정에 이르러서야 상급자의 하급자에 대한 다양한 반인권적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근거규정으로서 위력행사가혹행위죄를 처벌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가혹행위에 대해 대법원은 '사람으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가하는 경우'라는 매우 제한적인 해석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약 40년 전 직권남용가혹행위죄와 관련하여 고등군법회의(現 고등군사법원)와 대법원이 설시한 가혹행위의 개념에서 유래한 것인데, 법적 환경의 변화와 인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면 폐기되거나 적어도 수정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이 글에서는 종래 실무상 통용되어 오던 군형법상 가혹행위죄의 성격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여 보고, 이를 전제로 가혹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어떻게 수정되어야 할지를 고찰할 것이다. 또한 종래 대법원 판례가 설시한 기준으로는 가혹행위죄의 유죄를 인정하기 어려웠던 사례들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과 기준에서 유죄판결을 선고한 군사법원의 몇몇 하급심 판례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Korean Listeners' Misperception of English Codas and Consonant Clusters

        성은경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3 언어와 언어학 Vol.0 No.60

        This study compares perceptual patterns of Korean and English listeners, focusing on single-consonant codas and consonant clusters in English nonce words, and investigates stimulus factors that induce Korean listeners' misperception involving vowel inser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e accuracy of Korean listener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nglish listeners. Furthermore, Korean listeners' misperception is more likely to be induced in the following cases: (1) when there is an inserted vowel in items, (2) when the item includes a fricative or affricate rather than a stop, or (3) when the inserted vowel is /i/ following a palatal sound rather than /ʊ/ following a non-palatal sound.

      • KCI등재

        한국어, 영어, 중국어 화자의 비음화와 위치동화 맥락에서의 단어 인지

        성은경,권민지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mpensation for phonological assimilation depends on language-specific knowledge. Native Korean, English, and Chinese speakers participated in an identification task involving obstruent nasalization and coronal place assimi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speakers compensated for nasalization and place assimilation in a context-sensitive way. But the degree of compensation was greater in nasalization than in place assimilation. English speakers also revealed some sensitivity to contexts in both nasalization and place assimilation. On the contrary, Chinese speakers did not show any sensitivity to context at all.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by languagespecific compensation mechanisms. However, perceptual salience or acoustic properties of related segments were also at play. Furthermore, the effect of lexical status of words was shown although its effect was weaker than that of other factors.

      • KCI등재

        The Effects of Sentential Context on the Perception of Assimilated Speech by L2 Listeners

        성은경,김영은,이수연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19 語學硏究 Vol.55 No.1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sentential context on perceptual compensation for assimilation and to compare compensation patterns between English and Korean listeners with a high proficiency level in English. To these end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involving English coronal place assimilation. In the discrimination experiment, two types of stimuli (i.e., compound words and sentences) were presented. In the identification experiment, a target token including one of the two types of codas (i.e., coronal and non-coronal consonants) was embedded in a semantically neutral sen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discrimination experiment both listener groups demonstrated higher detection rates in sentences rather than in words. However, the Korean listeners were not as sensitive as the English listeners to phonetic differences of coda consonants in the unviable change context, and they showed more variations in detection rates than the English listeners. The results of the identification experiment presented a significant effect of coda type of target tokens on both listener groups. In sum, the L2 advanced learners were able to use sentential context to perceive assimilated speech, as were the L1 listeners.

      • KCI등재후보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상 협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관할부대장 등의 협의의견으로서 조건부 동의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성은경 법제처 2020 법제 Vol.691 No.-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이하 “군사기지법”이라 약칭한다)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보면, 군사기지법에 따른 재산권 행사에 대한 규제를 헌법상 공공복리 또는 사회적 기속성에 근거한 것으로 본다거나, 군사기지법상 협의절차를 행정결정을 위한 행정기관 내부적 절차로서 실체적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 보는 견해들이 존재한다. 또한 군사기지법상 협의절차의 하자는 허가 등 처분에 대한 실체법적인 위법사유가 된다고 하는 견해를 비롯하여, 관할부대장 등의 협의의견으로서 조건부 동의를 행정행위 부관의 일종인 부담으로 보는 등의 견해도 존재한다. 군사기지법과 관련하여서는 이러한 몇몇 견해들을 찾아볼 수 있는 외에 다른 토지이용규제법률들에 비해 활발한 학문적 연구나 치밀한 법리적 다툼이 있지는 아니하였다. 아마도 군사기지법상 협의제도가 행정청이 허가 등 처분을 함에 있어서 거쳐야 하는 내부적 행위로 규정되어 있어 행정소송의 대상으로서의 처분성을 인정하기가 어려워 소송에서 전면적으로 다루어지기 어려웠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군사기지법상 규제의 법적성질이나 협의절차 및 조건부 동의의 법적성질에 관한 문제는 국민에게 부과된 중대하고도 광범위한 규제의 내용과 한계를 정하는 출발점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한계를 일탈한 행정작용에 대한 국민의 구제수단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치밀하고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군사기지법은 관할부대장 등의 협의의견으로서 조건부 동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 안에서 토지 이용행위 등을 하기 위해 허가 등 처분을 신청하는 사람에 대하여 일정한 시설을 설치하거나 물자ㆍ장비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허가 등 처분에 동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관할부대장 등의 조건부 동의가 국민의 권리행사를 제약하고 중대한 의무를 부과하는 실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법에서 그 요건과 한계를 제대로 규율하고 있지 아니한바, 이 글에서는 조건부 동의와 관련한 법규정의 미비점을 살펴 입법적 개선방안을 중점으로 다루어보고자 하며, 이를 위한 전제로서 군사기지법상 규제의 법적성질, 협의절차 및 조건부 동의의 법적성질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해 보고 적절한 해석론을 제시해 보도록 할 것이다.

      •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과 영어 쓰기 능력에서 미치는 영향

        성은경,김보라,조정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활동이 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영어 쓰기 능력(유창성과 정확성)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집단 학습은 발화의 기회를 더 가질 수 있어서 자신과 동료 의 학습 효과를 가장 최대화하려는 학습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 동질 집단으로 밝혀진 세 학급을 선정하여서 10 주 동안 영어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헙집단에서는 학생들 을 소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 구성원에게 개별 역할을 부여하였다. 개별 역할은 artist, writer, spelling checker, punctuation checker 로 구성하였다. 비교집단 1 에서는 집단을 나누 지 않고, 개인 활동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 에서는 소집단으로 나누어서 수업을 하되 개별 역할은 부여하지 않았다. 각기 다른 수업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 미도와 자신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과 사후에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 전과 사후에 영어 쓰기능력 평가지로 학습자들의 쓰기 정확성과 유창성의 향상을 살펴 보았다. 사전과 사후의 흥미도를 비교한 결과, 세 집단 중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변화를 보였다(p<.01). 세 집단 간 사후 흥미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개인 활동을 한 집단보다는 소집단 또는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 이 흥미도가 높아졌다. 자신감 면에서도 세 집단 중 실험집단만 사전과 사후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05). 세 집단 간 사후 자신감을 비교하였을 때, 흥미도 결과와 마찬가지로 개인 활동보다는 소집단 또는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의 자신감이 훨씬 더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에 서 소집단 활동이 흥미롭다고 생각하고 더 자주 하고 싶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소 집단 간의 수준 차이나 한 소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의 수준 차이로 인한 어려움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영어 쓰기 능력 평가지를 통해서 나타난 유창성과 정확성을 분석한 결 과, 유창성에서는 세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큰 차이를 보였다(세 집단 모두 p<.01). 정확성 면에서는 소집단 활동과 역할부여 소집단 활동을 한 학생들이 사전과 사후에 유 의미한 변화를 보였다(두 집단 모두 p<.01). 이러한 결과는 명확한 역할을 부여한 소집단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인 면과 영어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학습자의 학습 성향과 학습 능력을 고려한 집단 구성과 역할 부여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어 역행동화와 순행동화에 대한 인지적 보상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성은경,김영은,이수연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9 언어학 Vol.0 No.84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native Korean and Mandarin Chinese listeners learning Korean show similar perceptual compensation patterns involving two Korean assimilation processes (i.e.,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effect of assimilation direction (i.e., regressive and progressive assimilations) and the effect of sentential context on perceptual compensation. To these ends, twenty-one Korean listeners and twenty Mandarin Chinese listeners with a high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participated in the discrimination task involving compound words and sentence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answer whether a priming target token and the first syllable of a word were the same or different.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360 target tokens and words including target tokens (e.g., yeo[n] and yeo[l].lak ‘contact’ for regressive lateralization; [n]al and seol.[l]al ‘New Year's Day’ for progressive lateralization). The participants also listened to 200 target tokens and sentences containing target tokens (e.g., ji[p] and geu.neun ji[m].mun.eul dal.at.tta ‘He hung the door of his house’ for regressive nasalization; [l]yeok and geu.neun neung.[n]yeo.gi joh.at.tta ‘He had a good ability’ for progressive nasalization). In the results, the Korean listeners revealed a sensitivity to context in both regressive and progressive assimilations involving words and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listeners were not sensitive to context. In addition, the L2 advanced learners were not able to use semantic context in sentences when perceiving assimilated speech. The effect of L1 syllable structure seemed to strongly affect L2 percep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native Korean listeners were more sensitive to phonetic differences of coda consonants with the regressive assimilation than with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