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딧물과 Maculolachnus paiki Seo, 1994의 유시형 기재

        서홍렬 ( Hong Yul Seo ),김기경 ( Ki Gyoung Kim ),전미정 ( Mi Jeong Jeon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4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8 No.1

        The genus Maculolachnus Gaumont, 1920 (Sternorrhyncha: Aphididae) has been known poorly in Korea. The alate of Maculolachnus paiki Seo, 1994 i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for more taxonomic information. The alate of Maculolachnus paiki Seo, 1994 is similar to Maculolachnus submacula (Walker, 1848), but differs from latter by just 3-4 of secondary rhinaria on antennal segment III. A key to known the alate of the genus Maculolachnus from Korean peninsula is given.

      • KCI등재

        충남 및 전북지역의 왕우렁이 생태 연구

        서홍렬 ( Hong Yul Seo ),백채훈 ( Chae Hoon Paik ),최만영 ( Man Young Choi ),이건휘 ( Geon Hwi Lee ),이경보 ( Kyeong Bo Lee ),노태환 ( Tae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는 1983년에 식용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도입된 외래종으로서, 농업에서 벼의 직파 논의 잠재적인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충화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생육특성과 충남 및 전북지역에서의 월동생태를 구명하였고, 또한 농수로에서 수생식물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연수로에서 조사결과를 보면 왕우렁이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수로에서는 왕우렁이가 서식하지 않을 경우에 많았던 검정말, 붕어마름,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의 수생식물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폐쇄형 인공수조실험에서는 왕우렁이가 수생식물들을 먹이로 섭식하면서 이들 식물들을 제거하고, 수질 지표인 EC, COD, T-N 및 T-P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lden apple snail-Pomacea canaliculata was an alien species and introduced into Korea as table use in 1983. This species is possible pest in direct seeded rice paddy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is exotic snail on the macrophytes and the water quality in water canal. Also, the basic life cycle of this species and the overwintering ecology in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were elucidated. A survey of natural water canal in Korea showed that high densities of the snail were associated with absences of macrophytes-Hydrilla verticillata, Ceratophyllum demersum, Spirodela polyrhiza and Lemna perpusilla. Experiments in water tank also demonstrated that the golden apple snail can cause the loss of macrophytes, and increase the EC(Electric conductivity), COD(Chemical oxygen demand), T-N(Total nitrogen) and T-P(Total phosphorus) in water.

      • 제5분과 : 환경관리 및 도시녹지 ; 자생 토양 절지동물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 등급 분석 연구

        서홍렬 ( Hong Yul Seo ),김기경 ( Ki Gyoung Kim ),박선재 ( Sun Jae Park ),안능호 ( Neung Ho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토양 서식 절지동물은 토양 생물상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개체수가 풍부하며, 토양의 형성이나 변화에 대한 역할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동물을 대상으로, 분류군별로 토양에서의 역할 정도에 따라 고유의 지수를 할당하고, 이 지수들을 이용하여 토양의 상태 판정에 활용하는 기법(QBS, Biological Quality of Soil)을 개발하여 토양생태계 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Parisi, 2005) 우리나라에서도 이 기법을 도입하여 토양의 질을 판정하는 시도가 있었다. QBS에서는 토양환경에 적응한 절지동물들의 적응 수준을 평가하고, 토양에서의 역할과 적응 정도에 따라 분류군별로 목 수준에서 생태·형태학적 지수(EMI, Eco-morphologic index)를 부여하기 때문에, 토양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종수준에서 동정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면 토양에 서식하는 미소절지동물들은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형태학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데, 체색이나 시각기구의 감소나퇴화, 부속지(털, 더듬이, 다리)들이 감소하거나 빽빽한 형태로 된 유선형의 체형, 비행능력이 퇴화하거나 없고 도약이나 달리는 것의 적응, 그리고 큐티클 층이 얇고 바깥쪽 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이 부족해서 수분보유능이 감소한것 등이다. QBS에서는 이런 토양환경과 관련된 특징들의 존재 유무만 집중하여 조사하고 토양에 사는 절지동물을 복잡하고 까다롭게 종 수준에서 동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토양서식 절지동물 동정에 비전문가인 사람들도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사지역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QBS 값을 구하는 순서는 이탈리아에서 사용된것과 동일하게 먼저 대상지역의 토양을 채취하고 미소절지 동물을 분리한 후 주로 목 수준에서 동정하고 최종적으로 분류군과 맞는 EMI를 계산하여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라, 토양 심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u-edaphic)의 지수는 20, 중층서식 분류군(hemi-edaphic)은 적응 정도에 따라 보통 5∼20, 표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pi-edaphic)은 1을 부여하였다. 낫발이목이나 좀붙이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유사한 종들로 구성된 분류군들은 단일 EMI를 갖는데, 이들은 심충에 서식하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종들은 모두 20을 갖게 된다. 그렇지만 톡토기목이나 딱정벌레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다른 종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종의 특성에 따라 다른 EMI를 갖게 된다. 만약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EMI를 갖는 생태·형태형이 존재하면 최종 점수는 높은 EMI를 갖는 분류군으로 결정하였다. 즉 최고로 토양에 잘 적응한 분류군이 그 전체 분류군의 대표적인 EMI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종 QBS 점수는 모든 조사된 분류군들의 EMI를 합산하여 산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4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절지동물상을 조사하고 한국형 QBS시스템을 적용하여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 2012). 제주도 내 토양 무척추동믈 채집은 4곳(St.1∼4)에서 진행되었다. St.1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로서 한라산 자락의 해발 664m지역으로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어나무, 조릿대가 우점하였다. St.2는 제주도 제주시 오등동 지역으로 한라생태숲 내의 관리사가 있는 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부 존재 했던 곳이며 서어나무, 쥐똥나무, 억새가 우점하였다. St.3는 제주시 월평동 지역으로 한라산 국립공원의 관음사 인근지역이다. 숲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St.4는 조사지역 중 표고가 가장 낮은 103m였고, 곶자왈이 잘 보존된 동백동산 내의 폐원된 밀감과원 지역으로 종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감귤나무 등이 많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에서 토양 절지동물의 채집과 분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지점에 토양 샘플러(10×10×30㎝, 스테인레스 소재)를 설치하고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깊이 10㎝로 박은 다음에 토양 샘플러를 조심스럽게 회수하고 안에 있는 1,000㎖ 분량의 토양을 지퍼백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가급적 빨리 운반한 후 Tullgren 장치에 넣어 토양 절지동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토양동물은 75% 에타놀에 액침표본으로 보관 한 후 동정하였다. 동정은 토양동물학(최, 1996)과 일본산 토양동물도감(Aoki, 1996)의 검색표를 이용하여 QBS 분석에 필요한 목 또는 강 수준까지 진행하였다. 조사지점의 QBS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1에서는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1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2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5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3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2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4에서는 좀붙이목, 톡토기목, 집게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불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등각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92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조사된 4개 지역의 토양 상태는 QBS가 나눈 토양의 7개 등급 중 전부 2등급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사된 지역들이 생태계가 잘 보존된 한라산 국립공원 인근지역이거나 한라생태숲 지역, 곶자왈 지역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QBS가 한국의 토양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 국내 미기록인 흡혈성 산거머리 Haemadipsa rjukjuana Oka, 1910 보고

        서홍렬 ( Hong Yul Seo ),은예 ( Ye Eun ),박태서 ( Tae Seo Park ),김기경 ( Ki Gyoung Kim ),원소현 ( So Hyun Won ),김백준 ( Baek Jun Kim ),김혜원 ( Hye Won Kim ),채준석 ( Joon Seok Chae ),( Takafumi Nakano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3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7 No.1

        The terrestrial leeches from the peripheral island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as Haemadipsa rjukjuana Oka, 1910. The arhynchobdellid family Haemadipsidae and H. rjukjuana are newly added into the Korean leech fauna. This species is blood-feeding leech that attacks birds and medium or large sized mammals primarily, including human. The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subunit I (COI), and the additional biology for this species are presented. This is the first study of terrestrial blood-feeding leeches in Korea.

      • KCI등재

        A New Species of the Genus Euseius (Acari: Phytoseiidae) from Ulleungdo Island in Korea

        김아영,서홍렬,류면옥,Kim, A Young,Seo, Hong Yul,Ryu, Myon 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1

        신종인 울릉이리응애(Euseius ulleungensis) (신칭)를 기재한다. 이 신종은 울릉도 섬쑥부쟁이에서 채집되었다. A new species, Euseius ulleungensis sp. nov. is described from Korea. The new species was collected on Aster glehni Fr. Schm. at Jeodong, Ulleung-up, Ulleung-gun, Gyeongsangbuk-do.

      • KCI등재

        Taxonomic Review of the Subfamily Typhlodrominae (Acari: Phytoseiidae) with Generic Recombinations and On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류면옥,서홍렬,Ryu, Myon-Ok,Seo, Hong-Yul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는 한국산 바늘이리응애아과 (Typhlodrominae)에 대한 종과 속의 검색표와 각 종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Typhlodromus coryli Wu and Lan, 1991 (생강이리응애)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바늘이리응애아과에는 바늘이리응애속 (Kuzinellus Wainstein), 느릅이리응애속 (Paraseiulus Muma), 서양이리응애속 (Galendromus Muma), 그리고 대중이리응애속 (Typhlodromus Scheuten) 등 4 속이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list and key to the 8 species of the Subfamily Typhlodrominae from Korea including a newly recorded species, Typhlodromus coryli Wu and Lan, 1991. This subfamily comprises four genera: Kuzinellus Wainstein, Paraseiulus Muma, Galendromus Muma, and Typhlodromus Scheuten.

      • KCI등재

        쌀 생산조정 휴경논에 발생하는 노린재 종류와 기주식물

        박채훈,최만영,서홍렬,이건휘,김재덕,Pai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Lee, Geon-Hwi,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호남지방의 쌀 생산조정지를 중심으로 노린재류의 발생과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노린재류는 총 8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중산간지인 무안에서 시골가시허리노린재의 발생이 가장 많았고, 발생최성기는 7 월이었다. 평야지인 완주는 2004 년에는 전반적으로 노린재류의 발생량이 적었고, 2005 년에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발생최성기는 7월과 8월이었다. 쌀 생산조정지에서 인근 벼 포장으로 이동하는 시기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등 5종은 8월,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등 3종은 9월이었다. 또한, 쌀 생산조정지에서 잡초를 섭식하는 노린재 종류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북쪽비 단노린재, 더듬이긴노린재, 빨강촉각장님노린재, 메추리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풀색노린재였다. Stink bug species and host plants occurred in fallow lands for rice product regulation were studied in Honam area from 2004 to 2005. A total of 26 bug species in 8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fallow lands. Population density of Cletus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was higher in fallow lands close to mountain area in Muan. Population density of stink bug species occurred in plain area of Wanju were significantly low in 2004 and population density of C.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August in fallow lands in 2005. Five species of stink bug including C. punctiger immigrated from fallow lands to rice fields in August, and three other species including Cletus schmidti in September. Eight stink bug species which were observed to feed on weeds in fallow lands were C. punctiger, C. schmidti, Eurydema gebleri, Pachygrontha antennata, Trigonotylus caelestialium, Aelia fieberi, Eysarcoris aeneus, and Nezara antennata.

      • KCI등재

        Notes on the Genus Cosmophorus Ratzeburg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안태호,김효중,서홍렬,김기경,구덕서,An, Tae-Ho,Kim, Hyojoong,Seo, Hong-Yul,Kim, Ki-Gyoung,Ku, Deok-Se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큰턱고치벌속(벌목, 고치벌과)을 보고한다. 수원큰턱나무좀고치벌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1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Cosmophorus (Hymenoptera: Braconidae) are reported in this study. Among them,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is new to Korea.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are included.

      • KCI등재

        벼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 및 산란반응

        백채훈,최만영,서홍렬,김재덕,Pai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휴경지 인근 벼에 발생하여 반점미를 유발하는 등 미질에 영향을 주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알의 부화율은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0.6/88.0, 91.7/96.3 및 96.4/96.2%이며, 평균발육기간은 각각 16.4/18.4, 9.4/10.2 및 6.4/7.3일이었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30^{\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및 5령이 각각 평균 2.1/2.0, 3.5/4.0, 3.3/5.6, 3.2/4.8 및 5.8/6.9일이었으며, 시골가시허리노린재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에 비하여 약충의 발육기간이 짧았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의 산란전기간은 $25^{\circ}C$에서 8.1일, 성충수명은 암컷이 120.0일, 수컷이 117.3일로 약 4개월 정도였고,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수명이 약간 길었다. 성충 한 마리의 총 산란수는 245.5개였고, 일일 산란수는 평균 2.2개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는 산란기간 중 여러 번 교미하며, 교미한 후 90일이 경과한 뒤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수컷과 같이 넣어둔 경우에는 92.1%였으나, 30일 동안 수컷을 넣어주지 않은 경우에는 9.6%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두 종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The two species of rice bugs causing pecky rice, Cletus punctiger and Cletus schmidti are often observed coexisting in the rice fields of nearby fallow land. Direct feeding damage to rice by C. punctiger and C. schmidti can lead to a reduction in grain quality and quantity.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 punctiger and C. schmidti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30^{\circ}C$, 6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Egg hatchability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80.6/88.0, 91.7/96.3, 96.4/96.2%,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16.4/18.4, 9.4/10.2 and 6.4/7.3 days, respectively. Mean developmental periods of 1 st, 2nd, 3rd, 4th and 5th nymph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30^{\circ}C$ were 2.1/2.0, 3.5/4.0, 3.3/5.6, 3.2/4.8 and 5.8/6.9 days, respectively. Oviposition began 8.1 days after emergence at $25^{\circ}C$, and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ere 120.0 and 117.3 days, respectively. Total number of eggs through the life of female were 245.5 laying 2.2 eggs a day in average at $25^{\circ}C$.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 and nymphs of C. punctiger were relatively shorter than those of C. schmidti. Availability of male had affected the egg hatchability greatly that laid at 30th day after 60 days period of oviposition in the presence of adult male of C. punctiger. The fertile eggs laid by the female together with male was 92.1% but those without male was only 9.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