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청각중복장애인(Deaf-Blind)의 일상생활 욕구에 관한 탐색연구

        서해정,임수경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difficulties of Deaf-Blind in daily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to support them. To do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ology that simultaneously conducts in - depth interviews and quantitative survey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24 deaf-blind people with bo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As a result, regarding movement,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hown to be able to move at the near distance by walking training, it was found that 37.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uld move only in the house,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to go out alone because they felt dizzy during walking. With respect to communication, sending a text message in how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by 45.8% in total but 33.4%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unable to convey their opinions to the other party, Hearing-based Deaf-Blind People had the greatest difficulty in communic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of deaf-blind people so it became almost impossi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formation acc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residual vision, no residual vision, and those who are able to use Braille obtained information primarily through Braille information terminals. Finally, their main needs were movement support, communication support,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deployment, and self - help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time for activity support service and increase manpower and additional benefits for gait training and movement support for movement support, to develop and disseminate manual such as training, dispatching, setting up an opportunity for specialists for communication of deaf-blind people for communication support, and to expand the use of Braille information terminals, self-help groups, and support centers for information access.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및 청각 기능의 동시적인 손상을 가지고 있는 시청각중복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이동, 의사소통, 정보접근 등의 욕구와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시청각중복장애인 24명을 대상으로 질적조사, 양적조사를 동시에 실시하는 혼합방법론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이동과 관련해서는 연구 참여자 대부분이 보행훈련을 받아 가까운 거리는 혼자서 이동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행 중 어지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혼자서 외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집안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37.5%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의사소통관련해서 이들은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문자가 전체의 45.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거의 전달할 수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3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청각기반의 시청각중복장애인이 다른 그룹의 시청각중복장애인에 비해 의사소통에 가장 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접근에서는 전적으로 장애인의 잔존시력 정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잔존시력이 전혀 없으며 점자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각기반의 시청각중복장애인은 점자정보단말기를 통해 주로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주요 욕구는 장애발생 시기 및 순서에 따른 장애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보이지만 주로 이동지원, 의사소통지원, 점자정보단말기 보급, 자조모임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동지원을 위한 활동지원서비스 시간의 확대, 보행훈련과 이동지원을 위한 인력 양성, 시청각중복장애인 의사소통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파견과 점화, 촉수화 등에 대한 교육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점자정보단말기 보급 확대 등이 필요하고, 당사자 자조모임 및 지원센터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설보호 장애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행태가 탈시설 욕구에 미치는 영향

        서해정,이선화 한국장애인개발원 2020 장애인복지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asure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by examining the impact of independent living readiness of youth with disabilities on the need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For the study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youths with disabilities aged 15 or older and aged 24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s of 2017. The results of the final 415 participants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58.1 percent of participants living in facilities understood the concept of self-reliance, while 58.7 percent were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Among the major daytime activities, 23.1% were participating in self-reliant living programs, and 43.2% were found to have daily living experience through home in the communit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s with disabilities, age, disability type, degree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daily help levels, excluding gend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ependent Living.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at the facilities and the daily living experiences through home in the commun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eed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self-reliance and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needs to leave the facility.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proposed measure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of youths with disabilities in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청소년의 자립생활 준비행태가 탈시설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자립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7년 기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 만 24세 사이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415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보호 장애청소년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나이, 장애유형, 장애정도, 의사소통 정도, 일상생활도움 수준 등 모든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시설 내 자립준비 행태와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고, 탈시설 욕구와는 의사소통수준과 일상생활도움 수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남성, 18세 이상 나이, 비발달장애인, 3급 이상의 경증, 의사소통 가능, 거의 일상생활이 가능한 장애청소년은 자립생활 준비 행태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자립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설보호 장애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행태인 자립의 이해, 자립준비, 자립생활프로그램 참여, 체험홈 경험 중 탈시설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립에 대한 이해와 자립준비이며, 시설 내 자립생활프로그램과 체험홈 경험은 탈시설 욕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 내 장애청소년의 자립생활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실태 비교분석

        서해정,김숙향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actual situations of each type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and non-disabled wome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2017 fact-finding data on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researched by the Korean Disabled Women Federation, and the 2016 fact-finding data on domestic violence nationwide researc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amage rate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total disabled women based on 2017 was 57.4%, namely about 6 out of 10 disabled women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is showed five times higher than 12.1% of domestic violence damage rate from the spouses for one year in comparison with domestic violence researched nationwide in 2016. In comparison of disabled women with non-disabled women by domestic violence type, sexual violence was the most serious (15.4 times higher), followed by economic violence (14.4 times higher), physical violence (10.7 times higher), emotional violence (4.6 times higher), and control (1.6 times higher). Therefore disabled women felt quite higher level of fear and threat from domestic violence than non-disabled women; however they just showed passive responses including no response, when actual domestic violence occurred. Among the disabled women, those in their 30s to 40s and those with minor disability of intellectual disability by disability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ll domestic violence typ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measures to root out domestic violence against disabled women.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유형별 실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7년 한국여성장애인연합에서 조사한 여성장애인가정폭력실태조사 자료와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수행한 전국 가정폭력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기준 여성장애인 가정폭력 피해율은 57.4%로 10명 중 약 6명은 가정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2016년 전 국민 대상 가정폭력 피해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지난 1년간 배우자로부터 경험한 가정폭력 피해율 12.1%보다 약 5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장애여성과 비장애여성의 가정폭력 유형별로 그 실태를 비교했을 때 성적 폭력이 비장애여성보다 15.4배 높아 가장 심각하였고, 그 다음, 경제적 폭력은 14.4배, 신체적 폭력은 10.7배, 정서적 폭력은 4.6배, 통제는 1.6배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로 인해 장애여성들은 비장애여성보다 상당한 수준의 가정폭력에 대한 공포심과 위협을 느끼고 있었으나 실제 가정폭력이 발생했을 때 아무런 대응을 못하는 등 소극적인 대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여성 중 30~40대, 지적장애가 있는 장애여성들은 모든 가정폭력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여성의 가정폭력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체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서해정 ( Suh Hae-jung ),김재근 ( Kim Jae-geun ),전지혜 ( Jeon Ji-hye ),서욱영 ( Seo Wook-young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24시간 장애인활동지원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토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최중증장애인 활동지원의 대상, 급여, 전달체계 그리고 재정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24시간 상시 활동지원 적용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장시간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단순한 ‘요양이 필요한 환자’ 정도로 단정하지 말고 사회활동이 필요하면 실질적인 상시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의료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생활, 직업, 주간활동, 주보호자의 상황, 거주 환경 등을 고려하면서 장애인 당사자의 서비스 이용의향을 청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한국에서 이용률이 매우 낮은 ‘방문간호’ 급여의 개선이 필요하며, 최중증장애인의 욕구에 의한 전문적인 의료적 처치를 위한 급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루게릭병, 진행성 근디스트로피 등의 장애유형에 대한 대상자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보조인의 전문성 교육과정과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전달체계는 기존의 국비사업과 동일하나 장시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보조인 매칭, 이용자의 상황 등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며, 제공기관에서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조치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중증장애인에 대한 장시간 서비스를 위한 재정마련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며, 지자체별로 심각한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행 지자체의 추가급여를 유인하는 방안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기금을 재원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applicable foundation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case of 24-hour assistance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apan.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visiting research to Japan, we suggest about target population, payment system and delivery system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make several application plans for 24-hour personal assistance system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actual assistance needs to be distinguished between care and activity support. Second, with regard to selection of target people, medical aspec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environment, job, daytime activities and protector'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direct person's willingness to use. Third, payment for professional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hould be supported, and 'visiting care' service that shows low utilization rate in Korea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there needs to be a series of education course and management system for activity assistants considering people with Lou Gerig's disease, 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etc. Fourth, though delivery system is identical to previous government funded service, extra precautions on activity assistants matching or user's situation are required and there needs to come up with emergency response at providing organizations. Last, public consensus is necessary in a sense of financing for a long track of time assistance servic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void serious deviation by local governments, the plan to attract additional payment or to obtain separate funds needs to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