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심 구멍이 있는 구면거울과 평면거울을 이용한 가시광용 반사굴절식 전방위 광학계

        서현진,조재흥,Seo, Hyeon Jin,Jo, Jae Heung 한국광학회 2015 한국광학회지 Vol.26 No.2

        전방위 광학계는 360도의 방위각과 지평선 위와 아래의 수직화각에 대한 상을 동시에 결상이 가능한 광학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을 쉽게 하면서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있는 옵스큐레이션(obscuration)을 갖는 구면거울 1장과 평면거울 1장으로 이루어진 거울계 및 이 거울계에서 반사하여 구면거울의 옵스큐레이션을 통과한 시야각 범위 안의 광을 결상하는 구면렌즈 3개와 하나의 구면 이중렌즈로 구성된 결상렌즈계를 사용하는 가시광용 반사굴절식 전방위 광학계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전방위 영상을 실제로 결상하였다. 그리고 자동차 앞, 뒷번호판의 영상을 보고 이 전방위 광학계의 통과 공간주파수를 측정하고, ISO 12233 차트의 영상으로부터 전방위 광학계의 수직화각을 측정하여 광학계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 전방위 광학계의 수직화각은 $+53^{\circ}{\sim}-17^{\circ}$이며, 방위각은 $360^{\circ}$이고, 3 m 거리에서 자동차 앞번호판의 숫자를 구별할 수 있었는데, 이는 135 lp/mm의 통과 공간주파수에 해당한다. An omnidirectional optical system can be described as a special optical system that images in real time a panoramic image with an azimuthal angle of $360^{\circ}$ and the altitude ang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from the horizon line. In this paper, for easy fabrication and compact size, we designed and fabricated a catadioptric omnidirectional optical system consisting of the mirror part of a spherical mirror with a central hole (that is, obscuration), a plane mirror, the imaging lens part of 3 single spherical lenses, and a spherical doublet in the visible light spectrum. We evaluated its imag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cut-off spatial frequency using automobile license plates, and the vertical field of view using an ISO 12233 chart. We achieved a catadioptric omnidirectional optical system with vertical field of view from $+53^{\circ}$ to $-17^{\circ}$ and an azimuthal angle of $360^{\circ}$. This optical system cleaniy imaged letters on a car's front license plate at the object distance of 3 meters, which corresponds to a cut-off spatial frequency of 135 lp/mm.

      • KCI등재

        정당 활동가의 의회충원에 관한 연구: 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서현진 ( Hyun Jin Se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1

        한국에서는 민주화 이후 총선마다 외부 집단이 대거 정당 공천을 받아 의회로 진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정당들이 총선마다 불거진 공천파동과 정치개혁 문제를 내부적으로 경쟁력 있는 엘리트를 육성하는 노력과 체계를 갖추는 대신 새로운 세력의 공천과 의회 입성을 통하여 해결하려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외부 집단에 대한 관심에 비하여 원내 정당 정치의 활성화와 정책 실현에 있어서 핵심 역할을 하는 내부 활동가의 의회충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저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당 활동가의 당선경쟁력에 주목하여 19대 총선자료 분석을 통하여 후보자의 다양한 경력이 당선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후보자의 정당 내부 활동 경력은 당선에 중요한 요인이 아닌 반면 의정이나 관료 경력뿐 아니라 명망가나 시민운동가 등 후보자의 외부 활동 경력은 당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를 통하여 소속 정당을 위하여 헌신하고 활동해 온 당직자나 실무자들의 당선경쟁력이 없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의회가 정치 신인들의 교육현장이 아닌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입법의 장이 되도록 정당은 당내 정치 전문가를 육성하고 의회로 충원하는 시스템 구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이다. Investigating competitiveness of party activists in elective office, this paper examines the previous careers and professions of candidates and their impact on Congressional el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National Election Committee, it is found that candidates who were incumbent legislators, supercrats, non-political professionals, or civil activists were more likely to be elected in the 19th Congressional Election. However, having a political career as a party activist was not a significantly important variable for getting elected in this election. This result was similarly found for both major conservative and liberal party candidates. In order to win political office, major party`s nomination is crucial for party activists who have higher levels of loyalty and political experience. Nonetheless, political amateurs who share the sam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credentials are more likely to be encouraged to run for office as major party candidates. Thus, famous political amateurs as well as incumbents are more likely to hold elective office than party activist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party recruiting legislators, the substantive under-representation of party members, the policy making of party politics, and the practice of democracy in Korea.

      • KCI등재

        한국 정당연구소의 정치교육 기능에 대한 연구: 2006~2010년 정치교육 활동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서현진 ( Hyun Jin Seo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1

        정당정치를 정책대결로 유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법제화된 한국의 정당연구소는 독일과 미국 정당재단의 각 장점인 ``민주시민교육`` 기능과 ``싱크 탱크``의 역할을 동시에 추구해 왔다. 그동안 정책 전문기관에 대한 평가에 비해 정치교육기관으로서의 정당연구소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저조하였다. 정당연구소의 정치교육 기능은 정책능력과 소양을 갖춘 차세대 리더나 당원 또는 지지자를 지속적이고 직접적으로 육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게다가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민주주의의 이상과 가치를 전파하고 교육하는 활동은 건강한 민주시민 양성과 정당정치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정당연구소들이 정치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왔는지 지난 5년간 교육활동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1346건의 자료를 선별하여 분석한 결과, 정당연구소의 교육활동은 미흡할 뿐 아니라 모 정당의 정치적 입지와 기본 정책에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고 지지를 확보하는 활동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당별 차이를 보면 여당 정책연구소들은 현안과 관련된 주제로 교육활동을 활발히 한 반면 진보성향의 야당 정책연구소들은 당 정책이나 노선과 관련된 활동을 더 활발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정당연구소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민주시민 교육기관보다는 모정당의 하부기관으로서의 활동에 더 충실한 것을 알 수 있었다. What kinds of roles do the policy research institutes of the political parties in Korea play? The policy research institutes of the Korean political parties were established in 2004 to help build policy-oriented political parties. The functions of these institutes are to serve as think tanks to improve the policies and strategies of the parties and to provide necessary political information to the supporters as the institute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heavily on the roles of the think tank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and evaluat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lectures, workshops, seminars and publications in term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analysis found overall educational activities have been neglected. It also found that the subjects of education activities are very limited to current policy agendas and issues related to party politics. Especially the ruling parties` institutes are more likely to deal with the political issues of strategic interests to the political parties. These ?ndings show that the institutes exist as parts of the party organizations, not as independen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odies to develop Korean democracy by creating and disseminating comprehensive knowledge.

      • KCI등재

        2018년 교육감 선거 후보자의 이념성향과 정책 공약에 관한 연구

        서현진 ( Hyun-jin Seo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정치 Vol.35 No.2

        이 글에서는 2018년 교육감 선거의 공약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정당공천 없는 교육감 선거에서도 후보자 정책의 이념적 차이가 정당 후보자 간 이념대립처럼 나타났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감 후보자의 5대 선거 공약을 전수 조사한 결과, 대통령 선거와 같은 정치적 선거에서 나타난 교육방향의 이념적 차이가 교육감 선거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모든 이슈에서 항상 이념적 대립 입장이 나타나지는 않았고 후보자의 성향과 공약의 이념적 방향이 항상 일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 후보 간 입장 차이가 나타나는 핵심 공약이 많았다. 또한 후보자의 이념성향에 따른 핵심 공약요소의 이념적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했다. 평균분석 결과, 2018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5개 영역 모두에서 보수적이거나 이념성을 알 수 없는 공약보다 진보적인 공약이 더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5개 영역 모두에서 진보 진영의 후보자들은 진보적 입장에서 공약을 제시했고, 보수 진영의 후보자들은 보수적 입장에서 공약을 제시했다. 진보와 보수 후보는 학교정책에서 가장 이념적으로 대립했고, 평등과 미래 정책에서도 이념적 차이가 컸다. 전체적으로 보수보다는 진보 후보들이 자신들의 이념적 색채를 더 드러내는 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가 교육감 선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논의에 경험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ideologically polarized Korean superintendent election by analyzing contents in campaign pledges of 2018 election.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criticized most campaign pledges to be ideologically divided along with candidates’ political posi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ntents of campaign pledges. This study analyzes first general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ampaign pledges in 2018 superintendent election. It is founded there are a quite amount of ideologically polarized pledges as expected. It is also found strong differences of election pledges along with candidates’ ideological orientation in 5 policy areas. Those ideological differences of election pledges are statistically important based on ANOVA analyzes. This finding shows that, like other political elections, superintendent election is politically played in spite of political neutrality duty. Ideologically biased pledges might be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making socially consented education policy difficult in the future.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some empirical evidences to discuss solving problems of the superintendent election.

      • KCI등재

        리폼티셔츠를 통해 본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추구 디자인,감성 요소

        서현진 ( Hyun Jin Seo ),이규혜 ( Kyu Hye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2

        시대가 변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관념이 많이 변화되어가고 있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됨에 따라, 개인이 가지는 가치 관이나 성역할 정체감은 과거에 비해 의복 선택에 있어 더욱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추구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118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고, 동일한 흰 티셔츠와 부자재를 제공하여 본인이 착용할 티셔츠를 자유롭게 리폼하도록 하였다. 피실험자가 착용한 리폼티셔츠는 18명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의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결과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신뢰성분석과 요인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의 분석방법을 사용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국내 유니섹스 캐주얼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디자인 요소보다 감성 요소에서 차별화가 중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강한 남성성을 강조하는 남성복은 세부적인 디자인보다 스타일, 비례 등 전체적인 디자인과 조화로운 스타일링을 위한 제품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성성이 강조되는 패션제품의 경우에는 품질, 가격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서 상품을 기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다양한 패션 브랜드가 타겟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니즈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전략수립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world is changing, as are our perceptions of sex roles for males and females. A social atmosphere increasingly more lenient toward individual choices has encouraged people to allow their personal ways of thinking and sex role identity to exert a greater impact on their choice of clothes compared to the past. Give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choice of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in clothes was influenced and formed by people`s sex role identity. Therefore, in this study, 118 participants was measured to find out the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in clothing pursued by people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The same white T-shirt and material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and they were asked to reform a T-shirt for themselves to wear. We performed an analysis using a series of analytic methods, including frequency,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es, as well as a t-test and univariate ANOVA using SPSS 21.0. The data suggests that emotional factors are more important for differentiation than design factors for domestic unisex casual brands to have competitiveness. For men`s wear products emphasis on masculinity, composure of the overall design (style, proportion and so on) and harmonious products for styling are more important than design details. On the other hand, specific elements such as harmony of subsidiary materials, proportion of pattern and balance are important for completeness of a mannish look. Products which emphasize femininity should consider economic aspects such as quality, price of product and so on rather than design and emotional elements. This result could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product strategy of fashion brands and the related companies, as well as to understand target consumer needs regarding fashion products.

      • KCI등재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학 교과 간 연계학습 방안 연구

        서현진(Seo, Hyun-J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4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건설의 주체로서 스스로 변화에 대응하고 성장하며 창의적으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민주시민 양성은 시대적 과제이다. 융합적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분절적 학문영역만으로 실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민주시민양성의 본질 교과인 사회과의 역할은 더 중요지고 있는데, 장기적 안목에서 타 교과와의 연계와 융합을 통해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주도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학교수업은 민주적 삶을 경험하고 학습하는 일상적 시공간이 되어야 하며, 교사는 시민교육의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융합교육의 제반교육 여건이 충분치 않은 환경에서 교사들의 열정만으로 실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해 현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사회와 과학 교과 간의 연계 학습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일상적 삶과 관련 있는 사회적 주제를 중심으로 PBL 탐구학습 등을 기획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탐구학습을 기획할 때 어떻게 교과과정 상의 핵심요소들을 연계할 수 있을지,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해봄으로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했다. 학습 주제는 정답이 없고 창의적 해결책 모색이 가능한 것으로 정하고, 나의 행복과 밀접한 공동체 차원, 미래의 삶과 연결되는 지구 환경 변화와 우주를 포함하는 더 넓고 확장된 차원 등 두 가지로 분류했다. 각 주제별로 2가지 씩 예시를 들어 어떻게 사회와 과학 교과 간 교과과정 핵심요소들을 연계할 수 있는지 설명 하였다. 교사들에게 주제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연계할 수 있는 기본적 안목과 역량이 생긴다면, 융합적 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수업 실행이 좀 더 쉬워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for promoting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is no stable democracy without democratic citizens. Democracy could be sustained and developed with persistent supports of citizens. That is the reason wh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is important.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o reflect convergence perspectives to understand social issues or problems related to scientifically developed and complicatedly linked society. However, few studi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rea pay attention to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r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t the designing level, how to link or organize key learning material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ased on investigating curriculum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By showing four PBL examples to solve complicated social problems with scientific issue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between two different study area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미국 유권자의 정치적 신뢰도와 투표참여의 관계

        서현진(Hyun-Jin Seo)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1

        미국의 투표율은 1960년대 이래 현재까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정당일체감의 약화, 정치적 효능감 저하와 정치적 불신의 증대 현상이 집합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한 학자들은 개인적 수준에서도 심리적 태도가 투표참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신뢰도를 제외한 두 변수만이 투표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치적 불신의 증대가 미국의 전체적인 투표율 하락에 미친 영향력을 집합적인 수준에서 주장하는 학자들과 정치적 불신 변수가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개인적 수준의 분석에서 경험적 근거를 확보하지 못한 학자들 간에 아직도 논란이 일고 있다. 게다가 일부 학자들은 신뢰도가 투표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미국인의 정치적 신뢰도와 투표참여 간의 관계를 최근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 대선자료의 경로분석을 통해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같이 신뢰도는 투표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효능감과 정당일체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rends in American political history in the past four decades is the decline of voter turnout in national elections. While no one disputed that trust in government had declined after 1964 as voter turnout declined, the effect of this trend on voter turnout is controversial from the outset.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one of the possible causes of declining in voter turnout by focusing on political distrust among American voters. Specifically, two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ath analysis: first, people who have higher levels of political trust i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voting. Second, people who have higher levels of political trust is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political efficacy and to have stronger partisanship. Thus, this study tested two paths which political trust influences on voting particip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efficacy and the strength of partisanship.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no evidences for the direct causal roles of political trust in the shaping of voting participation, but some evidences for the indirect effect via political efficacy and strength of party identification.

      • KCI등재

        선거와 정치참여에 대한 미래 유권자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현진 ( Hyun Jin Se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1

        선거와 정치 참여가 일상화되고 정보화와 시민사회 활성화로 인해 청소년의 참여가 확대되는 현 시점에서 시민성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 모색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증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선거와 정치 참여에 대한 교육이 청소년의 일상과 동떨어진 영역에 치우치고 과도하게 이론적인 내용과 지식 위주의 학습에 편중되어 있음을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이 자기주도 학습의 기제로 마련된 활동 학습을 통해 해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활동학습에서 조차 청소년과 관련된 참여 영역은 비중이 적었고 내용 또한 정치 현상이나 역동적 과정 보다는 이론과 제도 중심이었다. 활동 학습의 목표도 본문 내용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나 사례, 뉴스 등 자료 보충을 통해 지식 향상을 꾀하는 유형이 많았다. 배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과 실천 능력을 키우는 자료는 매우 부족했다. 따라서 활동 학습 자료는 청소년의 일상적 삶과 가까운 주제에 대한 비중을 늘리고 이론과 제도에 관한 내용 비중을 줄이며 사고력과 행동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o educate future voters in Korea by analysing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criticized main body of secondary school textbooks to contain heavily knowledge based learning objective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upplementary materials. This study focuses on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for activities designed to get students engaged critical thinking about elec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a result, it is founded there is little exercise designe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abilitie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This finding shows that supplementary materials exist as a part of main body of textbooks, not as critical thinking exercises. Therefore, it is suggested learning materials for activities needed to be restructured in the way of functioning to help students improving skills and ability of participatory democratic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