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립선에 발생한 전이성 골육종 - 증례 보고 -

        서형연,이재혁,박창수,박진균,정성택 대한병리학회 2009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3 No.5

        The most common site for the metastasis of osteosarcoma is the lung, and other sites of metastases include the bone, lymph node, pleura and liver. Although unusual extrapulmonary metastases have been report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therapeutic results for the primary lesions, they are exceptionally rar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prostatic metastasis of an osteosarcoma of the proximal tibia, and this developed seven years after successful resection, and four years after resection of a pulmonary metastasis. Radical prostatectomy was performed,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demonstrated metastatic osteosarco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prostatic metastasis of osteosarcoma in the medical literature.

      • KCI등재

        니코틴 자극에 의한 추간판 세포의 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서형연,김도연,윤주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vitro. Objectiv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eneration of intervertebral disc cells, and low back pain induced bydegeneration of intervertebral disc cells and increases in use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via nicotine stimul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moking is a leading cause of degeneration of intervertebral disc cells and low back pain. Accordingto the existing literature, nicotine, one of the main ingredients in cigarettes, causes the degeneration of intervertebral disk cells includingdecrease of glycoprotein through generation of carboxy-hemoglobin, vasoconstriction, and disability of fibrinolysis and changes ofmetabolism of nucleus pulposus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nnulus fibrosus of intervertebral disc and knee joint cartilage were collected from pigs; these cells wereacquired by gradual enzyme decomposition. Using Trypan blue, concentration and survival rate of cells were examined; cells wereinserted on alginate beads for tertiary cultivation. Nicotine was then applied at 0, 50, 100, 200 and 300 nM, respectively, and the sampleswere cultivated for three, six and nine days, respectively. After collecting culture fluid, it was measured for interleukin(IL)-1β, IL-6 andIL-8 with the ELISA Test. DNA of cells used for cultivation was quantitated and the amount of the resulting proinflammatory mediatorwas normalized.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same study on cartilage of porcine knee joints. Results: For changes of the inflammatory mediator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nicotine, in nicotine stimulation with low concentrationof 50 nM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while transient increases of inflammatory mediator showed in nicotinestimulation with concentrations of 100, 200 nM, respectively.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crease of IL-1β observed in all nicotinestimulation groups; these were the same results in porcine cartilage study. The level of IL-6 in 200, 300 nM nicotine concentrationshowed significant increases, respectively. The level of IL-8 in high dose nicotine stimulation groups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sof DNA on the sixth day. And in porcine cartilage study group,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200, 300 nM, but the absolute valuewas lower than that of annulus fibrous cells group. Conclusion: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L-6 and IL-8 increased as the result of tertiary cultivation of annulus fibrosus cells ofporcine intervertebral disk and nicotine stimul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cells of the disc annulus are more sensitive than articularchondrocytes to nicotine stimulation. This may be the focus of future long-term studies effects of nicotine other inflammatory cytokinesKey Words: Intervertebral disc, Annulus fibrosus, Proinflammatory mediator, Nicotine 연구 계획: 니코틴 자극에 의한 추간판 세포내 proinflammatory mediators 측정을 통한 실험 연구목적: 니코틴 자극에 의해 추간판 세포의 퇴행을 유도하고, 요통의 원인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proinflammatory mediator들이 증가함을 관찰함으로써 추간판 퇴행과 요통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흡연은 추간판 퇴행과 요통의 원인중의 하나이다. 흡연의 주된 화학물인 니코틴은 carboxy-hemoglbin의 생성, 혈관수축, 섬유소 용해기전의 장애, 수핵세포의 대사변화 등의 기전을 통해 추간판의 단백다당을 감소시키는 등 추간판을 퇴행시킴을 밝힌 연구들이 있다. 대상 및 방법: 돼지 추간판의 섬유륜과 슬관절 연골을 채취하였고, pronase와 collagenase P를 이용한 순차적 효소분해를 통해 추간판 섬유륜 세포와 관절 연골세포를 획득하였다. Trypan blue를 이용하여 세포농도와 생존율을 검사한 후 알지네이트비드에 세포를 심어 삼차 배양하였으며, 니코틴을 각각0, 50, 100, 200, 300 nM을 처리하여 3, 6, 9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아 ELISA 검사법으로 interleukin(IL)-1β, IL-6, IL-8을 측정하였고, 배양에 사용된 세포의 DNA를 정량하여, 생성된 proinflammatory mediator의 양을 정상화하였다. 돼지 슬관절 연골에서의 같은 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니코틴 농도에 따른 inflammatory mediator 변화를 살펴보면, DNA치는 대조군과 저농도 50 nM 니코틴 자극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100, 200 nM의 니코틴 자극에서 일시적인 증가만이 관찰되었다. IL-1β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관절연골세포 실험군에서도 동일하였다. IL-6는 대조군와 저농도 자극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200, 300 nM 자극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IL-8은 100, 200, 300 nM 니코틴 자극군에서 6일째에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관절연골세포를 이용한 실험군에서도, 200, 300 nM 자극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그 절대값은 섬유륜세포 실험군에 비해 낮았다. 결론: 돼지 추간판의 섬유륜 세포를 삼차배양하여 니코틴으로 자극한 결과, IL-6, IL-8 등 inflammatory mediator 등이 관절연골세포 시험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추간판 섬유륜 세포가 니코틴 자극에 대하여 관절연골세포보다 더 민감한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cytokine에 대한 실험과 니코틴의 장기 효과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추간판, 섬유륜, proinflammatory mediator, 니코틴약칭 제목: 니코틴 자극과 섬유륜내 염증 매개체의 생성

      • KCI등재

        진행성 하지 마비를 동반한 경추부 후관절 낭종 -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

        서형연,정재윤,박기헌,신영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o report a patient with a cervical facet cyst causing progressive paraplegia, and to review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outcomes of a cervical facetal cys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xtradural intraspinal synovial cysts of the cervical spine are quite rare. They typically occur in the cervical region at the C1-C2 junction or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facet joints in the lower cervical spine, and show similar clinical features to the intervertebral disc protru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article reports a case of a male patient, 64 years old, who presented with a 2 day history of numbness below the nipple and progressive paraplegia. A physical examination at admission revealed a wheelchair ambulatory state due to a motor deficit (motor grade good) below both hip flexor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cervical spine showed an extradural lesion with a left lateral extension between C7 and T1, causing spinal cord compression. The patient underwent a hemi-laminectomy of C7 and complete cyst excision through the posterior approach. His motor power improved to almost normal. Results: The patient showed good recovery of myelopathy, and he was able to walk with a cane 3 months after surgery. A 1 year followup did not reveal any recurrence or new neurological conditions. Conclusion: Cervical facet cysts are rare lesions that are occasionally signaled by progressive paraplegia but can be treated successfully by a surgical excision. Key Word: Facet cyst, Cervical spine, Progressive paraplegia 연구 계획: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목적: 진행성 하지 마비를 동반한 경추부 후관절 낭종을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면서 경추부 후관절 낭종의 임상적 특징, 치료 및 결과를 문헌고찰을 통해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부 후관절 낭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추간판 탈출증과 유사한 임상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 1-2 경추간 또는 하부 경추의후관절 근접부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대상 및 방법: 64세 남자 환자가 내원 2일 전부터 발생한 진행성 하지마비로 인한 보행장애 및 가슴 하방의 감각 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상 휠체어 보행 상태로 양측 고관절 굴곡근 이하의 하지 근력이 4 등급으로 감소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좌측 제 7 경추-1 흉추 후관절 전방에 척수를 압박하는 둥근 종물이 관찰되었다. 제 7 경추 추궁판 부분 절제술 및 낭종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근력이 회복되었다. 결과: 수술 후 3개월 외래 추시상 지팡이 짚고 보행 가능할 정도로 근력이 회복되었으며, 1년째 추시 관찰 상 재발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경추의 후관절 낭종은 드문 질환으로 진행성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나, 수술적 절제로 치료 가능한 질환이다. 색인단어: 후관절 낭종, 경추, 진행성 신경마비약칭제목: 하지 마비를 동반한 후관절 낭종

      • KCI등재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부분 마취하와 전신 마취하에 시행한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의 비교

        서형연,임홍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icrodisc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in comparison with general anesthesi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o comparative studies regarding the outcomes of microdiscectomy under local and general anesthesia could be found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0 and June 2004, 88 patients who underwent microdisc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n=50,local anesthesia group) or under general anesthesia (n=38, general anesthesia group) were select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with a follow up period more than 3 years. The operation time and duration of hospital stay were document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ere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ymptom relief. The patient satisfa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acNab’s criteria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Between both groups there is no significant operation time difference. However, the average hospital stay duration in the general anesthesia group was 7.3 days, while it was 4.7 days in the local anesthesia group (P<0.05). The VAS and ODI scores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Thirty-two cases (84.2%) of the general anesthesia group and 40 cases (80%) of the local anesthesia group showed satisfied results by the MacNab’s criteria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ree patients in the general anesthesia group and 7 patients in the local anesthesia group needed a reoperation. Conclusions: A microdisc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shows faster recovery period. But it shows also a relative high revision rate. In patients with old age and underlying disease, local anesthesia can be used for the microdiscectomy selectively and careful exploration of the herniated disc is required.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부분 마취하에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군과 전신 마취하에 시행한 군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부분 마취하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의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에 있어서 부분 마취하와 전신 마취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4년 6월까지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을 받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8명의 환자를 선택한 다음 부분 마취하에 시행한 50명을 부분 마취군, 전신 마취하에 시행한 38명을 전신 마취군으로 구분하였다. 두 군간의 수술 시간 및 재원 기간을 비교하고 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와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점수를 증상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환자의 만족도는 MacNab’s criteria 및술 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수술 시간에 있어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 재원 기간은 부분 마취군에서 4.7일인 반면 전신 마취군에서 7.3일이었다 (P<0.05). VAS 점수 및 ODI 점수는 두 군 모두 호전되었으며 MacNab’s criteria에 의하면 전신 마취군에서는 32예 (84.2%), 부분 마취군에서는 40예 (80%)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두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전신 마취군에서는 3예(재발 2예, 혈종 1예), 부분 마취군에서는 7예(재발 5예, 혈종1예, 감염 1예)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부분 마취하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은 회복 기간이 빨랐으나 높은 재수술률을 보였다. 고령 및 기저 질환 동반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부분 마취하 현미경적 요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겠으며 탈출된 추간판 조직의 주의깊은 탐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에 미치는 경추증의 영향

        서형연,정재윤,김기형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ervical spondylosis on an acute cervical spinal cord inju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spondylosis and acute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for acute cervical injuries with spinal cord injury were evaluated. The mean age and follow-up period was 58 years and 2.2 years, respectively.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examining the causes of the injur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ervical spondylosis. This study compared the degrees of postoperative neurological recovery with motor index score i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ervical spondylosis. Results: Cervical cord injuries were more prevalent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17 cases vs. 9 cases in the group under 60 years. Eleven (65%) and 6 (35%) cases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had sustained a high and low energy injury, respectively. In contrast,mostly high energy injuries (8 in 9 cases) were encountered in the group under 60 years of age. A low energy injury could cause a acute cervical cord injury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who also had cervical spondylosis. In those cases, previous cervical spondylosis might be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Conclusions: The cases with cervical spondylosis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tended to show incomplete cord injury and good postoperative neurological recovery when they had sustained cervical cord injuries. 연구계획: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과 경추증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적: 척수 손상이 동반된 급성 경추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을 분석하여, 손상의 원인 및 정도, 경추증의 유무, 손상의 종류, 수술의 방법, 치료 결과, 신경학적 회복의 정도 등을 조사하여 경추증이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과 경추증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척수손상이 동반된 급성 경추부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2년이었다. 남자가 19례, 여자가 6례, 평균 연령은 58세(17세-81세)이었다. 경추증의 유무에 따른 손상의 원인, 골절의 기전, 술전 및 최종추시에서의 근력평가지수 등을 조사하였고 신경학적 회복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60세 이하가 9명, 60세 이상의 환자가 17명으로 60세 이상군에서 척수 손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60세 이하 9명중 8명(89%)이 고에너지 손상이었던 것에 반해, 60세 이상 17명중에서는 고에너지 손상이 11례(65%), 저에너지 손상이 6례(35%)로 저에너지 손상에서도 척수 손상이 비교적 많이 동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에서는 기왕의 경추증이 동반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추증이 있는 예에서는 불완전 척수 손상이 많았으며, 수술후 신경학적 회복율이 다른 예에서보다 양호하였다. 결론: 6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도 경추부 손상시 급성 척수 손상이 많이 동반되고 있었으며, 이 경우에는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불완전 척수 손상이 많았다. 기왕의 경추증이 한 원인으로 조사되었고, 수술적 치료 후에 상대적으로 양호한 신경학적 회복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Need for Early Tracheostomy in Patients with Traumatic Cervical Cord Injury

        범재영,서형연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10 No.2

        Background: In patients who need sustained endotracheal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due to respiratory failure after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tracheostomy can be performed to reduce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riteria and timing of tracheostomy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accompanied by motor weakness. Methods: We reviewed 22 patients who underwent tracheostomy (study group) and 27 patients who did not (control group)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16. We assessed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ASIA) impairment scale score and investigated accompanying thoracic injury, paradoxical respiration, postoperative endotracheal intubation and other clinical parameters. The study group was also subdivided into the early tracheostomy group and late tracheostomy group depending on whether the tracheostomy was performed within or later than 7 days after surgery. Results: Twenty-two patients in the study group had a mean ASIA impairment scale score of 14.1 points, which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23.4 points. Paradoxical respiration was observed in 77% of the patients in the study group compared to 18% in the control group. Postoperative intubation was maintained in 68% in the study group; 32%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due to respiratory failure within 4 days after surgery and had a tracheostomy. In the control group, postoperative intubation was maintained in 22%, and all of them were weaned off intubation within 4 days after surgery.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hospitalization was 11.4 days for the early tracheostomy group, which was shorter than the late tracheostomy group’s 19.7 day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cervical spinal cord injury, tracheostomy may be needed when the motor grade of the ASIA scale is low, above the C4 segment is injured, or paradoxical respiration occurs after injuries. In addition, if endotracheal extubation is not feasible within 4 days after surgery, an early tracheostom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신경막종양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자기공명영상 소견

        정재윤,서형연,이재준,김현종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1

        Study Design: A restrosepctive study Objectives: We present the diverse imaging features of a spinal nerve sheath tumor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and treat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typical imaging findings of spinal nerve sheath tumors a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y can show diverse and unusual imaging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30 patients who had undergone MR imaging for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a spinal nerve sheath tumor from September 1989 to February 2008. All patients had undergone surgery for a spinal tumor that was confirmed by biops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1 months. The T1-, T2-weighted spine echo images and contrast material images were obtained in the sagittal plane. Axial images were obtained in any area of the spine where the sagittal images demonstrated abnormal findings. The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homogenicity, heterogenicity were evaluated in the T1-, T2-, and enhanced images Results: Twenty-four cases were neurilemmoma and 6 cases were neurofibromas. Different types of neurilemmomas included neurilemmomas with cystic changes (n=6), focal hemorrhage (n=5), extensive vertebral destruction (n=1), and giant neurilemmoma( n=1). The T1-weighted image showed low and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The T2-weighted image showed high-signal intensity except for one neurilemmoma. The Gd-DTPA enhanced image showed homogenous, heterogeneous, and rim enhancement except for one case of a neurilemmoma with cystic changes. Conclusions: Spinal nerve sheath tumors can show diverse and unusual imaging findings. An awareness of the uncommon presentations of these tumors is important for making a preoperative diagnosis and treatment. MRI is valuable in characterizing the soft tissue and bony anatomy in spinal neurilemmoma and neurofibroma.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척추에서 발생하는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은 전체 척추내 종양의 약 25~30%를 차지하는 양성종양 병변 이다. 이러한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의 전형적인 영상검사 소견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경초 종과 신경섬유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영상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8년까지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통한 척추관 내에 발생한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 종 진단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 3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남자가 17례, 여자가 13례였으며, 평균 나이는 41.9세(8-69)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3.1(4~102)개월 이었다. 전례에서 1.0 Tesla 또는 1.5 Tesla (GE medicine) 자기공명영상 기기를 이용하여 앙와위에서 spine surface coil을 적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30례중 24례에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신경섬유종이 6례 이었다. 신경초종 24례중 6례에서 낭종성 변 화, 5례에서 종양내 국소출혈, 1례에서 주위 골조직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1례에서 2개의 추체보다 큰 거대 신 경초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T1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와 중등도 신호강도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다. T2 강조영 상에서 중등도 신호강도를 보이는 신경초종 1례를 제외하고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종 전례에서 고신호강도를 관찰 할 수 있었다. Gd-DTPA를 이용한 조영증강영상에서 낭종성 변화를 보이는 신경초종 1례를 제외하고 전례에서 균질 성, 비균질성 조영증강 및 주변부 조영증강등 다양한 조영증강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척추에 발생한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은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양성종양으로 전형적인 영상학적 소견을 보인 다. 그러나 이러한 종양 또한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영상학적 소견을 보일수 있으며 다양한 영상학적 소견에 대한 이 해가 정확한 수술전 진단 및 적절한 치료에 도움이 된다.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신경초종 및 신경섬유종에서 연부조 직 및 골조직의 해부학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검사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과 체질량 지수와의 연관성

        김현태,서형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hether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is associated with obesity is under debat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and body mass index (BMI) by comparing it with other types of osteoporotic fractur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the factors that predict the risk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in individuals with obesity, but the objective risk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ostmenopausal women, including 100 people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104 with femur neck fractures, 107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and 103 with osteoporosis or osteopenia but without fractures. The BMI was calculated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test was administered within 3 days after injury. For each type of fracture, the relationships with age, height, weight, BMI, and BMD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according to BMI was also evaluated. Results: In comparing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and osteoporotic non-vertebral frac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age, height, or BMD (p>0.05).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average weight and BMI, compared to other osteoporotic non-vertebral fracture groups (p<0.05). Among those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the number of fractur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MI (p=0.177). Conclusions: I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patients, compared to groups with other types of osteoporotic fractures, average weight and BMI were highe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서 비만과 골절 발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에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체질량 지수와의 연관성을 골다공증성비척추 골절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비만환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요소는 여러 가지가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 위험요소는 논란 중에 있다. 대상 및 방법: 폐경 후 여성 중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100명, 대퇴골 경부 골절 104명, 원위부 요골 골절 107명, 골절이 없고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이 확인된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체질량 지수 측정 및 수상 후 3일 이내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골절군에서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척추체 골절 개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군과 골다공증성 비척추 골절군 간에는 연령, 키, 골밀도와의 연관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다른 골다공증성 비척추 골절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균 체중 및 체질량 지수를 보였다(p<0.05).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에서체질량 지수에 따른 척추체 골절 개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177). 결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골다공증성 비척추 골절군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체중 및 체질량 지수가 더 높다.

      • KCI등재

        환축추 불안정성에 대한 환축추 유합술의 방사선학적 분석 - 후방 강선, 경관절 나사, 후방 나사-강봉 고정술의 비교 -

        정재윤,서형연,김기형,이건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4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환축추 불안정성에 대하여 후방 강선 고정술, 경관절 나사 고정술, 후방 나사-강봉 고정술을 통한 환축추 유합 위치와 축추하 경추 배열 변화와 재전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환축추 유합술에서 환축추 고정위치와 유합술 후 발생하는 축추하 경추 배열 변화와 재전위에 관한 문헌들은 드물다. 대상 및 방법: 1986년부터 2008년까지 환축추 불안정성으로 후방 유합술을 시행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59.5개월이었다. 후방강선 고정술 군 17예, 경관절 나사 고정술 군 10예, 후방 나사-강봉 고정술 군 8예였고, 불안정성의 원인질환은 횡인대 파열 12예, 류마티스 관절염11예, 치상돌기 불유합 6예, Os odontoideum 6예였다. 방사선학적으로 환추-치돌기간 간격과 환추 후궁 및 축추 추궁판각, 인접분절의 정렬 변화 및 유합 시기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골유합은 평균 3.5개월 (3-5개월)에 이루어졌다. 최종 추시상 후방 강선 고정술 군에서는 5예에서 재전위되었고, 축추하 후만 변형은 3예에서 발생했다. 경관절 나사 고정술 군에서는 재전위 및 후만 변형은 없었으며, 후방 나사-강봉 고정술군은 모든 예에서 재전위는 없었고, 1예에서 후만 변형이 발생하였다. 재전위 및 분절간 후만 변형이 일어난 경우는 후궁-추궁판각이 수술 전후로 10도이상 차이나는 군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결론: 환축추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적 치료 방법에 있어 환축추 유합 위치가 수술 후 축추하 배열 변화에 관련이 있으며, 수술 전 환축추의 전만 유지는수술 후 축추하 배열의 변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atlantoaxial fusion angle and the change of the subaxial cervical spine alignment (SCA) and the reduction loss after atlantoaxial fusion (AAF) using the posterior wiring technique (PWT),transarticular screw fixation (TAF) and posterior screw-rod fixation (PSR) for treating atlantoaxial instability (AAI).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change of the SCA and the reduction loss after AAF. Material and Methods: Thirty five patients underwent AAF for AAI from 1986 to 200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9.5 months. The surgical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at is, PWT: 17 patients, TAS: 10 and PSR: 8. The causes of instability were transverse ligament rupture in 12 patients, rheumatoid arthritis in 11, Os odontoideum in 6 and nonunion of an odontoid fracture in 6. Plain radiographs were used to assess the atlanto-dental interval, the posterior arch-lamina angle, the change of the SCA and the time of fusion. Results: Fusion was achieved in all the patients within 3.5 months (range: 3-5 months). The radiologic findings in the 5 PWT patients showed a reduction loss and 3 patients showed subaxial cervical kyphosis (SCK). The TAS group had no reduction loss or SCK. The PSR group had no reduction loss and one patient showed SCK.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loss and SCK occurred in the group in which there was a posterior arch-laminar angle greater than 10 degrees before and after surgery. Conclusions: For the treatment of AAI, the position of the AAF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the postoperative SCA. The preoperative lodortic position of C1-2 should be maintained to prevent the change of the S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