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적엽 및 제협처리가 콩의 동화물질 전류에 미치는 영향

        성락춘,박지희 한국작물학회 199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8 No.5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처리에 의한 엽과 종실의 건물중, 가용성 당, 전분, 단백질 및 기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의 하부 엽 건물중이 가장 높았고 상부 종실 건물중은 가장 낮았다. 2. 가용성 당합량은 처리간 엽과 종실에서 차이가 없었다. 3. 전분함량은 상엽하협제거의 하부 여에서 가장 높았다. 4. 단백질함량은 하부 엽이 상부 엽보다 높았는데 종실에서는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가장 낮았다. 5. 기름합량은 하엽상협제거의 상부 엽과 하부 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6. 콩 생식생장기의 장거리 전류에 있어서 동화물질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며,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일어나지만 엽에서의 재이동은 약했다.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changes in dry weight and on the contents of soluble sugar, starch, protein and oil in leaves and seeds of soybean [Glycine max(L.) Merr.] cultivar ‘Hwangkeumkong’ were measured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in 1992. The upper 40% and lower 60% of leaves and pods were subjected to treatments at the growth stage of beginning pod(R3). Upper leaf-lower pod removal showed the highest leaf and the lowest seed dry weights. Soluble sugar content was no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leaves and seeds. The highest starch content was found in leaves of upper leaf-lower pod removal.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lower leaves than upper leaves and the lowest in seeds of lower leaf-upper pod removal which had the highest oil content in leaves and seeds. These results apparently indicated that photoassimilates were mobilized from upper leaves to lower seeds, and protein sources were moved from lower to upper parts but weak in remobilization from leaves for the long distance translocation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period.

      • KCI등재

        적엽 및 제협처리가 콩의 건물축적에 미치는 영향

        성락춘,박지희 한국작물학회 199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8 No.4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 처리에 의한 엽수와 엽건물중, 종실부와 종실건물중, 그리고 협과 경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적소실험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로 식물체 하부의 엽수와 엽건물중이 증가되었다. 2. 종실부와 종실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로 감소되었다. 3. 상엽하협제거는 하부의 경건물중을 증가시켰으나 상부의 협건물종은 감소시켰다. 4. 상엽하협제거에서 엽/종실 비율은 3.53로 가장 높았고 수수지수는 27%로 가장 낮았다. 5. 하엽상협제거는 상엽하협제거보다 동화\ulcorner질의 전류량이 많았다. Effects of leaf and pod removal on changes in leaf and seed number, and leaf, seed, pod and stem dry weight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cultivar ‘Hwangkeumkong’ were measured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in 1992. The upper 40% and lower 60% of leaves and pods were subjected to treatments at the growth stage of beginning pod(R3). Leaf number and dry weight of lower part were increased by upper leaf-lower pod removal, but seed number and dry weight were decreased. Upper leaf-lower pod removal increased lower stem dry weight and decreased upper pod dry weight. Leaf-seed ratio of the upper leaf-lower pod removal was the highest with 3.54 and harvest index was the lowest with 27% among the treatments. Lower leaf-upper pod removal showed that more assimilates from upper leaves were translocated to lower seeds than from lower leaves to upper seeds in upper leaf-lower pod removal treatment.

      • KCI등재

        콩의 엽-협 비율 조절에 따른 탄소와 질소의 전류

        成樂春,姜炳華,朴世浚 韓國作物學會 199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9 No.6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50%와 하부 50%로 구분하여 엽제거 및 엽-협제거처리 하여 줄기, 엽 및 종실건물중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1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 농장에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 모두 건물축적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처리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평균 줄기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로 높았고 상엽제거와 하엽제거는 낮았다. 3. 엽건물중은 처리중에서 상부엽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4. 종실수와 종실건물중은 엽 및 엽-협제거로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와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높았다. 5. 가용성 당과 전분함량도 처리중에서 하부종실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단백질함량은 상엽제거의 상부와 하엽제거의 하부에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의 상부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Effects of translocation on seed yield and carbon-nitrogen compounds at five leaf-pod ratios of soybean [Glycine max. (L.)Merr. ] culti bars, 'Paldalkong', 'Baekunkong', and 'Danyeobkong' were measured. The upper 50 and lower 50% of leaves and pods were subjected to treatments at growth stage R3. Three soybean cultivars showed the similar trends on changes in dry matter accumulation and on the contents of soluble sugar, starch and protein in seeds among the treatments. Mean stem dry weight was increased with upper leaf-lower pod and lower leaf-upper pod removals, and decreased with upper leaf and lower leaf removals. Leaf dry weight was appeared higher at the upper leaves among the treatments. Seed numbers and dry weights were decreased with leaf and leaf-pod removals, and were higher in lower part of the plants. Soluble sugar and starch contents in seeds were also showed slightly higher in lower part. Protein content of seeds was decreased in upper part with upper leaf removal and in lower part with lower leaf removal, however, that of the upper seeds was the highest with lower leaf remov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sumed that carbon and nitrogen compounds were translocated opposite directions and protein source was weak in remobilization for the long distance transport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period of soybean pla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온도, Polyethylene Glycol 및 황사처리가 자운영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成樂春,朴根龍,趙載英 韓國作物學會 1990 한국작물학회지 Vol.35 No.3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Line A) 종자의 발아와 묘신장을 네 온도(15, 25, 30 및 35℃ ), 세 polyethylene glycol(PGE) 10,000(MW) 용액(0, 20 및 25g/100mg H2O ), 그리고 다섯수준의 황산(중량기준 conc. H2 SO4 : Seeds; 0, 1:1 10분, 1:1 20분 1:1.5 10분 및 1:1.5 20분 침지)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운영의 발아율은 15℃ 에서 가장 높았으나 묘장은 25℃ 에서 가장 길었다. 발아율과 묘장 모두 PEG 무처리에서 25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되었다. 15℃ 의 PEG 20과 25에서는 다른 온도보다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황산처리효과에서는 발아율과 묘장 모두 황산무처리와 같거나 감소되었다. 그러나 PEG 무처리의 경우에는 황산:종자비율 1:1.5에서 10분간 침지시에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로는 종자의 발아는 수분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hinese milkyetch (Astragalus sinicus L. Line A) seeds were measured at four temperatures (15. 25. 30, and 35~circC ), three polyethylene glycol (PEG) 10.000 (MW) solutions (0, 20 and 25 g/100m~ell H2 O), and five sulfuric acid treatments (conc, H2 SO4 : Seeds/weight base: 0, 1:1 10min.. 1:1 20min.. 1:1.5 10min. and 1:1.5 20min, immersion), Adjustments of PEG 10.000 solutions were based on water potentials of 0.0, -0,5 and -0.8 ㎫ at room temperature. Observations were taken at 7 days for each treatment combinations. Germination percent of chinese mikvetch seeds was the highest at 15~circC and seeding length was the longest at 25~circC . Both germination percent and seedling length were rapidly decreased as PEG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 to 25g/100m~ell H2 O.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 was found at PEG 20 and 25 of 15~circC among those of four temperatures, Sulfuric acid treatments showed little effect on germination percent and seedling length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However. in the case of PEG 0, greater germination perccent was obtained at the treatment of 1:1.5 for 10 minutes immersion, The result of this study-indicated that germination of chinese milkvetch seeds was affected mostly by moisture stress conditions.

      • KCI등재

        자운영 수집종의 생육 및 사료생산특성

        成樂春,朴根龍 한국작물학회 1991 한국작물학회지 Vol.36 No.1

        본 시험은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의 월동과 사료생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남양주 군에 있는 고려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되었다. 수집종 논산, 임실, 장흥, 청남, 중산 및 도입종 PI 241587을 노지와 vinyl mulching 처리조건에서 월동시켜 재배 시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Vinyl mulching 처리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자운영 품종들의 평균 월동률은 노지조건에서 88%였다. 생초중과 건초중은 5월 6 일과 5월 21일 예취 모두 논산과 임실이 높았다. 노지조건에서 자운영 품종들의 10a당 평균 생초수량은 5월 6일 예취는 1,583 kg이었고 5월 21 일에는 4,017kg이었다. 건초의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5월 6 일 예취는 21.3%였고, 5월 21일 예취에서는 19.2%였다. 그러나 5월 6일 예취된 건초의 평균 조섬유 함량이 5월 21일 예취에 비하여 낮았다.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winter hardiness and forage productivity of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varieties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in Kyunggi province. Collected variety Nonsan, Imsil, Jangheung, Chungnam, Joongsan and introduced PI241587 were tested to untreated control and vinyl mulching conditions during winter season. Effect of vinyl mulching treatment was foun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experiment. Winter survival of six Chinese milkvetch varieties at the untreated control was average 88%. Variety Nonsan and Imsil showed higher fresh and dry weights than other varieties both on May 6 and 21 harvest. Average fresh weight per l0a of six varieties at the untreated control was 1,583kg on May 6 and 4,017kg on May 21 harvest. Crude protein content of dry matter of the varieties was average 21.3% on May 6 and 19.2% on May 21 harvest. However, average crude fiber content of the dry matter on May 6 was lower than that of May 21 harvest.

      • KCI등재

        온도ㆍ토양수분 포텐셜 및 삼투처리가 옥수수와 대두의 발아 및 묘신장에 미치는 영향

        성락춘,해리 씨 마이너,박근용,Seong, Rak-Chun,Minor, Harry C.,Park, Keun-Yong 한국작물학회 1986 한국작물학회지 Vol.31 No.1

        옥수수품종 (Dekalb XL 72B)과 대두품종 ( Willi -ams)의 발아와 묘신장을 두 온도, 세 토양수분 포텐셜 및 네 polyethylene glycol(PEG) 8,000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20처리종자를 0.2% Thiram에 처리하여 가비중 1.20으로 압축된 살균사양토에 2.0cm 깊이로 파종 분할구배치법 사반복으로 실시하였다. 1. PEG로 한 삼투처리는 고온에서나 저토양수분포텐셜 조건에서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대두는 옥수수보다 높은 묘수분함량을 보였고 두 작물 모두 토양수분 포텐셜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가 증가되었다. 3. 옥수수의 묘장이 35$^{\circ}C$에서는 대두보다 길었으나 15$^{\circ}C$에서는 짧았다. 4. 옥수수의 건물중은 35$^{\circ}C$에서 감소되었고 대두의 건물중은 토양수분 포텐셜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